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4 Download: 0

코퍼스 자료를 활용한 문법 학습 활동이 고등학생의 영어 문법 규칙 이해 및 표현에 미치는 영향 연구

Title
코퍼스 자료를 활용한 문법 학습 활동이 고등학생의 영어 문법 규칙 이해 및 표현에 미치는 영향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eaching English Grammar through the Pedagogic Corpus and its Effect on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of Grammar
Authors
이진우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Language learning based on corpus, a combination of massive real language materials, is one of methods of data-driven learning (DDL). Therefore, learners can obtain more information on actual language usage and deduce the principles by analyzing materials for themselves through inductive approach, which increases their own initiative in learning. Accordingly, the current study aims to proposes the use of pedagogic corpus as one of methods for English grammar lesson by investigating the effect of pedagogic corpus in teaching English grammar and observing attitude changes of learners toward English learning and grammar learning.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as students in their first year at a high school in Seoul a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r 5 weeks in the following method. First of all, th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that uses grammar learning materials taken from pedagogic corpus and a control group that learns grammar in a traditional method. As for the experimental group, grammar lesson was conducted by observing the corpus materials corresponding to target grammar that were edited by a teacher in advance, building a hypothesis regarding grammar rules through group work or pair work, and deducing rules by analyzing different examples. The learners's grammatical competence was tested before and after a lesson using this procedure and achievement test was also conducted regarding the target grammar of every lesson. In this process, the use of corpus in teaching grammar was tested for effectiveness in improvement of the understanding of grammar and grammatical production by the learners. In addition, the learners were observed for any change in attitude toward English learning and grammar learning through before and after surveys in terms of definitional aspect. The learn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asked question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using corpus. The analysis of the test results and subjects for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of all, use of corpus in grammar learning presented a positive result in the degree of the learner's understanding of grammar rules. Especially, in the high leve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that used corpus obtained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that used the traditional method. Secondly, it was found that grammar learning using corpus did not result in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mmatical expressions of learners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method of the control group. In particular, in the low level of English proficiency, the traditional method showed higher improvement in studying grammar than the method using corpus.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use of corpus was not effective in improving grammatical expressions of learners in low level. Finally, in connection with the influence of grammar learning using corpus on learner's definitional area, it was found that the learning method using corpus produced a positive influence on motivation to learn English, attitude towards English grammar, and motivation to learn English grammar. However, the control group that used the traditional method also showed such chances in affective aspects. The result of the testing that was performed to substanti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demonstrated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terms of affective aspect. In the questionnaires conduc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study method was administered, 88% of the learners stated that the use of corpus was helpful in grammar learning. They reacted positively by saying that when corpus was used they were able to increase the ability to apply grammar by using the examples with a set of grammar rules and felt a sense of accomplishment by being able to find the rules on their own. The above study results provide the following suggestions to English teachers and language education researchers as to the method of using corpus in language learning. First, use of corpus materials can help learners understand grammar rules since it provides input of visualized language features. Particularly, for learners in high level with sufficient capabilities to handle linguistic input, it was proved that grammar learning using corpus is effective. Therefore, a sufficient number of examples should be provided so that the learner will be guided into exploring the materials. Second, the study method using corpus can create a psychological burden on the low level learner regarding language input materials both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In other words, low level learners may feel the materials in corpus burdensome, and consequently they may not be able to internalize the learning materials. Consequently, providing a pedagogical corpus designed on the basis of learner's needs for target language may produce a positive result. Lastly, to prevent anxiety felt by learners when analyzing corpus materials and coming up with his/her own rules, the teacher should not insist on discovery learning from the beginning of lesson, instead, should increase the role of the learners gradually at the request of the learners' needs in order to maximize the educational effect in using corpus. This study has proposed the effects of using corpus materials on the understanding and expressions of grammar rules. If more systematic educational corpus, teaching models and study activities are developed and applied to classrooms in future studies, they will become more meaningful in language learning.;방대한 실제 언어 자료의 집합체인 코퍼스를 기반으로 한 언어학습은 자료중심학습(data-driven learning, DDL)의 한 방법으로서 학습자들은 이를 통해서 언어의 실제 사용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고 귀납적인 방법을 통해 스스로 자료를 분석해서 규칙을 도출함으로써 학습에서의 자율성이 신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어 문법 학습에서 교육용 코퍼스를 활용한 방식의 효과를 검증하고 학습자들이 영어 학습과 영어 문법학습에 대해 가지는 태도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문법수업의 한 방법으로서 교육용 코퍼스의 활용에 대해 제고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 고등학교 1학년 학습자들을 연구대상으로 정하고 5주간 실험을 진행하였는데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학습자들을 교육용 코퍼스에서 추출한 문법 학습 자료를 활용하는 실험집단과 전통적인 방식으로 문법학습을 하는 통제집단으로 나누었다. 실험집단은 교사에 의해 미리 편집된 목표문법에 해당되는 코퍼스 자료를 관찰하고 소집단 활동이나 짝활동을 통해서 문법규칙에 대한 가설을 세우며 서로 다른 용례들을 분석하여 규칙을 도출해내는 과정으로 문법학습을 진행하였다. 학습자들에게 사전 및 사후 문법 능력 검사와 매 차시의 목표 문법항목에 대한 형성평가를 실시하여 코퍼스를 활용한 문법 학습의 효과를 학습자의 문법규칙 이해도와 문법적 표현능력의 측면에서 검증하고자 했다. 또한 정의적 측면에 대한 사전 및 사후 설문을 실시하여 학습자들이 영어 학습과 영어 문법학습에 대해 가지는 태도의 변화를 살펴보고 실험집단에게는 사후 심화설문을 실시하여 코퍼스 활용의 교육적 의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의 분석과 논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법학습에서의 코퍼스의 활용은 학습자의 문법 규칙 이해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영어능력 상위집단에서 코퍼스를 활용한 문법학습을 한 실험집단이 전통적인 방식으로 학습한 통제집단에 비해 높은 성적을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퍼스를 활용한 문법학습은 전통적인 방식의 문법학습과 비교하여 학습자의 문법적인 표현능력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오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어 능력 하위수준에서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문법을 학습한 통제집단의 향상도가 코퍼스를 활용한 실험집단보다 높게 나타나 코퍼스의 활용이 하위수준 학습자의 문법 표현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는 효과적이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끝으로 코퍼스를 활용한 문법학습이 학습자의 정의적인 영역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영어 학습에 대한 동기, 영어 문법에 대한 태도, 영어 문법 학습에 대한 동기의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통적인 방식으로 문법학습에 임한 통제집단에서도 이와 같은 정의적인 태도의 변화가 일어났는데 집단 간 차이 검증을 실시한 결과 이 두 집단의 정의적 측면의 변화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에게 실시한 사후 심화 설문에서 88%의 학습자들이 코퍼스를 활용하는 것이 문법학습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으며 코퍼스를 활용하면 규칙이 적용된 다양한 예문들을 통해서 적용능력을 높일 수 있다는 점과 규칙을 스스로 찾아내고 적용하는 것에서 성취감을 느낄 수 있다는 점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영어교사와 언어교육 연구자들에게 언어학습에서 코퍼스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코퍼스 자료를 활용하면 특정 언어자질을 가시화시킨 입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문법 규칙의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상위 수준의 학습자들에게는 충분한 언어 입력을 다룰 수 있는 능력이 있어 코퍼스를 활용한 문법 학습이 효과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용례를 충분히 제공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자료를 탐구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코퍼스를 활용한 학습에 대해 하위수준의 학습자들은 언어 입력 자료에 대해 질적인 측면과 양적인 측면 모두에서 부담을 느낄 수 있다. 즉 하위수준의 학습자들은 어휘력의 부족으로 코퍼스자료의 내용의 측면과 용례의 양에 대해서 부담을 느껴 학습내용이 내재화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학습자의 목표어에 대한 요구에 기초하여 설계된 교육용 코퍼스를 제공하는 것이 긍정적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정의적인 측면에서 학습자들이 코퍼스자료를 분석하여 스스로 규칙을 도출하는 것에 불안감을 갖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학습초기부터 무조건적으로 발견학습을 하도록 요구할 것이 아니라 학습자의 요구에 따라서 점진적으로 학습자 역할을 증대시키는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이 코퍼스 활용의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교사에 의해 미리 추출된 코퍼스 자료를 활용하여 문법규칙의 이해와 표현에 미치는 효과를 제시하였으나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보다 체계적인 교육용 코퍼스의 구축과 다양한 수업모형 및 학습활동이 개발되어 수업현장에서 적용된다면 언어학습에 대한 보다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