View : 831 Download: 0

가곡 두거 선율 연구

Title
가곡 두거 선율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on melody of Dugeo song : Centering on antique scores for Geomungo
Authors
정민경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가곡 이수대엽에서 두거가 파생되었다는 것은 익히 알려진 바이다. 그러나 두거에 대한 연구는 가곡 전체에 대한 연구 속에서 간략히 언급되거나 다른 곡과의 관계성 또는 두거의 선율 분석 위주로 진행되어왔고, 고악보에 수록되어 있는 두거의 종적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상황이다. 본고에서는 고악보에 수록된 두거 곡들을 남창과 여창으로 나누어 각각의 종적 선율 변천 양상이 있는지 살펴본다. 또한 남녀창 각 선율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기 위해 남녀창이 함께 수록되어 있는 고악보 선율들을 횡적으로 비교 고찰함으로써 가곡 두거에 대한 종적·횡적 연구를 시도해보았다. 먼저 고악보에 수록된 남녀창 우조와 계면 두거의 현행을 각각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창 우조 두거의 경우, 고악보들을 종적으로 비교했을 때 선율 변화가 그리 크지 않다. 또한 고악보에서 현행과 다른 선율형을 나타내는 부분은 주로 제3장 제2행 제1대강과 제5장 제2행 제1대강인데, 이는 제3장과 제5장의 유기적인 선율 관계를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단, 학포금보 이하 현행 선율에서 제3장과 제5장의 제2행 제1대강 선율이 완전히 같은 반면에 삼죽금보, 희유, 금가, 현금오음통론, 휘금가곡보는 동일한 선율이 아닌 변화선율을 쓰고 있다. 남창 계면 두거의 경우에도 역시 선율변화가 크게 드러나진 않지만, 남창 우조 두거에 비해서 일부 선율의 변화양상이 많이 보이는 편이다. 그러나 그 선율변화의 길이 단위가 짧고 악보간의 유사관계도 불규칙적이어서 일정한 종적 선율변화의 흐름은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단, 제2장 제2행과 제3장 제2행, 제4장 제1행과 제2행, 제5장 제3행 등의 선율을 통해 삼죽금보, 희유, 금가 등이 유사한 선율유형을 지닌 악보군임을 알 수 있다. 여창 우조 두거의 경우, 제1장과 제2장은 대체로 유사한 선율형을 보이고 제3장 중반부터 중여음까지의 선율에서는 삼죽금보과 현행이 서로 유사하게 나타난다. 가곡금보는 다른 선율형을 보이는데 주로 현행보다 한 옥타브 낮거나 완전 4도 높게 선율진행하며, 제4장 이하는 모두 다 다른 선율형을 보인다. 여창 계면 두거의 경우, 삼죽금보의 ‘女’라고 따로 부기된 선율과 다른 악보들의 선율은 전혀 다른 선율관계를 보인다. 삼죽금보를 제외한 고악보들과 현행 선율을 비교하면 현행 제1장 선율은 모든 고악보들과 대체로 같고, 제2장의 제1행은 가곡금보의 ‘뒤뫼’와 같으며, 제2장 제2행과 제3장 제1, 2행은 가곡금보의 ‘임술’과 같다. 제3장 이하는 휘금가곡보의 두거 뒤에 ‘농이 올 경우’의 선율과 동일하다. 즉 현행 여창 계면 두거의 제1장은 고악보들과 대체로 같고 제2장은 가곡금보와, 제3장 이하는 휘금가곡보 중 ‘농이 올 경우’의 선율과 가장 유사하다. 위와 같이 남창의 두거 선율은 그 종적 선율변화가 두드러지지 않지만, 여창 두거의 경우는 각각의 악보들이 다양한 선율형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여창 두거의 다양한 선율은 일정한 패턴으로 종적인 선율변천을 이루고 있지 않으므로 각각의 고악보에 실린 남·여창을 횡적으로 비교해볼 필요가 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여창 우조 두거를 비교해보면, 삼죽금보는 따로 부기된 여창 선율과 남창을 비교했을 때 일정한 변주양상을 찾을 수 없을 만큼 남·여창이 다르게 나타난다. 가곡금보는 대체로 남창과 여창의 선율이 유사하게 나타나며, 몇몇 대강에서 상이한 선율형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여창선율이 남창선율을 완전 5도 또는 완전 4도, 단7도 높거나 단3도 낮은 음으로 연주되면서 유사한 선율진행을 한다. 현행은 제1장에서 제3장 제2행까지 남창과 여창이 완전히 동일하나 제3장 제3행부터는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이때 여창선율은 남창선율을 한 옥타브 높게 연주되거나 완전 4도 내지 완전 5도 높게 연주된다. 이에 여창 우조 두거는 주로 남창의 선율을 변주할 때 주로 완전 4도 내지 5도 높게 변주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남·여창 계면 두거를 비교해보면, 삼죽금보는 따로 부기된 여창 선율과 남창을 비교했을 때 여창을 남창보다 한 옥타브 높게 또는 낮게 연주하거나 완전 4도 낮게 연주한다. 휘금가곡보의 남·여창은 1, 2, 제4장과 제5장 후반부에서 대체로 같은 선율형을 보이나 제3장과 중여음, 제5장 전반부에서 전혀 다른 선율형을 보인다. 이때 여창선율은 주로 남창선율을 완전 5도 높거나 낮게, 장2도 낮게, 한 옥타브 높거나 낮게 연주된다. 가곡금보는 대체로 남·여창 선율이 같게 나타나는데, 제3장 제3행과 중여음은 완전히 동일한 반면 제5장의 후반부는 전혀 다른 선율형을 가진다. 두 선율이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 주로 여창선율이 남창선율보다 장 2도 낮거나 높게, 완전 4도 또는 5도 낮게 연주된다. 현행 1, 제2장에서 남·여창은 대부분 같은 선율형을 보이나 제3장 중반부터는 다른 선율형으로 연주되는데, 이때 여창선율은 주로 남창선율을 한 옥타브 높거나 낮게, 완전 5도 높거나 낮게 연주된다. 여창 계면 두거를 남창 선율로 변주할 때 양상을 살펴보면 삼죽금보와 휘금가곡보, 현행의 경우에는 주로 남창의 선율보다 여창의 선율을 높게 변주하나 가곡금보의 경우에는 여창의 선율이 남창의 선율보다 낮게 변주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두거의 선율을 종적·횡적으로 고찰한 결과, 남창 두거는 그 선율변천이 크지 않고 여창 두거는 여러 선율형의 양상이 일정한 종적 흐름을 지니고 있지 않았다. 이는 남창이 비교적 고정된 선율로 형성되어 가곡의 한 레퍼토리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반면, 여창은 고정된 선율을 형성하지 못하고 때에 따라 남창의 선율을 변주하면서 연주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It is a well-known fact that Dugeo was derived from the song Iesudaeyup. However, the research on Dugeo has been simply commented in the research on songs in general or has been conducted centering on the analysis of Dugeo melody or relationship with other musical pieces; thus, the research on Dugeo's vertical relationship collected in antique musical scores is still in sufficient state. This research is aimed at taking a look at whether there exist individual aspects of vertical melody transition by dividing Dugeo scores collected in antique scores into man's songs and woman's songs. In addition, in order to find out what relationship between the melody of man's song and woman's song, this research had a try on vertical, horizontal study on Dugeo songs by considering and comparing the melody in antique scores horizontally. First, the result of comparing man and woman's songs collected in antique scores and currently used minor scaled Dugeo is as follows: In case of man's song Dugeo wu note, when comparing antique scores vertically, there appears not so much change in melody. Moreover, the parts showing different pattern of melody in antique scores from the currently used ones are mostly scene 3, line 2 , 1 대강 and scene 5, line 2 and 1 대강, which is judged to reflect an organic melody relation between scene 3 and scene 5. Neverthelss, , , , , and are employing variation melody, not similar melody. Also, in case of man's song minor scaled Dugeo, there appears no big variation of melody , but in comparison with man's song wu note Dugeo, there relatviely appear a lot of changing aspects of some melody. However, the length unit of change in melody is short and similarity between scores is irregular, so there appears no clear stream of change in melody . Nevertheless, through the melody in scene 2, line 2 and scen 3 , line 2, and scene 4, line 1 and 2, scene 5, line 3, it can be found that , , and are the score group having the similar melody pattern with each other. In case of woman's wu note Dugeo, scene 1 and 2 show a relatively similar melody pattern, and and currently used ones are similar to each other in melody from the middle of scene 3 to the intermittent note. is showing a different melody pattern, playing its melody one octave lower or perfect 4 degrees higher than now and from scene 4, it shows all different melody pattern. In case of woman's song minor scaled Dugeo, the melody separately noted as "woman" in and other scores show quite different relation to melody. Comparing the currently used melody and antique scores excepting , the melody in currently used scene 1 is ,on the whole, similar to all antique scores; line 1 of scene 2 is similar to "Dwimoe" of ; the currently used scene 2 & line 2 and scene 3, line 1, 2 are similar to "Imsool" of . The parts after scene 3 are similar to the melody in case Nong comes after Dugeo of Hwikeumgagokbo. In short, currently used woman's song minor scaled Dugeo's scene 1 is, on the whole, similar to antique scores; scene 2 is similar to ; the parts after scene 3 are the most similar to the melody when Nong comes in the middle of Hwikeumgagokbo. Like above, Dugeo melody in man's song doesn't stand out in its vertical melody variation, but in case of Dugeo melody in woman's songs, individual scores have their own versatile melody. However, the versatile melody of Dugeo in woman's songs doesn't form vertical melody variation in a certain pattern, so there is necessity of comparing man & woman's songs collected in individual old scores in a horizontal way. The result is as follows: Comparing wu note of Dugeo in man & woman's songs, there appears so great difference between the songs of man and woman that it is impossible to find any certain variation aspects when comparing man's songs to woman's songs separately added in Samjukkeumbo. There appears some similarity in the melody of man and woman's songs in , and there also appears different melody pattern in some 대강, but when the melody of woman's song is played perfect 5 degrees or 4 degrees, minor 7 degrees higher or minor 3 degrees lower, there appears similar melody progress. In the currently used one, there appears perfectly similar melody from scene 1 to 3, line 2, but there appears a different aspect form scene 3, line 3, when the melody of woman's song is played one octave higher or perfect 4 degrees or 5 degrees higher than that of man's songs. By this, it is known that wu note Dugeo of woman's songs is played mostly perfect 4 to 5 degrees higher when playing variations of man's songs. Comparing minor scaled Dugeo of man & woman's songs, , comparing the melody of woman's songs and man's songs separately added, is playing woman's songs one octave higher or lower than that of man's songs. Woman and man's songs in Hwikeumgagokbo shows the same melody pattern on the whole in the latter part of scene 1,2, 4 and 5, but quite different melody pattern in scene 3, intermittent note, and the first part of scene 5. At this time, the melody of woman's songs is played perfect 5 degrees higher or lower, major 2 degrees lower or one octave higher or lower than that of man's songs. has, on the whole, some similarity in the melody of man and woman's songs; scene 3 line 3 and intermittent note are perfectly similar but the latter part of scene 5 has quite different pattern of melody. In case two melodies appear differently, mostly the melody of woman's songs is played major 2 degrees lower or higher, perfect 4 degrees or 5 degrees lower than the melody of man's songs. In the currently used scene 1 and 2, man and woman's songs show mostly similar melody, but from the middle part of scene 3, it is played in a different melody pattern ; at this time, the melody of woman's songs is mostly played one octave higher or lower, perfect 5 degrees higher or lower than the melody of man's songs. To take a look at the aspect when playing variations of woman's minor scaled songs using the melody of man's songs, in case of , and the currently used one, the melody of woman's song is mostly higher than that of man's songs, but in case of , the melody of woman's songs is played lower than that of man's songs. As a result of considering Dugeo's melody vertically and horizontally like this, Dugeo for man's songs is not great in its melody transition while Dugeo for woman's songs doesn't have a certain vertical flow in several melody pattern. This explains that man's songs are formed by relatively fixed melody, establishing itself as a repertoire for songs, while woman's songs don't form fixed melody and have been played while variating the melody of man's songs on occas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