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정희-
dc.creator윤정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57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57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4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70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430-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way mothering extends to get the social meaning when parents experience volunteering and to find how mothers understand and reconstruct mothering through their volunteering. It also has the purpose to show what the meaning of mother-centered volunteering is on motherhood or mothering and how our society makes married women positioned who are in different conditions. With focusing on parents' experiences, it is possible to answer and analyze the inquiries of mothering in detail because mothering is constructed by individuals and social conditions reciprocally and has a variety of meanings in result.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penetrate the systemic contradiction and to destruct the norm of mothering that is mainly constituted by housewives in the middle class through revealing excluded mother's voice in the discourse of the parents participation. The main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the depth-interview of mothers who are the main target of parents' volunteering in the elementary school. To make the result abundant, it is supplemented that examining the references and analyzing the discourses, too. The results are as follows. Nowadays parents' volunteering is made up in the situation where competitions and individual responsibilities become more extended in neo-liberal education system and where mothering is anticipated to be revealed more intensively. Parents' volunteering has the meaning of the extension of mothering that is accomplished in their family because it is related to their children. Especially mothering comes to be intensified in the school as a social sphere through competition and conflict. Furthermore parents' volunteering has the limitation that it is unconcerned about the differences of class and gender because the norm of mothering is made up on the basis of housewives in the middle class. Due to these aspects of parents' volunteering, women reconstruct the meaning of mothering according to their conditions and behaviors and make the results and the possibilities which are hard to designate accommodation or resistance. Women's experience and recognition on parents' volunteering shows that they are not left as a victim of education system but they decide their position and role and practice as a positive actor through social relationship. It is important to know that women are not influenced by motherhood ideology unilaterally and to find new meanings of women's position and role in the process that women reconstruct the norm of mothering under the tension and contradiction between discourse and real experience. This study, however, has the limitation that it doesn't trace the ground to expand the possibilities and deepen new potentials, and that it doesn't analyze the differences of parents' volunteering requiring material resources among each class in detail.;본 연구는 여성들의 학부모 자원봉사활동 경험을 통해 현 사회에서 어머니노릇이 사회적으로 확장되는 방식과 그 과정에서 여성들이 어머니노릇을 어떻게 인식하며 재구성하는지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어머니 중심의 학부모 활동이 모성 및 어머니노릇에 있어서 어떠한 의미를 가지며, 현 사회가 각기 다른 조건들을 가지는 기혼 여성들을 어떻게 위치시키는지를 연구하였다. 어머니노릇이 개인과 사회의 조건에 따라 상호적으로 구성되며 다양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는 점에서, 학부모 활동을 살펴보는 것은 어머니노릇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질문과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연구는 학부모 참여 담론에서 배제되었던 여성의 목소리를 드러냄으로써 제도적 모순을 통찰하고 교육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중산층 전업주부 중심의 어머니노릇 규범 해체라는 목표를 가진다. 이를 위해 학부모 활동의 주요 대상인 초등학교 학부모 어머니들을 심층면접하였으며, 학부모 활동과 관련된 문헌연구와 담론분석을 병행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행 학부모 활동은 경쟁과 개인의 책임을 키우는 신자유주의적 교육체제 그리고 여성들이 더 집중적인 방식의 어머니노릇을 수행하기를 기대하는 모성의 강화 현상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자녀를 매개로 한 학부모 활동은 가족 내에서 수행하던 어머니노릇의 연장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특히 학교라는 사회적 영역에서의 경쟁과 갈등을 통해 어머니노릇은 더욱 강화된 형태로 나타난다. 더욱이 중산층 전업주부의 어머니노릇을 기준으로 하고 있는 학부모 활동은 계층과 젠더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학부모 활동과 관련을 가지면서 여성들은 자신의 조건과 행위에 따라 어머니노릇을 재구성하게 되고, 순응/저항으로 단순하게 구분하기 어려운 결과와 가능성들을 만들어간다. 학부모 활동과 관련한 여성들의 경험과 인식은 여성들이 단순히 교육 제도의 희생자로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인 행위자로서 사회적 관계를 통해 자신의 입장과 역할을 결정하고 행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것은 여성들이 모성 이데올로기로부터 일방적인 영향을 받지 않으며, 담론과 실제 경험의 긴장과 모순 속에서 어머니노릇 규범을 재구성해가고 있다는 점에서 여성 역할과 지위에 있어서 새로운 의미들을 발견할 수 있다는 의의를 가진다. 하지만 그 가능성들을 확장할 수 있는 동력과 새로운 출발점들에 대한 논의로 더 깊게 나아가지 못했다는 점과 물질적 자원을 요구하는 학부모 활동에서 계층적 차이에 대한 섬세한 비교분석이 부족하다는 한계를 가진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B. 이론적 검토 = 5 C. 연구방법 및 연구대상 = 10 II. 학부모 ‘자원활동’의 제도화 = 15 A. 학부모 활동의 배경 및 구조 = 15 1. 신자유주의 교육개혁과 학부모 역할의 증대 = 15 2. 조직화, 다양화된 학부모 활동 = 20 B. ‘자원활동’으로서의 학부모 활동 = 28 1. 봉사와 동원의 모호한 경계 = 28 2. 자원 활동의 내용 및 구성: 교사와의 위계적 관계 = 34 III. ‘어머니노릇’의 사회적 확장과 강화 = 42 A. ‘돌봄노동’의 제한된 사회적 확장 = 42 B. ‘어머니노릇’의 연장인 학부모 활동 = 48 1. 양육노동의 확대 = 48 2. ‘보상’을 통해 강화되는 어머니노릇 = 54 3. ‘무관심한 엄마’와 ‘극성 엄마’ : 어머니노릇의 경쟁 = 58 C. 학부모 활동의 한계 : 계층과 젠더 = 63 1. 중산층 전업주부 ‘되기’와 차이로 인한 소외감 = 63 2. 일과 양육의 조정 : 삼중의 부담 = 69 3. 배제되거나 특수화되는 학부모 아버지 = 74 IV. ‘어머니노릇’의 갈등적 구성과 가능성 = 78 A. 여성들 간의 차이와 갈등 = 78 B. 전업주부 = 83 1. ‘집단적’ 어머니노릇과 사회적 관계망 = 83 2. 역량의 발휘와 학교 영역에 대한 개입 = 87 C. 취업모 = 93 1. ‘좋은 학부모’, ‘좋은 엄마’ 되기의 차별화 = 93 2. ‘제도적 모성’을 요구하는 교육제도에 대한 저항 = 98 V. 결론 = 104 참고문헌 = 107 ABSTRACT = 11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272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어머니노릇(mothering)'의 사회적 확장과 갈등적 구성-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초등학교 학부모 '자원봉사'활동 경험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Social Extension and Complicated Construction of 'Mothering' : Focusing on Parents' Experiences of Volunteering in Elementary School-
dc.creator.othernameYoon, Jung Hui-
dc.format.pageiv, 11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