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2 Download: 0

공공도서관의 경제적 이용가치 측정 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공공도서관의 경제적 이용가치 측정 방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ethod of Measuring the Economic Use Value of Public Libraries
Authors
표순희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methodology for measuring use value of the public library in terms of time value, surplus value of alternative service, value of library service, and overall value of library. This study firstly reviewed the scope and definitions of the value of public librarie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examined various methods of public library valuation from previous case studies. And then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423 adult users at a selected public library in Seoul, which investigated the following four types of use value: 1)Time value: the cost and time for users to spend using the library, 2)Surplus value of alternative service: the cost and time to use alternative services, for example purchasing a book at a bookstore instead of borrowing it from the library, 3)Library service value: user's willingness to pay (WTP) for library services such as borrowing books, using facilities and equipments in the library, and using various library programs, and each service's cost benefits compared to market prices, and 4)Overall value of library: user's willingness to pay for using the library. This study also statistically analyzed which factors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four types of use value using both ordinary least squares (OLS)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Users' behavior to use library, users' perception on and satisfaction with the library, and their socio-economical factors were dealt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cost-benefit ratio of the time value compared to library's annual budget ranged from a minimum 8:1 to a maximum 11:1. It showed that the time value has higher cost-benefits than library's annual budget. The time value was calculated by applying the average wage of workers in Seoul according to their gender and economic activities. The lower income or the higher expectation that library use will be helpful economically the respondents had, the longer time they spent at the library. And in cases of those who did not have a library card or it took longer time to visit the library, their usage cost and time value are shown to be higher. Second, the surplus value of alternative service wa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alternative service value and comparing it with time value. The alternative service value was calculated in the same way as the time value. The calculated alternative service value and the surplus valu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gender and economic activities. When the amount per hour was applied differently according to economic activities, the cost-benefit ratio was shown to be 1.3:1, which is 30% surplus value compared with the library budget. The cost and time to use alternative services showed a proportional relationship. The lower the perception that user had regarding the educational contribution of libraries, the higher their alternative service usage cost was, and the cost and time to use alternative services were higher with women than with men. Third, the library service value was measured by applying the market value of alternative service to the library service and user’s WTP regarding each of the services. The cost-benefit ratio of library service value that applied its market value was 2.6:1, but the cost-benefit ratio that applied user’s WTP was 0.2:1, showing that the value which made use of market value was over ten times higher than the one that used user’s WTP. Factors that influenced library service value were library visiting hours, cost to use library, satisfaction with library facility and equipment, and user’s income. Fourth, the overall library value was measured by user’s WTP for using the library. The value was derived and measured through two types of question methods, the double bounded dichotomous choice questions and open ended questions. Their cost benefit ratios were shown to be 0.2:1 and 0.3:1, respectively, which showed that the library value that users indicated only took up 20% to 30% of the budget invested in operating the library. It is a low value compared to the results shown by time value and surplus value of alternative service. In cases of those who had a library card or the higher their frequency of library usage, the higher their income, the lower their alternative service usage time, the overall library value was shown to be higher. This study proposed the method for measuring use value of the public library such as follow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se measruements for each value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values. First, the libraries that are relatively useful to measure the use value with time value are those with many users who are not economically active and can afford to spend a lot of time using the library. Second, the time and cost to use of alternative services were shown to be high with women. Accordingly, libraries have many women users or libraries that provide services which are relatively scarce are shown to be advantageous when the surplus value of alternative service is applied. Third, if the library want to apply the library service value to measuring the use value, they have many users who are economically active, and have physically attractive environment. Because library service value is influenced by direct and visual appearance of the library, such as the library facility by users who have income. Fourth, the overall library value measured using user’s WTP produces low values compared to those using time value and surplus value of alternative service. The reason for this is that value measurement method using user’s WTP is a measurement method that presupposes additional expenses. Accordingly, if this method is used to measure a library’s overall value, it will be most effectively used when the library users sufficiently perceive the usefulness of that library service and use it frequently.;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이용가치를 시간가치, 대체서비스 잉여가치, 도서관 서비스가치 및 도서관 통합가치로 나누어 도서관 이용자 설문조사를 통해 측정한 후 측정 결과와 가치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공공도서관을 위한 합리적인 이용가치 측정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문헌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가치의 정의와 범주를 밝히고 가치측정 사례연구를 통해 다양하게 접근할 수 있는 공공도서관의 이용가치와 측정 방법을 조사하였다. 연구 내용을 토대로 서울시의 한 공공도서관을 선정하여 성인 이용자 423명을 대상으로 이용가치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용가치는 이용자의 정보 행위와 진술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네 가지의 가치를 통해 측정되었다. 1) 시간가치: 이용자가 도서관을 이용하기 위해 소비하는 이용비용과 이용시간 2) 대체서비스 잉여가치: 무료로 도서를 빌리는 대신 서점에서 구입하는 데에 드는 도서관 대체서비스 이용시간과 이용비용과 시간가치의 차이 3) 도서관 서비스가치: 도서 대출, 시설 및 설비의 이용, 프로그램 이용에 대한 이용자의 지불금액(Willingness To Pay; WTP)과 각 서비스의 시장가격을 통한 소비자 잉여 4) 도서관 통합가치: 전체 도서관에 대한 이용자의 WTP 이용가치의 측정과 더불어,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형태, 도서관 만족도 및 인식도, 사회경제적 요인이 개별 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OLS 모형(ordinary least squares)과 이항로짓모형(binary logit regression)을 이용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산출된 가치와 가치에 대한 영향 요인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시간가치는 비용편익비율이 최대 11대 1과 최소 8대 1로 나타나, 도서관 비용을 훨씬 상회하는 가치를 나타냈다. 시간가치 산출에 적용된 시간당 금액은 서울시 근로자의 평균 임금을 성별과 경제활동 유무에 따라 구분하여 적용하였는데 적용된 금액에 따라 비용편익비율이 차이를 보였다. 개인의 수입이 적은 이용자일수록, 도서관 이용이 개인에게 경제적으로 기여 한다는 만족도가 높은 이용자일수록 도서관 이용시간이 높았고, 도서관 방문을 위해 소요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이용자일수록, 대출증이 없는 이용자일수록 이용비용이 높아 이러한 이용자들의 시간가치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체서비스 잉여가치는 먼저 대체서비스가치를 측정하고 이를 시간가치와 비교하여 산출하였다. 대체서비스가치도 시간당 금액 적용을 시간가치와 동일하게 하였으며 대체서비스가치와 이에 따라 산출된 잉여가치는 성별과 경제활동 유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시간당 금액을 경제활동 유무에 따라 차별적으로 적용한 경우 비용편익비율이 1.3대 1로 비용에 비해 30%의 초과된 가치를 나타냈다. 대체서비스 이용비용과 이용시간은 서로 비례의 관계를 보였으며 도서관의 교육적 기여에 대한 인식이 낮은 사람일수록 대체서비스 이용비용이 높았고 남성보다 여성일 경우 대체서비스 이용시간과 이용비용이 높았다. 셋째, 도서관 서비스가치는 도서관 서비스의 대체서비스 시장가격과 각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WTP를 적용하여 소비자 잉여를 측정했다. 시장가격을 적용한 도서관 서비스가치의 비용편익비율은 2.6대 1이었으나 이용자의 WTP를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0.2대 1로 나타나 시장가격을 적용한 가치가 이용자의 WTP를 적용한 가치에 비해 10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도서관 서비스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도서관 방문시간, 도서관 이용비용, 도서관의 시설 및 설비 만족도, 개인의 수입으로, 이들 변수의 값이 높아질수록 도서관 서비스가치도 높게 나타났다. 넷째, 도서관 통합가치는 도서관을 하나의 재화로 간주하고 도서관에 대한 이용자의 WTP를 도출하여 가치를 측정하였다. 이중양분형과 개방형의 두 가지 질문법을 통해 가치를 유도하였는데 두 방법으로 산출된 가치금액은 큰 차이가 없었다. 비용편익비율은 0.2대 1 및 0.3대 1로 나타났는데 이는 이용자가 나타내는 도서관의 가치가 도서관 운영을 위해 투입된 비용의 20%에서 30%만을 차지하는 것으로 시간가치나 대체서비스 잉여가치가 보여준 결과에 비해 낮은 가치를 보여주었다. 도서관 통합가치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살펴보면, 이용자들이 대출증을 가지고 있거나, 도서관 이용빈도가 높을수록, 개인의 수입이 높을수록, 대체서비스 이용시간이 낮을수록 도서관의 통합가치를 더 높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가치별 측정 결과와 영향 요인을 토대로 본 연구는 이용가치 측정 방안이 어떤 유형의 공공도서관에 합리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지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시간가치를 적용하여 이용가치를 측정 하는데 상대적으로 유용한 도서관은 경제활동을 하지 않고 도서관 이용에 많은 시간을 할애 할 수 있는 이용자들이 많은 도서관이다. 이러한 도서관은 도서관의 정보 서비스뿐만 아니라 시설 및 설비와 같은 환경이 쾌적하여 문화공간으로써의 도서관의 역할을 잘 수행해야 한다. 둘째, 대체서비스 잉여가치의 적용은 대체서비스의 소비와 희소성을 고려해야 한다. 주 소비계층인 여성 이용자의 대체서비스 이용시간과 이용비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고려하여 주택가에 인접해서 여성 이용자가 많은 도서관이나 상대적으로 희소성이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이 대체서비스의 잉여가치를 적용하여 이용가치를 측정한다. 셋째, 도서관 서비스가치는 이용자의 수입과 도서관의 시설 및 설비와 같이 직접적이고 가시적인 도서관의 모습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도심에 인접하여 경제활동을 하는 이용자들이 많이 이용하고 물리적으로 좋은 환경을 갖춘 도서관에서 상대적으로 잘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넷째, 이용자의 WTP를 통해 측정한 도서관 통합가치는 시간가치, 대체서비스 잉여가치에 비해 낮은 가치를 산출하였다. 이러한 이유는 이용자의 WTP를 통한 가치측정 방법이 추가적인 지출을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방법으로 도서관의 통합적인 가치를 측정할 경우에는 도서관 서비스의 유용성을 이용자들이 충분히 인지하고 수입이 있는 이용자들이 자주 이용하는 경우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