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2 Download: 0

지각된 스트레스, 부적응적 완벽주의, 자살사고의 관계

Title
지각된 스트레스, 부적응적 완벽주의, 자살사고의 관계
Other Titles
Relation to Perceived Stress, Maladaptive Perfectionism, Suicide Ideation : Focus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Problem Solving and Attachment Styles
Authors
유상미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on the perceived stress and suicide ideation. An intergrative model which relates among perceived stress, maladaptive perfectionism, suicide ideation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problem solving and attachment styles. Participants were 597 college students at the 6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They completed maladaptive perfectionism scale(Frost's MPS and Hewitt's MPS), perceived stress sale(PSS), social problem solving scale(SPSI-R), attachment styles scale(RQ), and suicide ideation(SSI). The data were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sample analysis based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the AMOS 7.0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 A t test using gender difference was significant on suicide ideation, perceived stress, social problem solving, concern over mistak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preoccupied attachment style, fearful attachment style. Suicide ideation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rceived stress, social problem solving,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insecure attachment styles. Suicide ideation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problem solving and secure attachment style. 2. The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uggested that maladaptive perfectionism par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suicide ideation. 3. The suicide ideation process model varied with social problem solving. Moderating effect of social problem solving occurr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maladaptive perfectionism. Also, Moderating effect of social problem solving occurr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suicide ideation. 4. The suicide ideation process model varied with secure/insecure attachment. Moderating effect of secure/insecure attachment styles occurr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suicide ideation. Also, Moderating effect of secure/insecure attachment styles occurr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suicide ideation.;본 연구는 자살행동을 설명하는 스트레스 취약성 모델인 Williams(1997)의 ‘고통으로 인한 외침(the cry of pain)'을 근거로 자살사고와 지각된 스트레스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 모델은 주로 상황에 대한 실패 또는 거절로 인한 스트레스, 도피 가능한 통로가 막힘, 위기를 경감시킬 만한 구원 요인의 부족이 자살행동을 초래한다고 본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지각된 스트레스, 부적응적 완벽주의, 자살사고에 대한 모형을 검증하고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수준에 따른 조절효과와 안정/불안정애착유형에 따른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 위치한 6개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이며 총 597명이 분석대상에 포함되었다. 사회적 문제해결을 측정하기 위해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척도(SPSI-R)를 사용하였고, 부적응적 완벽주의를 측정하기 위해서 선행연구들에서 부적응적으로 밝혀진 하위요인을 Hewitt과 Flett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와 Frost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에서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지각된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서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PSS)를 사용하였고, 애착유형을 측정하기 위해서 4범주 애착척도(RQ)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자살사고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Beck, Kovacs와 Weissman(1979)이 개발하여 신민섭 등(1990)이 자기 보고식 척도로 변형시킨 자살사고척도(SSI)를 사용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먼저 자살사고, 지각된 스트레스, 부적응적 완벽주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애착유형의 성차와 상관관계를 통해 각 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지각된 스트레스, 부적응적 완벽주의, 자살사고의 인과적 관계를 설정하고 검증하였다. 검증된 모형을 가지고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수준과 안정/불안정애착유형에 따른 차이를 보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여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살사고, 지각된 스트레스, 부적응적 완벽주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애착유형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먼저 각 변인들의 평균점수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자살사고, 지각된 스트레스, 실수에 대한 염려,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불안정애착유형중 의존형과 두려움 형에서 유의미한 성차가 발견되었다. 다음으로, 각 변인들 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측정변수들은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자살사고는 지각된 스트레스, 부적응적 완벽주의, 불안정애착유형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안정애착유형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지각된 스트레스, 부적응적 완벽주의, 자살사고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지각된 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모형이 지지되었다. 평균 차이 검증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므로 검증된 모형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성별에 따른 구조적 차이가 없었고, 남녀 통합된 모형을 가지고 이후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지각된 스트레스, 부적응적 완벽주의, 자살사고 모형에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수준에 따라 모형의 경로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평균점수를 근거로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나누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지각된 스트레스에서 부적응적인 완벽주의로 향하는 경로에서 조절효과가 나타나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낮은 집단은 높은 집단에 비해 지각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부적응적인 완벽주의가 더 커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부적응적인 완벽주의에서 자살사고의 경로에서도 조절효과가 나타나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낮은 집단은 높은 집단에 비해 부적응적인 완벽주의가 커질수록 자살사고가 더 커짐을 알 수 있었다. 지각된 스트레스에서 자살사고의 경로는 두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게 나타나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수준과 무관하게 지각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자살사고는 커짐을 발견하였다. 넷째, 지각된 스트레스, 부적응적 완벽주의, 자살사고 모형에서 안정/불안정애착유형에 따라 모형의 경로에 차이가 있는지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부적응적인 완벽주의에서 자살사고로의 경로에서 조절효과가 나타나서 불안정애착유형 집단은 안정애착유형 집단보다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커질수록 자살사고가 더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각된 스트레스에서 자살사고로의 경로에서 조절효과가 나타나서 불안정애착 집단은 안정애착 집단 보다 지각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자살사고가 더 커짐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스트레스에서 부적응적인 완벽주의의 경로에서 두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게 나타나서 안정/불안정애착유형과 무관하게 지각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부적응적인 완벽주의 성향이 커짐을 발견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기존의 연구들에서 지지되었던 지각된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자살사고가 높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고, 지각된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악화되어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추가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관계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수준과 안정/불안정애착유형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자살사고를 중재하기 위해 지각된 스트레스 수준뿐만 아니라 부적응적 완벽주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같은 인지적 요인들과 안정애착을 형성하기 위한 정서적 요인들에 대한 적절한 개입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