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4 Download: 0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마케팅 활성화 방안 연구

Title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마케팅 활성화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Marketing in Public Libraries
Authors
이은녕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서울시 공공도서관 마케팅의 현황과 마케팅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분석하여 공공도서관 마케팅의 문제요인과 마케팅 활성화를 위한 요구를 파악하고, 국외 마케팅의 우수사례를 참고하여 이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마케팅이 활성화 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문헌연구, 현황조사, 설문조사 및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마케팅의 개념, 필요성과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마케팅의 유형과 기법을 조사하였다. 국내 현황조사에서는 서울지역의 공공도서관 45개관을 대상으로 마케팅의 수행여부와 관련부서의 설치 유무를 파악하였다. 사서 대상 설문조사에서는 서울지역의 16개 공공도서관 중 임시휴관중인 1곳을 제외한 총 15개관의 마케팅의 활용 현황과 마케팅에 대한 사서의 인식 및 태도를 조사하여 공공도서관 마케팅의 문제점 및 마케팅 활성화를 위한 요구를 분석해 보았다. 국외 사례연구에서는 IFLA의 마케팅 분과에서 주관하는 ‘국제마케팅상’ 수상내용과 ALA의 @Your Library 캠페인을 지원하기 위한 ‘도서관주간상’ 수상내용을 중심으로 공공도서관 마케팅의 유형 및 구체적 활동 내용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국내 공공도서관 마케팅 현황 및 사서의 인식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공공도서관의 마케팅 활동은 전략 수립 과정을 포함한 총체적 활동이 아닌 마케팅의 한 단계인 촉진활동의 유형으로 분류되는 홍보의 형태로 수행되고 있었다. 서울 지역에 소재한 전체 45개의 공공도서관 마케팅 수행여부를 조사한 결과 34개관(75.5%)이 마케팅을 수행하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나 그 내용은 거의 홍보 활동에 국한되어 있을 뿐 마케팅은 적극적으로 수행되고 있지 않고 있었다. 둘째, 마케팅 업무를 담당하는 전담부서가 설치된 공공도서관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공도서관의 마케팅 활동은 문화활동지원과 및 평생학습지원과와 같은 부서, 자료봉사과 소속의 문화기획팀 및 홍보팀, 자료봉사과 소속의 행정이나 서무 업무 담당자가 다른 업무와 병행하여 담당하고 있었다. 마케팅에 대한 사서의 인식조사를 위한 사서 대상 설문조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공공도서관에서 근무하는 사서의 대부분이 스스로 마케팅에 대해 ‘보통’ 이상으로 알고 있다고 평가하였으나 마케팅과 홍보의 차이, 마케팅의 절차에 대해 ‘보통’ 이하로 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사서들의 마케팅에 대한 구체적 이해는 부족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응답자 대다수가 자신의 업무와 관련하여 마케팅을 적용하고 있지 않고 있으며, 그 이유는 마케팅의 방법을 잘 알지 못해서(40.6%), 업무의 과다로 인한 시간의 부족(30.2%)과 같은 이유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다수의 사서들이 재학기간 동안 혹은 현장에서 근무하는 동안 마케팅에 대한 교육경험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것은 대학의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에 마케팅에 관련된 교과목의 비중이 적은 것과 근무 현장에서 마케팅에 대한 재교육의 기회가 부족한 것에서 기인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교육 경험의 기회가 없었던 사서의 대부분이 마케팅 관련 교육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었으며, 업무현장에서 마케팅에 관련된 교육 및 강좌에 참여하는 것이 마케팅에 대한 지식과 기법의 기초를 얻을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평가하였다. 넷째, 공공도서관 사서들이 생각하는 공공도서관 마케팅의 장애요소는 부족한 예산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고, 향후 공공도서관 마케팅의 활성화를 위한 요구에서도 예산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지원되어야 할 사항은 업무수행을 위한 예산 확보, 공공도서관 마케팅관련 교육 및 세미나 참석 기회 제공, 마케팅전담사서의 배치, 사서 인센티브 지급 및 마케팅 업무 장려금 지원 등으로 조사되었다. 국외 공공도서관 마케팅 사례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케팅 상을 수상한 공공도서관 총 13곳 모두 마케팅의 절차 및 기법을 활용한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실행하고 있었으며, 프로젝트는 마케팅의 모든 절차 즉, 환경 분석, 시장세분화, 프로그램개발, 평가 항목에 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마케팅의 활동내용은 도서관의 목적 및 목표와 관련하여 장서, 도서관프로그램, 봉사, 홍보, 이용자 세분화, 도서관 브랜드화와 같은 다양한 범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공도서관의 마케팅은 도서관과 관련된 협회 및 후원기관과 같은 조직적 지원과 관심 속에 의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관련 기관은 도서관의 마케팅 활동을 장려하고 격려하기 위해 시상 및 후원금을 지원함으로서 도서관 마케팅 활성화를 유도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국외 공공도서관 마케팅의 활동은 정형화된 기획안이나 보고서의 형태로 구체적 활동 사례가 보고되고 있어 마케팅 활동에 대한 정보공유가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마케팅 활성화 방안을 공공도서관 마케팅 지원 방안과 활용 방안으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마케팅 활성화를 위한 지원 방안은 첫째, 공공도서관에서 업무 수행을 위한 예산지원 및 후원 확대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인력확충 및 전담부서 설치를 통해 마케팅이 도서관의 주요 업무 중 하나로 인식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사서들이 업무의 현장에서 마케팅을 활용할 수 있도록 마케팅관련 교육 및 세미나를 통한 교육 기회가 부여되어야 한다. 마케팅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활용 방안은 첫째, 마케팅을 업무에 활용하고자 하는 사서들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공공도서관 현장에서 전략적 마케팅이 기획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체계적 마케팅 전략 수립 방법을 포함한 전략기획방안을 제안하였다. 둘째, 현장에서 근무하는 사서들은 공공도서관 마케팅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얻길 바라고 있으나 현장의 사례가 드물다는 점에서 마케팅 사례의 개발이 요구된다. 셋째, 도서관 별 협력을 통한 마케팅 프로젝트의 시도와 자관의 마케팅에 대한 홍보 및 마케팅 활동의 정보 공유가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talize marketing activity for public libraries in Korea. This paper consists of literature research, present status research, a questionnaire survey, and case studies. The literature research includes the concept of a public library, its definition, its features, and the necessity of its marketing. The types and techniques of library marketing for public libraries were also investigated. In order to grasp current conditions of marketing activity, public libraries in Korea were used for the subjects of present status research and a questionnaire survey. These shed light on the librarians perceptions and gave a broader understanding of the weak points of public libraries’ marketing status and its strong needs for promotion in the relative field. The case studies focused on International Marketing Awards. They hosted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and National Library Week Grant's cases which presided over the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