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3 Download: 0

비주류 음악의 문화적 연결망 연구

Title
비주류 음악의 문화적 연결망 연구
Other Titles
Cultural Network in the production of non mainstream music : Focusing on Korean Hip-Hop music
Authors
김효선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연결망 개념으로 토대로 비주류음악생산의 구조적 특징을 밝히고자 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음악생산에서 나타나는 뮤지션들의 연결망을 문화적 연결망이라 개념화하고, 이를 비주류 음악장르 가운데 하나인 힙합음악 뮤지션들을 대상으로 구체화했다. 문화적 연결망 개념을 토대로 본 연구는 문화적 연결망의 존재를 밝히고, 그 구조적 특성을 밝히는 순으로 분석을 진행했다. 두 가지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힙합음악 생산의 구조적 특징을 밝히고, 나아가 음악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상업적 논리와 문화적 논리가 어떻게 생산구조와 연관되는가를 밝히고자 했다. 첫째, 힙합뮤지션들은 장르에서 보편화된 공동작업과 다양한 공동체 소속을 통해 다른 뮤지션과 연결망을 형성할 수 있고, 실제 이러한 연결이 뮤지션들에게 일반적으로 존재한다. 또한 뮤지션들은 문화적 연결망을 토대로 음악학습, 심리적 지지, 음반제작․유통에 대한 정보와 노동력을 교환한다. 시장규모가 작고, 산업 시스템이 체계화되지 않은 힙합음악은 뮤지션으로 구성된 문화적 연결망을 중심으로 음악생산의 주요한 자원과 기회 등을 지원받고 있음을 확인했다. 둘째, 문화적 연결망 가운데 공동작업 연결망을 대상으로 살펴본 뮤지션들의 연결구조는 연결의 상호 모순적 특성을 동시에 보여준다. 뮤지션이 시장성과가 자신과 비슷하거나 높은 상대 뮤지션과 공동작업을 하려는 경향과 가장 성과가 높은 뮤지션임에도 가장 시장성과가 낮은 뮤지션과 공동작업을 하는 현상이 모두 나타난다. 즉, 시장성과가 높은 소수의 뮤지션에게 연결이 집중되는 현상과 성과가 가장 낮은 뮤지션에게도 연결이 분산되는 모순적 특성이 공존한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연결구조의 모순적 특성이 음악생산의 상업적 논리와 예술적 논리가 동시에 표출된 결과로 해석하였다. 상업적 논리는 음악생산과 판매를 위한 뮤지션의 도구적 동기로, 예술적 논리는 힙합장르에서 공유되는 가치와 정체성으로 구체화하였다. 우선 도구적 동기는 시장성과가 비슷하거나 높은 뮤지션과 공동으로 작업하는 현상에 영향을 미친다. 자신과 비슷하거나 지위가 높은 뮤지션과의 공동작업은 음악시장에서 발생하는 수요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한 도구적 성격이 강하게 나타낸다. 따라서 시장성과가 높은 소수 뮤지션에 대한 연결의 집중은 도구적 동기를 통해 설명된다. 그러나 시장성과가 가장 낮은 뮤지션과 가장 높은 뮤지션간의 공동작업은 뮤지션들의 도구적 동기로 설명하기 어렵다. 본 연구자는 이를 힙합장르에서 공유되는 가치와 힙합의 정체성과 연관하였다. 힙합음악은 지속적으로 상업적 댄스음악과의 구별짓기를 통해 장르의 고유함을 강조하고, 장르 구성원들의 공동체성을 강조했다. 이 과정에서 상업적으로 성공한 뮤지션들은 힙합음악으로서 음악성을 의심받거나 심지어 힙합장르 뮤지션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위치에 놓일 위험이 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서 상업적으로 성공한 뮤지션들은 힙합 공동체의 연대를 강조한다. 아울러 연대를 표현하는 상징적 행위로서 지위가 서로 다른 힙합 뮤지션, 특히 성공한 힙합 뮤지션과 신인이나 인지도가 낮은 힙합 뮤지션과의 공동작업이 발생한다. 본 연구는 음악생산을 조직적 차원에서 다룬 기존 연구와 달리, 음악창작자로서 뮤지션 개인과 이들간의 관계를 토대로 생산의 특성을 구체화하고자 노력했다. 이를 통해 음악생산과정에서 힙합 뮤지션들은 음악생산의 상업적 논리만을 그대로 쫓는 것만 아니라, 장르의 문화적 가치와 규범 등의 제약 하에 있음을 밝혔다. 본 연구는 문화생산 분석의 주요한 관점과 분석도구로서 문화적 연결망을 도입하고, 이를 토대로 연결망 형성의 기제로 도구적 차원만이 아니라 문화적 차원까지 종합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This thesis focuses on cultural network in the production of non mainstream music. In this thesis, cultural network means a particular network that consist of hip-hop musicians for producing their music. I would claim that hip-hop music is produced by a musician and his/her ties with other musician and the musician's network is affected both commercially and culturally. This study argues as follow: First, Korean hip-hop music are created in the context of networks consisting of musicians. Most musicians depends to a very substantial extent on the widespread prevalence of their networks such as 'crew' and 'family'. The cultural networks are shaped into musicians' ties that are based on their co-works and the communities. And they generally support musicians producing music. By support I mean assistance that take a material and economic form, but also more intangibly the form of psychological and moral encouragement to musicians. Second, the cultural network structure of musicians' co-works has contradictory characteristics. One thing is that co-works' ties concentrate on relatively high earning musicians. On inspection, the highest earning musician is more likely to select a musician of same status, and other musicians are more likely to connect with a musician of higher status than themselves. Another thing is decentralize co-works' ties, because a chance to join co-works are also offered to the lowest-earning musicians. Third, the contradictory characteristics of co-works' network are resulted from commercial and cultural effects on the production of hip-hop music. Concentration of ties on high earning musicians is caused by high levels of uncertainty concerning their commercial success. Competitive advantage among musicians the accumulated records of market performance. These result affect the tendency to connect with musicians in higher statue. However dispersion of tie throughout the lowest-earning musician is caused by cultural effect of hip-hop music. Korean hip-hop has been emphasis on its authentic value distinguishing from commercial music, especially dance music. Authentic problems of hip-hop music induce an heated argument for that musician who succeed in market no longer belongs to hip-hop communities. Therefore solidarity among hip-hop musicians is more necessary for a high-earning musician to recognize them as a hip-hop musician. Co-works among a low-earning musician and a high-earning musician are a symbolic behavior signifying their solidarity.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