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8 Download: 0

의미관련 질문 제시가 한국 고등학생의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Title
의미관련 질문 제시가 한국 고등학생의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Questions about Word Meaning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L2 Vocabulary Learning
Authors
김집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Vocabulary plays a key role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n that it is intertwined with four language skills: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In spite of its importance, there have not been enough studies done compared with other fields in language learning. As a result, there exist many misunderstandings about vocabulary learning which are likely to mislead language teachers and learners. One of the misconceptions about vocabulary learning is the neglect of the need for vocabulary teaching and learning. Among various perspectives on vocabulary learning, the view of information processing comprehends that the human mind has a limited capacity to process information. With this viewpoint, it is the main concern to help learners allocate their limited resources efficiently to process the word as input. In this sense, attention is crucial to learning, and we have to decide in which way learners should be induced to pay attention to vocabulary learning: form or meaning of new words. Considering meaning and form of words, semantic elaboration focusing on the meaning of words is believed to lead to greater retention of words than structural elaboration focusing on the form of words. Unlike what many researchers and instructors believe, Barcroft(2003) suggested that semantic elaboration could inhibit vocabulary acquisition. He argued that addressing questions that engaged learners in enough semantic processing had a potentially inhibitory effect on vocabulary learning. Given that there have been mixed findings in vocabulary studies concerning semantic elaboration, we need to make certain if this result could be applied to Korean high school students’ vocabulary learning.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ddressing questions about word meaning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L2 vocabulary learning. The participants were Korean high school students who attempted to learn 24 words through the semantic elaboration condition (addressing questions) and the control condition (using their own vocabulary learning methods). The group 1 attempted to learn words 1 through 12 in the semantic condition, and words 13 through 24 in the control condition. The group 2 went through the same procedure, but in reversed order. After the learning phase, all the participants took L2 and L1 free recall test. Besides free recall tests, they completed a posttest which was composed of English cued recall, filling in the blank, choosing an appropriate word to examine the effects of learning. Two weeks later, participants took short-term test that included English cued recall, filling in the blank and choosing an appropriate word to examine the short-term memory of the words they learned. In addition, long-term test was followed to investigate participants’ long- term memory of the words in four weeks after the short-term test. This was the same test format as the short-term test.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 of L2 and L1 free recall tests showed that the scores of the control condition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semantic condition, but we cannot say it was caused solely by addressing questions in learning phase. Because it was revealed that there exist interaction between the condition of learning and the languages. Secondly, there was no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cores between the semantic condition and the control condition in each of the three posttest, short-term test and long-term test.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it h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L2 vocabulary learning to address questions about word meaning, except the interaction between addressing questions and languages in free recall tests. It could lead to a new perspective, if future studies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mantic processing and languages in a cued recall test or other task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n addition, it can help to advance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of semantic elaboration to apply other various methods of semantic elaboration to Korean high school students’ L2 vocabulary learning. Despite the fact that no statically significant effect of addressing questions was found in the present study, other ways of semantic elaboration might have different effects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L2 vocabulary learning.;우리나라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영어교육의 목적이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 있음을 밝히고,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네 가지 기능을 통합적으로 교수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영어 학습에 있어서 어휘는 이러한 언어의 네 기능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휘 학습에 관한 연구는 다른 언어 학습 분야에 비해 미흡한 실정이다. 1980년대 이후 이전보다는 활발한 어휘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어휘 학습 전략이나 암시적·명시적 어휘 학습 등에 편중된 경향을 보인다. 의사소통 중심 접근법의 대두로 문맥을 통한 우연적이고 암시적인 어휘 학습이 더 의미 있는 것처럼 간주되기도 하지만, 우리나라 고등학생들과 같이 영어를 외국어(EFL)로 배우는 상황에서는 우연적 어휘 학습에 필요한 충분한 입력을 제공 받을 기회가 보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명시적인 어휘 교수와 학습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어휘 학습을 이론적으로 접근하는 다양한 방법 중에서 정보처리 관점은 인간의 한정된 자원을 어떻게 할당하여 입력으로 제공된 어휘의 요소 별 특징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효과적인 어휘 학습으로 이어지는 것인지에 관심을 갖는다. 입력 처리 이론에는 어휘의 의미를 처리하는 것이 깊은 수준의 처리로서 어휘를 더 오래 기억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주장하는 이론, 학습과 평가의 과제 성격에 따라 효과적인 어휘 학습은 달라진다는 이론, 그리고 어휘의 의미 처리가 어휘 학습에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이론 등이 존재해 왔다. 그리고 어휘의 의미에 초점을 맞추는 의미적 정교화가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실행되어 왔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효과적인 어휘 학습에 관한 일관된 입장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미적 정교화의 방법으로 어휘의 의미와 관련된 질문을 제시해주는 것이 한국 고등학생의 어휘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실험참가자는 서울시내 남자 고등학교 1학년 각 37명의 두 집단으로, 두 집단 모두 질문을 제시 받고 어휘를 학습한 의미적 정교화 조건과 특별한 지시 없이 평소 자신이 사용하는 어휘 학습법을 사용해 어휘를 학습한 통제 조건을 통해 어휘를 학습 한 후 평가를 받았다. 평가는 L2와 L1 자유 회상, 단서 회상, 빈 칸 채우기, 알맞은 단어 고르기를 포함한 다섯 개의 영역에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미관련 질문제시가 자유 회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자유 회상 평가 결과 L2와 L1자유 회상 점수가 통제 조건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L2 자유 회상의 경우 질문 제시 여부에 따라 두 학습 조건 간 1.8점의 점수 차이를 보인 데 반해, L1 자유 회상의 경우 0.49점의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미루어 통제 조건의 점수가 높은 것이 전적으로 질문 제시의 영향에 의한 것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본 연구의 L2 와 L1자유 회상의 결과는 어휘 학습의 조건과 회상 언어 사이에 상호작용이 존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의미관련 질문 제시가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학습 후 바로 실시한 사후 단서 회상, 빈 칸 채우기, 알맞은 단어 고르기의 평가 점수는 통제 조건에서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두 학습 조건 간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의미관련 질문 제시가 어휘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학습 후 2주와 6주 후 실시한 단기 및 장기 단서 회상, 빈 칸 채우기, 알맞은 단어 고르기의 점수는 평가의 모든 영역에서 두 학습 조건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 조건과 언어 사이에 상호작용이 존재함을 밝혀낸 자유 회상 평가 외의 다른 평가 영역에서는 어휘의 의미와 관련된 질문 제시를 통한 의미적 정교화 학습이 어휘 학습과 기억에 미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발견되지 않았다. 많은 시간과 반복의 과정이 필요한 어휘 학습에 있어 1회로 끝난 본 연구의 학습 상황 설정은 의미관련 질문 제시를 통한 의미적 정교화가 어휘 학습과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에는 충분하지 않았을 수도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선행연구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의미적 정교화가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는 아직까지 일치된 결과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의미관련 질문 제시가 아닌 다른 의미적 정교화 방법을 사용하여 보다 많은 학습의 기회를 제공한다면 다른 연구 결과를 얻을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 비해 다양한 영역에서의 평가를 시도하였고, 학습의 지속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서 오랜 시차를 두고 단기 및 장기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점을 후속 연구에 반영하여 다양한 의미적 정교화 어휘 학습 방법을 설정한다면 의미적 정교화가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영어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자유 회상에서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 조건과 언어 사이의 상호 작용이 단서 회상 등의 다른 평가 영역에서도 존재하는 지를 연구한다면 모국어와 어휘 학습 방법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효과적인 어휘 학습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