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1 Download: 0

朝鮮 正祖朝에 購入된 中國本의 書誌學的 硏究

Title
朝鮮 正祖朝에 購入된 中國本의 書誌學的 硏究
Other Titles
A Bibliographic Study on the Chinese Books Purchased in the Reign of Jeongjo of Joseon Dynasty
Authors
임지영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조선 정조조는 영조조와 더불어 조선의 문예부흥기로 꼽히며, 기존 성리학적 질서 유지와 근대로의 이행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중국본의 구입과 독서가 활발히 이루어진 시기였다. 본 연구는 정조조에 구입된 중국본에 관해 분석하고, 이들 서적이 조선사회에 끼친 영향을 규명하여, 해당 시기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정조조에 구입된 중국본에 관해 규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조조의 서적 정책에 대해 구입과 금수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정조조에는 성리학 서적과 유교 경전의 구입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또 정법류 서적, 의서, 병서 등 실용서, 서양 과학 기술 관련 서적, 총서의 구입이 추진되었다. 한편 명말청초 문집 및 소설류 서적, 당판본, 천주교 서적이 대표적 구입 금지 서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正祖實錄』, 『靑莊館全書』 등 원전 자료와 선행 연구에 의거하여, 정조조에 구입된 중국본 33종을 선별하였다. 셋째, 중국본 33종 중 현재 규장각에 소장된 21종을 가려내어, 『奎章閣圖書中國本綜合目錄』의 분류기준에 따라 경부, 사부, 자부, 집부, 총서부로 나눈 후 형태와 내용해제를 하였다. 분류 결과 경부 4종, 사부 5종, 자부 6종, 집부 4종, 총서부 2종의 서적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형태적인 측면에서는 대체로 판심어미의 형태가 단순하며, 판형이 작고 길쭉한 것이 많았다. 제책 방식은 중국 전통 방식에 따라 사침안으로 편철된 것이 많았으나, 오침안으로 편철된 서적도 4종이 있었다. 넷째, 서적 정책과 실제 구입된 중국본의 주제를 비교하여, 정조조 서적 정책의 실효성을 평가하였다. 실제 구입된 중국본의 주제를 검토한 결과, 『內閣訪書錄』의 계획보다는 사료에서 나타나는 정조의 구입 의지가 실제 서적 구입에 보다 큰 영향을 끼쳤던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실제 구입된 중국본 중 정조가 구입을 금지하였던 명말청초 문집, 수진본, 천주교 서적이 포함되어 있었으나, 그 수량이 미미하였다. 또 명말청초 문집에 해당하는 『亭林文集』은 정조가 명말청초 문집을 금지한 가장 큰 이유가 되었던 소품문을 사용하고 있지 않았다. 천주교 서적 『天主實義』는 정조의 구입 금지령 이전에 조선에 들어온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정조가 구입을 금지한 서적은 실제로도 거의 구입되지 않았다고 판단되었다. 다섯째, 중국본 33종을 성리학 관련 중국본과 실학 관련 중국본으로 구분하고, 독서 기록과 활용 사례에 대해 살펴보았다. 성리학 관련 중국본은 정조의 근신, 정조조 및 그 이후에 활동하였던 유명 학자의 독서 기록이 남아 있었다. 또 정부는 물론 민간 차원에서도 성리학 관련 중국본을 편집하거나 모방하여 서적이 저술?편찬되었으므로, 이들 중국본이 광범위하게 영향을 끼쳤다고 판단되었다. 실학 관련 중국본은 크게 고증학 서적, 서학 관계 한문서, 역사서 및 기타 실용서로 구분하여 독서 기록과 활용 사례를 살펴보았다. 고증학 서적은 특히 『日知錄』에 대한 독서 기록이 가장 많았으며, 평가 또한 긍정적이었다. 따라서 조선 실학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고 추정되었다. 서학 관계 한문서는 서양의 수학에 관해 다룬 『御製數理精蘊』, 『幾何原本』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응이, 천주교 서적인 『天主實義』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반응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상당한 양의 독서 기록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반응의 긍정?부정 여부에 상관없이 실학자들에게 서학 관계 한문서가 끼친 영향이 매우 컸다고 여겨졌다. 역사서 및 기타 실용서에 해당하는 『繹史』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평가가 내려졌고, 『大淸會典』은 청의 문물, 제도를 이해하는 자료로 쓰였음을 알 수 있었다. 실학 관련 중국본의 활용 사례 또한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실학 관련 중국본을 토대로 다수의 수학서, 역사서, 종교서 등이 저술되고, 국가적으로도 『御製數理精蘊』, 『古今圖書集成』, 『繹史』등의 서적을 활용한 것을 보면, 실학 관련 중국본이 조선에 큰 영향을 끼쳤다고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정조조에 구입된 중국본의 분석과 조선에 끼친 영향에 대한 규명 결과는, 조선의 문예부흥기이자 과도기적 시기였던 정조조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당시 구입된 중국본의 목록을 참고 자료로 제공함으로써 조선후기사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The reign of Jeongjo of Joseon dynasty was renaissance as well as the reign of Youngjo. At that time many Chinese books purchased and read to solve periodic subject to receive modernism and keep their own system based on Sung Confucian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bout Chinese books purchased in the reign of Jeongjo and examine the effect what these books weighed with Joseon Dynast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nd examination are as follows: First, examined books policy in the reign of Jeongjo between purchase and embargo each other. In the reign of Jeongjo, there were vigorously buying of Sung Confucianism books and Confucian scriptures activity. Also, it was being propelled to buy like statute and political theory books, practical science books, western scientific technique books and one series. On the other hand, some books were prohibited like anthologies of the period from late Ming to early Qing and novels, block book of China(唐板本), Catholicism books as typical things. Second, found out 33 titles of Chinese books purchased in the reign of Jeongjo based on related researches and the original texts named 『Jeongjo sillok(正祖實錄)』, 『Cheongjanggwan jeoseo(靑莊館全書)』. Third, selected 21 books now in Gyujanggak among 33 Chinese books. And classified these 21 books in script class(經部), history class(史部), people class(子部), anthology class(集部) and series class(叢書部) according to classification standard of 『General catalog of the Chinese books in Gyujanggak(奎章閣圖書中國本綜合目錄)』. As a result, found out 4 script class(經部) books, 5 history class(史部) books, 6 people class(子部) books, 4 anthology class(集部) books and 2 series class(叢書部) books. In the matter of form, Panshimeomi(版心魚尾) was simple usually and the book sizes were small and longish things. In bookbinding method, they were set almost by 4 pins according to Chinese traditional way. But some 4 types was settled by 5 pins. Fourth, judged the effectiveness of books policy in the reign of Jeongjo comparing books policy with the topics of Chinese books purchased in actuality. As a result, it came to a conclusion that Jeongjo's intention to buy it in historical truth weighed with actual books buying more, compared to the plan written 『Naegak bangseorok(內閣訪書錄)』. In the meantime, among Chinese books, there were some anthologies of the period from late Ming to early Qing, pocket books and Catholicism books that Jeongjo prohibited though, but they were few. 『The anthology of Guyanwu(亭林文集)』 doesn't consist of the conception of the Xiaopinwen(小品文) that is the biggest reason why Jeongjo did not allow anthologies of the period from late Ming to early Qing. A Catholicism book 『The True Significance of the Lord of Heaven(天主實義)』 was came in the Joseon before Jeongjo prohibited. Therefore, it is judged those books Jeongjo prohibited barely purchased in actuality. Fifth, selected books about Sung Confucianism and Practical Learning(實學) among 33 Chinese books. And examined reading recordings and actual application examples. Chinese books about Sung Confucianism had famous scholar's reading recordings who acted in the reign of Jeongjo and after that. Also, it is judged that these Chinese books weighed with Joseon extensively. Because the government compiled these Chinese books or made copies of these Chinese books as well as privately did. Chinese books about Practical Learning(實學) were classified in meticulous scholarship(考證學) books, books about Western Learning, history books and other practical science books. After that, examined reading recordings and actual application examples. Especially, there were many reading recordings of 『Iljirok(日知錄)』 and the estimations were also positive in the meticulous scholarship(考證學) books. Therefore, in my opinion, it weighed Practical Learning(實學) scholars of Joseon dynasty much. In the books about Western Learning, some were positive responses about 『Eojesurijeongon(御製數理精蘊)』 and 『Euclidis elementorum libri of Chinese(幾何原本)』. On the other hand, some were negative responses about the Catholicism books named 『The True Significance of the Lord of Heaven(天主實義)』 on the whole. But pretty many reading recordings remained. So, it is judged that the Chinese books about Western Learning weighed with Practical Learning(實學) scholars much, irrespective of positive and negative response. Some gave positive opinion of 『Yeoksa(繹史)』, one of the history books. And the practical science book 『Daecheonghwoijeon(大淸會典)』 was used to figure out civilization and system of Qing dynasty. There were many practical use instances of Chinese books about Practical Learning(實學) as well as much and variously. It is judged Chinese books about Practical Learning(實學) weighed with Joseon dynasty. Because various mathematics books, history books and religion books were written based on the Chinese books about Practical Learning(實學). The analysis and examination of this study help to understand the reign of Jeongjo that was renaissance and transitional period. Also this study can help the scholars who study latter term history of Joseon dynasty, by presenting of reference data of Chinese books contents purchased at that tim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