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01 Download: 0

도미니크 라카프라의 역사적 트라우마 연구

Title
도미니크 라카프라의 역사적 트라우마 연구
Other Titles
Dominick LaCapra’s Historical Trauma Studies on the Holocaust
Authors
정지민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Dominick LaCapra’s trauma studies focused on the holocaust in Nazi Germany, and provides explanations and examples for an appropriate and extended understanding of his theoretical concepts as well as the significance of the ethical turn. LaCapra’s stance regarding existing studies on the holocaust, the relation his own holocaust theory has with his outlook on history in general, and the central concept of the negative sublime and the ethical turn are treated. LaCapra’s holocaust theory begins with the recognizance of problems encountered by existing research on the holocaust. It is a psychoanalytic approach that culminates in incorporating the transcendental as an object of contemplation from a historical point of view. It is also the part of his work which reflects heavily on his affiliation with critical theory. Chapter 2 takes a brief look at previous studies on the holocaust, chapter 3 deals with LaCapra’s psychoanalytic approach in trauma studies and its concepts, and chapter 4 takes a look at the negative sublime as the central topic of LaCapra’s holocaust theory, and the meaning of the ethical turn. Historians’ diverse approaches to the subject of the holocaust featured a debate on the uniqueness of the holocaust and an attempt to harmonize the event into the context of modernity. At the same time, there was the difficulty of a historical approach to the seeming incomprehensibility of the traumatic event. LaCapra sees the normalization of the holocaust as a potential venue for political intentions and ultimately sees the uniqueness debate as unproductive; he terms the holocaust as a limit-case, and warns against the marginalization of memory. As for the functionalist approach that seeks to understand the holocaust through the structure and system of Nazi Germany and the correlation of modernity with instrumental rationality, LaCapra points out that crucial differences between historical agents may be obliterated as a result of their conflation in such narratives of modernity that ultimately sees everyone as victims. Debates focused on the uniqueness and modernity can, in effect, cause distortion and normalization of the holocaust. They are also related to the incomprehensibility of the traumatic event. LaCapra’s psychoanalytic approach suggests a desirable articulation of memory within history, through useful concepts of acting out and working through. In other words, historians attempting to approach their object of study from their complex subject-positions should refrain from excessive identification with particular objects of study, the result of which may be the suppression of certain memories. Secondly, the repetitive temporality provided by psychoanalysis presents the historical trauma as the return of the repressed in history, occurring each time with variations. This hypothesis is beyond foundational presuppositions and contextual reductions, and leads to an understanding of the holocaust in both its transcendental and immanent aspects. The transcendental as a historical object can offer ways to contemplate potentially desirable practice for the present and future. It can also help to distinguish and avoid redemptive narratives based on a progressive and linear temporality. Thirdly, the historian’s relationship with the object of study is presented as transference, which involves the repeated return to the object in a manner that accentuates the problematic elements often overlooked when forming a narrative meaningful to the historian. The concept of empathy is also given; it refers to being conscious of the alterity of the other, as opposed to identification. LaCapra also argues against the conflation of structural and historical trauma, and of absence and loss. His theory is a challenge to the aspects of the holocaust deemed to be incomprehensible and even inducing silence. The central theme examined by this study is the negative sublime, which can be understood as the inverted form of the Kantian sublime in history. It is found in the complex and instable interactions of religion and secularization. The negative sublime, or the aestheticization of politics, is found in Himmler’s 1943 speech at Posen. LaCapra’s ethical turn is foremost a normative turn, which indicates the (potential) presence of the sublime and its pursuit, and the need to open to debate the question of what becomes an excess or a limit-case. Secondly, it seeks to establish the status of ethics as a possible mode of critique for aesthetics and art, not as an autonomous criterion but as a sphere deserving more prominence. Thirdly, the ethical turn is a precaution against redemptive narratives that looks at the holocaust as an instance of a complete or dialectic understanding of history involving notions of challenged but surviving values such as human dignity. It is also against the sublimation of trauma through a fixation on the incomprehensibility of the traumatic event. An ethical turn in these aspects requires translatability in this world of incommensurability and the potential pursuit of the (negative) sublime. Without relying on simply pragmatic or foundational assumptions, LaCapra suggests the possibility of translation, a substantive rationality and enlightenment through the project of critical theory within the field of history.;본 연구는 도미니크 라카프라의 역사적 트라우마로서의 홀로코스트 이론을 검토하고 윤리적 전환으로 귀결되는 개념들의 이해와 확장을 위한 설명과 예시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기존 역사연구를 반영한 라카프라의 문제의식, 라카프라의 전반적인 역사연구 속에서 홀로코스트 이론이 차지하는 의의, 그리고 그 중심적인 개념과 윤리적 전환을 다룬다. 라카프라의 홀로코스트 이론은 기존 연구가 봉착한 난제들을 인식한 결과이며, 정신분석학적 접근이자 기초주의적인 가정을 하지 않고 초월적 대상을 역사연구에 포함시키려는 기획이다. 또한 비판이론가로서의 라카프라의 면모를 드러내어 보여주는 연구이다. 이를 조명하기 위해 2장에서는 홀로코스트의 연구사를, 3장에서는 라카프라의 정신분석학적 틀을, 4장에서는 라카프라의 홀로코스트 이론의 중심개념으로 부정적 숭고 및 윤리적 전환을 다룬다. 기존의 홀로코스트 역사연구에서는 사건의 특수성에 대한 공방과 시대적 맥락 속에 위치시키려는 작업이 있어왔다. 동시에 홀로코스트의 불가해한 측면을 역사학적으로 다루는 것에 어려움이 따랐다. 라카프라는 다른 사건과의 비교등급화가 이루어질 때 개입하는 정치적 의도의 가능성을 지적하며 ‘극한사례’의 개념을 도입하였고, 기억의 주변화를 우려하였다. 또한 체제와 구조, 도구적 합리성을 통해 근대적 사건으로서 홀로코스트를 이해하는 기능주의적 접근에 대하여는 특정한 역사적 대상간에 있어야 할 경계가 흐려질 가능성을 지적하였다. 기억의 억압과 구조에 치우친 설명은 사건의 왜곡과 희석화를 야기한다. 특수성과 근대성에 관련된 두 난제는 홀로코스트의 불가해한 측면으로 귀결되며, 이를 어떻게 역사학적으로 다룰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남는다. 이러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한 라카프라의 정신분석학적 틀은 기억과 역사의 바람직한 관계를 재고하는 것으로, 첫째로 행동화와 성찰적 극복의 두 개념을 내세운다. 다시 말해 자신의 복합적인 주체위치와 대상과의 관계 속에서, 특정 대상과의 지나친 동일시와 그에 따른 특정한 기억의 억압을 경계해야 하는 역사가의 상이 제시된다. 둘째로 정신분석학적 접근의 비선형적 시간성은 역사적 트라우마를 억압된 것의 회귀로 설정하여, 변형을 가해 반복되는 변칙적인 사건으로 바라보게 해준다. 이는 역사적 트라우마에 대한 기초주의적인 가정이나 컨텍스트주의적인 설명을 벗어나, 초월적인 측면과 내재적인 측면을 모두 갖춘 사건으로서 홀로코스트를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초월적 대상을 역사연구에 포함시켜야 할 필요성은 현재와 미래를 위한 바람직인 실천이라는 맥락에서 성립하며, 선형적인 시간성에 기초한 구원적 내러티브와 차별되는 역사서술을 가능케 한다. 셋째로 역사가는 회귀로서의 트라우마를 연구하기 위해 반복적인 전이를 통한 접근을 하는 것으로 상정되는데, 전이는 역사가 자신에게 유의미한 요소들에만 주목하는 것을 피하는 태도이다. 대상과 동일시를 하는 대신 차이에 주목하는 이입의 개념이 제시된다. 라카프라는 홀로코스트를 구조적(초역사적) 비극과 내재적인 역사적 비극 중 어느 한 쪽으로 환원시키지 않고, 근본적인 부재를 구체적인 상실과 혼동시키지 말아야 할 필요성을 주장한다. 그의 이론은 특히 홀로코스트의 불가해성의 난제에 도전하는 것으로, 비선형적 시간성 속에서 종교와 세속화 과정의 불안정한 상호작용 그리고 전도된 형태의 숭고를 추구한 나치 이데올로기에 초점을 둔다. 정치의 미학화와 연결되는 부정적 숭고는 칸트적 숭고개념이 역사적으로 현현한 것으로 제시되는데 이를 위해 히믈러의 연설을 살펴본다. 라카프라의 윤리적 전환은 첫째로 미학적인 기획인 숭고가 추구될 가능성을 현 사회의 맥락에서 경계하기 위한 것이고, 한 사건을 과도한 것으로 규정짓는 기준을 토의에 열어놓는 규범적 전환이기도 하다. 둘째로는 학문분야로서의 예술이나 미학의 위치에 가리워진 윤리의 위치를 재고하자는 제안이다. 셋째로 역사서술을 통해 온전한 이해나 인간의 존엄성 등의 특정한 가치를 입증하기 위한 계기로 홀로코스트를 보는 구원적 내러티브, 그리고 불가지론적이고 트라우마 자체를 숭고한 것으로 설정하는 태도를 경계하는 것이다. 회귀하는 트라우마로서의 홀로코스트는 토의를 요구하는 것인데, 라카프라는 기초주의적인 전제나 실용주의에 의지하지 않고 실질적인 의미에서의 소통가능성과 계몽을 제시하고 있으며, 역사와 비판이론의 결합을 시도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