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8 Download: 0

직장 당뇨인의 삶의 질 영향 요인 연구

Title
직장 당뇨인의 삶의 질 영향 요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of Employees with Diabetes
Authors
김정화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As employees with diabetes having two roles which is the private role of diabetes treatment and the public role of work, they may have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heir quality of life. However, the level of the quality of life among employees with diabetes has not been investigated. The study examined the quality of life and its influencing factors among employees with diabetes to search the health social work services to promote their quality of life. Date were drawn from a self-administerd questionnaire study in which 113 employed diabetic workers under medical treatment in university hospital.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demographic, medical and job characteristics, individual factors(work-health conflict, self-esteem, diabetes self-care), and social support factors. The quality of life was measured by WHOQOL-BREF Scale that evaluates the domains of physical health, psychological health, social relationship and environment. The main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SPSS 12.0 for frequency test,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core for the quality of life of employees with diabetes is 84.48(26-130). Among the subordinate items, the average of 'sleep and rest', 'bodily image and appearance', 'financial resources', 'sexual ability' were somewhat low. Second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factors and quality of life ,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groups, educational level, health insurance. The experience of unemployment, diabetes treatment type, complaints of diabet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ly, work-conflict, self-esteem, diabetes self-care of individual factor were predicted and accounted for 49.2% of the total variance. social(superior, coworker, family) support was also the predictor and accounted for 27.4% of the total variance. Finally,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increasing the total score for quality of life were self-esteem, diabetes self-care, family support in the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control the demographic, medical and job characteristics. Based on these results, following implication can be drawn out. first,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conflict,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diabetes self-care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of employees with diabetes is needed. second, health social work programs to increasing quality of life for employees with diabetes should be developed. These programs can be consisted of family meeting for family support, supportive counseling to increase self-esteem, specialized interdisciplinary education for employee's diabetes self-care.;본 연구는 직업생활 유지와 당뇨병 관리라는 두 가지 역할 수행을 해야 하는 직장 당뇨인의 삶의 질 수준 및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직장 당뇨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직장 당뇨인의 삶의 질에 기여하는 요인을 일반적 특성과 개인 요인, 사회적 지지 요인으로 나누었고, 일반적 특성에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직업적 특성, 의료적 특성이 포함되고, 개인 요인에는 일-건강 갈등, 자아존중감, 당뇨병 자가관리가 포함되며, 사회적지지 요인에는 상사지지, 동료지지, 가족지지가 포함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 및 경기, 강원도 지역의 대학병원 이상의 종합병원에서 직장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당뇨인 1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직장 당뇨인의 삶의 질에 기여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으로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 당뇨인의 삶의 질 인식 수준은 최소 26 - 최대 130점일 때, 84.48점(SD=14.89)으로 중간보다 약간 높은 정도로 나타났다. 기존 연구들을 살펴본 결과, 당뇨병 환자의 삶의 질을 분석한 연구들(Glasgow, 1997; Hanestad, 1993; Jacobson, 1994; Wikblad, 1996)은 일반인에 비해 낮다는 견해와 비슷하다는 견해로 상반되어 나타나는데, 본 조사대상자의 삶의 질은 일반 성인의 삶의 질 수준(유상우 외, 2001; 이종렬, 1999)과도 유사한 수준이며, 근로자의 삶의 질 수준(고민정, 2003)과도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장 당뇨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직업적 특성, 의료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정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연령이 60대인 경우, 기혼인 경우, 종교가 있는 경우, 교육수준이 대학교 이상인 경우, 직장건강보험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 타 집단에 비해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직업적 특성에서는 직업 분류가 단순노무·생산기능직, 판매서비스직에 속하는 경우, 근속년수가 1년 - 3년 미만인 경우, 근무형태가 주 6일 근무 및 일정한 휴무가 없는 경우, 실직 경험이 있는 경우 다른 집단에 비해 삶의 질이 낮게 나타났다. 의료적 특성에서는 인슐린 요법으로 치료 중인 경우, 당뇨로 인한 합병증이 있는 경우, 당뇨로 입원 경험이 있는 경우, 당화혈색소 수치가 8.0% 이상인 경우 삶의 질 수준이 타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셋째, 주요변수와 삶의 질 및 그 하위요인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개인 요인인 일-건강 갈등, 자아존중감, 당뇨병 자가관리와 사회적 지지 요인 모두 삶의 질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건강 갈등 수준이 낮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당뇨병 자가관리가 잘 이루어질수록, 사회적(상사·동료·가족)의 지지가 높을수록 삶의 질 수준이 높았다. 또한, 사회적 지지 중 동료지지를 제외한 일-건강 갈등, 자아존중감, 당뇨병 자가관리, 상사지지, 가족지지 변수는 모든 삶의 질 하위영역에서도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직업적 특성, 의료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존중감, 가족지지, 당뇨병 자가관리 변수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가족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당뇨병 자가관리를 잘 할수록 직장 당뇨인의 삶의 질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직장 당뇨인의 삶의 질과 일-건강갈등,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 당뇨병 자가관리 간의 보다 명확한 관계를 검증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본 연구결과 및 기존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자아존중감 향상 및 사회적 지지 향상 등을 위한 사회복지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