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224 Download: 0

구개열 아동,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 일반 아동의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 비교

Title
구개열 아동,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 일반 아동의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 비교
Other Titles
The Comparisons of the Percent of Correct Consonants, the Speech Intelligibility, and the Speech Acceptability of the Children with Cleft Palate, the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and the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Authors
한진순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구개열 화자들은 과비성 뿐만 아니라, 비누출, 자음약화, 보상조음과 같은 다양한 조음오류를 보일 수 있다. 이러한 조음오류들은 말 명료도를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타인과의 의사소통 상황에서 현저하게 띄는 부자연스러움을 유발하여 사회적 낙인을 받게 만들 수 있다. 그러나 구개열 화자들의 조음문제에 대한 연구는 주로 일반 화자나 다른 말장애 화자에 비해 조음오류의 유형, 특성 및 원인이 어떻게 다른지를 규명하는 데 치중되어 왔다. 그리고 구개열의 조음오류가 말 명료도 또는 말 용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제한된 수의 연구도 조음오류의 수 또는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또는 말 용인도간의 상관 연구에 국한되어 있다. 그리고 조음오류의 수나 자음정확도에서의 차이가 말 명료도와 말 용인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구개열 아동들의 말에서 판정된 조음오류의 수가 의사소통의 성공 정도와 관련된 말 명료도와 말의 자연스러움에 대한 주관적인 판단인 말 용인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을 비교 집단으로 하여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를 비교하였다. 연구대상 선정과정을 통해 말 표집 대상자로 선정된 아동들은 3~6세의 구개열 아동,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 일반 아동 각 9명으로 총 27명이었다. 이들에게 특정 자음 부류를 목표자음으로 한 8음절 문장 7개를 모방 산출하도록 유도하여 녹음 및 녹화하였다. 문장 조음검사 현장에서 자음의 정조음 여부를 판정한 뒤 문장별 자음정확도를 산출하였다. 이후 녹음한 문장을 각 아동 집단 별로 무선화 하여 84개 문장으로 구성된 청취자료 3 세트를 제작하였다. 이 3세트의 청취 자료를 이용하여 40명의 일반인 청취자를 대상으로 말 명료도 평정검사와 말 용인도 평정검사를 실시하였다. 두 검사 모두 10cm의 시각적 아날로그 척도를 이용하여 평정하도록 하였다. 자음정확도에서의 집단 간 차이의 유의성 검증 결과, 구개열 아동 집단은 전반적으로 일반 아동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자음정확도를 보였다. 7개의 문장 중 양순파열음문장, 치경파열음문장, 치경마찰음문장 및 치경경구개파찰음문장에서 일반 아동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자음정확도를 보였다. 특히 치경파열음문장의 자음정확도는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 집단에 비해서도 유의하게 낮았다. 연구개파열음문장, 성문마찰음문장 및 치경유음문장의 자음정확도에서는 집단차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로써 구개열 아동 집단의 조음 오류는 주로 방해음(obstruents)에서 나타났으며, 혀의 전반부를 이용하여 조음하는 [+설정성] 자질을 갖는 자음과 성도 및 구강의 전반부에서 조음하는 [+전방성] 자질을 갖는 자음의 산출에서 어려움을 보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평정명료도의 집단 간 차이의 유의성 검증 결과, 구개열 아동 집단은 전반적으로 일반 아동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평정명료도를 얻었다. 7개 문장 중 치경유음문장을 제외한 모든 문장의 평정명료도가 일반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자음정확도에서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던 연구개파열음문장과 성문마찰음문장에서도 구개열 아동 집단이 얻은 평정명료도가 일반 아동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개파열음문장의 경우 구개열 아동들의 다양한 조음오류가 목표 음소의 판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평정명료도가 낮게 나타난 것으로 여겨진다. 성문마찰음문장의 자음정확도는 구개열 아동 집단에서도 매우 높았으나, 구개열 아동들의 공명특성과 음질이 목표 음소의 판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평정명료도가 낮게 나타난 것으로 여겨진다. 평정명료도에서 구개열 아동 집단과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 집단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구개열 아동 집단이 치경파열음문장을 제외한 모든 문장에서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 집단에 비해 약간 높은 평정명료도를 얻은 경향을 보였다. 이는 구개열 아동 집단의 조음오류가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 집단에 비해 많다하더라도 명료도 평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덜 미치는 조음오류를 주로 보였고,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 집단에서 나타난 왜곡 및 대치 오류는 상대적으로 명료도 평정에 보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평정용인도의 집단 간 차이의 유의성 검증 결과, 구개열 아동 집단은 전반적으로 일반 아동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평정용인도를 얻었다. 7개 문장 중 치경파열음문장과 치경경구개파찰음문장의 평정용인도가 일반 아동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자음정확도에서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던 연구개파열음문장, 성문마찰음문장, 치경유음문장의 평정용인도에서는 구개열 아동 집단과 일반 아동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구개열 아동 집단이 일반 아동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자음정확도를 보였던 양순파열음문장, 치경파열음문장, 치경마찰음문장 및 치경경구개파찰음문장의 평정용인도는 구개열 아동 집단이 일반 아동 집단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였다. 특히, 구개열 아동 집단에서 다른 문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음정확도가 높았던 양순파열음문장과 세 아동 집단에서 다른 문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자음정확도를 보였던 치경마찰음문장의 평정용인도에서는 집단차가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치경파열음문장과 치경경구개파찰음문장의 평정용인도는 구개열 아동 집단이 일반 아동 집단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평정용인도는 자음의 정조음 여부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문장의 자음정확도가 현저하게 낮은 문장에서 평정용인도도 유의하게 낮았으며, 특히 구개열 특유의 조음오류를 많이 보인 문장에서 평정용인도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음정확도, 평정명료도 및 평정용인도의 집단 비교 결과를 종합해보면, 특정 자음 부류에서는 구개열 아동이 일반 아동과 유의한 차이가 없는 자음정확도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말 명료도가 낮게 평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에는 구개열 아동 특유의 조음오류, 공명 및 음질 특성이 작용한 것일 수도 있다. 그러나 말 용인도에 대한 평가는 정조음 여부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자음정확도가 매우 낮은 문장에서 평정명료도도 크게 저하되었다. 그리고 세 아동 집단의 자음정확도 수준에 따라 말 명료도와 말 용인도가 다소 다른 양상으로 평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구개열 아동 집단의 자음정확도, 평정명료도 및 평정용인도를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 및 일반 아동 집단과 비교하였으나, 연구대상아동의 수가 제한되어 있으며, 연령 외의 관련 변인을 체계적으로 일치시키지 못하였으므로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는 제한점이 있다. 그리고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의 측정을 위한 보다 타당한 말 자료를 표집하기 위해, 발화길이, 강도, 목표자음의 수, 말 속도 등을 통제할 수 있는 문장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조음오류의 유형이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에 미치는 영향을 세밀하게 분석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다.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의사소통 대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일반인 청취자를 대상으로 하여 구개열 아동의 조음오류를 어떻게 이해하고 어느 정도 받아들이는지에 대한 기초연구로서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집단과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구개열 아동집단의 조음오류가 말 명료도와 말 용인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험적 접근을 시도한 것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Speakers with cleft palate could have various speech problems such as hypernasality, nasal air emission, weak consonants production, and compensatory articulation errors. These kinds of articulation errors could downgrade the speech intelligibility of cleft palate speakers, which cause them to be socially stigmatized by inducing significantly noticeable unnatural responses during communication with others. However, the studies on the articulation problems in cleft palate speakers mainly have focused on identifying different types, characteristics, and causes of the articulation errors. There are very few studies of the influence on articulation errors of cleft palate on speech intelligibility and acceptability. Their focuses are restricted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s of articulation errors or the percent of correct consonants(PCC) and speech intelligibility or acceptability. So far, enough studies have not been conducted on the effect of the numbers of articulation errors or the PCC on the speech intelligibility and acceptability.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PCC derived from the speech of the children with cleft palate have effects on the speech intelligibility and on the speech acceptability.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PCC,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of the children with those of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and the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3~6 year-old 9 children with cleft palate, 9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and 9 normal developing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speakers. All subjects were asked to repeat seven sentences made of 8 syllables. All sentences produced by subjects were audio and video-recorded. At the site of the recording, the judgment of the correct articulation of the target sound was made and then the PCC was calculated for each sentence. All recorded data were randomized in order to prepare 3 sets of 84 sentences. After listening each sentence, 40 naive listeners were asked to rate both intelligibility and acceptability of each sentence on the 10 cm line of Visual Analog Scale. The group comparisons for the percent of correct consonants revealed that PCC of the total sentences in cleft palate childre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normal children. Of 7 sentences, cleft palate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lower PCC than normal children in bilabial stops sentence, alveolar stop sentence, alveolar fricative sentence, and alveolopalatal africate sentence. Especially cleft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lower PCC of alveolar stop sentence than the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However,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among 3 groups were found in velar stop sentence, glottal fricative sentence. and alveolar liquid sente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ain articulation error of cleft palate children group occurred in obstruents, and cleft children have a difficulty in the articulation of consonants having [+coronal] feature that is articulated by using the front half of a tongue, and consonants having [+anterior] feature that is articulated by using anterior part of the oral cavity. The results of group comparison showed that children with cleft palate acquired significantly lower score of speech intelligibility than normal children group. They got significantly lower scores than normal children in all sentences except the alveolar liquid sentence. Although the group difference on PCC was not significant for velar stop sentence and glottal fricative sentence, the children with cleft palate got significantly lower intelligibility score than normal children. Various articulation errors that cleft palate made in velar stop sentence children might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judgment of target phoneme, which correspondingly lower its intelligibility. Although the PCC of glottal fricative sentence was high in cleft palate children group, it is considered that the hypernasality and voice quality of cleft palate children had bad effects on the judgment of target phoneme by lowering the intelligibility. Although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 between cleft palate children group and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children, the study revealed that cleft palate children group tended to show slightly higher intelligibility than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children group in all sentences except the alveolar stop sentence. Even though articulation errors were observed more in the cleft palate children group than in the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children group, the major articulation errors of cleft palate children turned out to have less negative effects on the intelligibility rating. Relatively, the distortion and substitution errors that were mainly observed in the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children group might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intelligibility rating. The results of the group comparison of speech acceptability revealed that the cleft palate children group generally showed significantly lower acceptability than normal children group. Of 7 sentences, the cleft children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speech acceptability than the normal developing children in alveolar stop sentence and alveolopalatal africate sentence. There were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PCC between the cleft palate group and the normal child group for velar stop sentence, glottal fricative sentence and alveolar liquid sentence. However, cleft palate children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PCC than normal children group for bilabial stops sentence, alveolar stop sentence, alveolar fricative sentence and alveolopalatal africate sentence. Unlike other sentences, cleft palate children group showed higher PCC in the bilabial stops sentence than in other sentences.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in intelligibility rating was found in the alveolar fricative sentence showing relatively lower PCC than other sentences in all three children groups. But in alveolar stop sentence and for alveolopalatal africate sentence the cleft palate children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speech acceptabilities than normal developing children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the rating score of speech acceptability was found to be largely differentiated by the PCC score. Namely, the rating score of speech acceptability was significantly lowered in the sentence having noticeably low PCC. Especially, the rating score of speech acceptability was significantly low in those of sentences which showed typical articulation errors by the cleft palate children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group comparisons of PCC, intelligibility, and acceptability, it is possible that the intelligibility of cleft palate children was rated low even if the cleft palate children showed no significantly lower PCC compared to normal children in specific sentences. These results may come from the typical articulation errors, resonance, and sou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cleft palate children. However, the rating for speech acceptability was found to be largely dependent on the correctness of articulation. In another words, intelligibility was greatly downgraded by the sentences with significantly low PCC. An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elationship of speech intelligibility and acceptability could change depending the level of PCC. Although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PCC, intelligibility and acceptability of cleft palate children group to those of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children and normal developing children groups, the study included limited number of participants and controlled only participants' age. So, there is a limitation in generalizing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The study also devised the sentences controlling the length of utterance, intensity, number of target consonants, and speech rate to acquire more appropriate sample of speech data for the measurement of speech intelligibility and acceptability. Therefore, the study did not analyze the effects of correct articulation of each segmental sound on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in detail. In spite of these limitations, the significance of the present study is in the pont that the study conducted the experimental study to know the effect of articulation errors on speech intelligibility and acceptability in cleft palate children through the compariso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who do not have any organic causes. And the study could be placed on the provision of preliminary data on how the naive listener who are importantly regarded as the counterpart of communication in daily life understand the articulation errors of cleft palate children and how they accept i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