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4 Download: 0

텍스트 유형에 따른 직소 듣기 활동이 고등학교 학습자의 영어 말하기 능력 및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Title
텍스트 유형에 따른 직소 듣기 활동이 고등학교 학습자의 영어 말하기 능력 및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Speaking Proficiency Differentiated by Jigsaw Listening Text Types
Authors
권정희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의사소통이 능력이 강조되고 있는 오늘날과 같은 국제화 시대에서 말하기 능력은 필수적이다. 외국어로서 영어를 학습하고 있는 한국 학생들에게 실제성 있는 듣기 상황을 제공하고 연습시킴으로써 듣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 절실하다. 이를 위해서 듣기 활동 과정에 직소 활동을 도입하여 말하기 측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말하기의 경우, 영어 능력 뿐 아니라 인지적 성장까지 도모하는 효과적인 말하기 학습법, 특히 교실 상황에서 보다 많은 의미 협의를 이끌어 낼 수 있는 협동학습을 이용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경쟁적 학습 방법을 협동적으로 바꾸고 개인 활동보다는 집단으로 학습 활동을 구성하며, 학생들 모두가 학습의 주체가 되어 배우고 가르치는 상호작용을 하도록 하는 협동학습으로는 직소 활동을 들 수 있으며, 이는 경쟁이 문제시되고 있는 교육현장에서 공동체적 삶을 위한 사회성 발달을 도모하는데도 필수적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학습자들의 듣기 활동에 직소를 도입하여 텍스트 유형에 따라서 학습자의 영어 말하기 능력과 영어 학습의 정의적인 측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고등학교 1학년 학습자 60명을 대상으로 총 4차시의 듣기 수업을 실시하였는데, 실험집단 30명에게는 이야기글 듣기 자료를 이용한 직소 활동을 또 다른 실험집단 30명에게는 설명문 듣기자료를 이용한 직소 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 모두에서 모두 직소 활동 후 영어 말하기 능력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야기글 집단과 설명문 집단 모두 말하기 능력 중 정확성과 유창성, 복잡성, 의미협의의 측면에서 모두 긍정적인 효과를 보았다. 직소 활동이 영어 말하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에도 불구하고 텍스트 간의 차이는 발생하지 못했는데 이는 비교적 짧은 기간의 활동 후 평가를 통한 결과이기 때문이며 만약 장기간에 걸쳐 실험을 실시했을 경우의 결과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실험 집단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설문 조사와 면담 결과를 통해 직소 듣기 활동이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결과를 분석해 본 결과 학습자들은 듣기 자료를 이용한 직소 과업에 전반적으로 만족하였으며 특히 협력을 수반하는 본 과업의 형태와 과업 수행 중 활동에 흥미를 느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두 집단의 학습자 모두 직소 활동을 통해 말하기 능력 자체보다는 협동학습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한 심층면담을 실시한 결과 학습자들은 대부분 직소 활동이 효과적이었다고 평가했지만, 수준별로 다른 학생들의 집단 구성에 대한 문제점이 제시되었고 이를 위한 능동적인 교사의 역할을 제안하였다. 셋째, 직소 활동의 각 집단별 상위 학생 2명과 하위 학생 2명의 의미협의를 분석해 본 결과 실험이 후기로 갈수록 학습자들의 의미협의에 향상이 있었다. 실험 전에는 학습자들의 의미협의에 익숙지 않아 명료화 요청이 많았던 반면, 후기에는 재확인과 이해 확인이 많이 이루어졌다. 반면, 간접적 오류 수정의 경우는 교사와 학생 간의 발화에서 주로 나타나는 유형이라는 점에서 그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집단 별로 의미협의로 이루어진 발화를 통해 상위 집단이 하위 집단보다 더 많은 의미협의를 이루어냄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듣기자료를 이용한 직소 활동이 고등학교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을 때 말하기 능력과 영어 학습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의 영어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말하기 학습 방안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영어 말하기 수업에서 본 과업을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자료를 사용하고 집단을 신중하게 구성하여 모든 수준의 학습자들이 높은 학습 효과를 얻고 만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한다.;Language learning aims at developing learner autonomy in speaking, listening, writing and reading. Autonomous language learning ultimately enables learners to achieve communicative competence for successful communication in real-life. In particular, the aim of English education today is to develop learners' communicative competence that involves the use of both listening and speaking.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peaking abilities use of two types of jigsaw listening texts.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change the teaching of speaking for the better, and the jigsaw text was chosen for its learner-centered, communicative desire. Jigsaw tasks are created by dividing information to be mastered into several parts and assigning each members of the group responsibilities for one of those parts. After that, students share their assignment to make a whole story. For this study, the students were conducted for four weeks with sixty high school students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was provided with narrative listening texts before doing jigsaw tasks and the other group was provided with expository listening texts. The main results of the experim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experiments showed jigsaw activity both narrative texts and expository texts was effective for speaking proficiency. Both text typ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peaking abilities of the learners in terms of fluency, accuracy, complexity and negotiation of meaning. Second, it was found both typ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tudents' motivation for cooperative learning based on the analysing about questionnaire and survey of the students. Most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jigsaw task. Both group showed more confidence in speaking English after jigsaw tasks and have much interest to speak English. Third, jigsaw activities invoke more negotiation. The characteristics of negotiation of meaning didn't show much difference between the narrative text and the expository text. Both groups relied on clarification request but they tried more confirmation checks and comprehension check later.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hown that jigsaw activities both narrative text and expository text have positive effects on speaking proficiency. But there are no difference between narrative text and expository text. And jigsaw activities facilitate cooperative learning and communicate among students. Therefore, jigsaw tasks are recommended considering current Korean English speaking practice. However, for more effective application of the task, the teacher should be consider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the group organization. As the above study results suggest, the use of jigsaw listening text has positive effects on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speaking ability and affective aspects. If jigsaw listening activity is applied to the English education field, it will be able to make contribution not only for the improvement in communicative competence which is ultimate aim of English education but also for the attitude which is important in learning English. It is also necessary to handle various text types to encourage students' interes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