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1 Download: 0

祭禮에 나타난 象徵的 表現의 意味 分析

Title
祭禮에 나타난 象徵的 表現의 意味 分析
Other Titles
Symbolic analisis of clan Lee's Bulchunwi ancestor worship
Authors
李卿我.
Issue Date
1981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Keywords
제례상징표현전주이씨불천위제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사람들은 象徵을 통해 意味들을 표현하고, 또한 표현을 통해 의미를 나누어 가진다. 즉 사람들간에는 상징을 통한 意味의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진다. 儀禮는 이러한 상징과 의미의 관계를 잘 보여주는 예의 하나이다. 儀禮에 나타나는 象徵은 의례참여자들이 공유하는 意味를 표현하기도 하며, 意味를 바탕으로 유지되는 사회관계도 나타낸다. 그러므로 儀禮는 의례참여자들간에 象徵을 통해 意味를 표현하고 나누어가지는 과정, 곧 意味의 커뮤니케이션구조로 특징지어진다. 이 논문은 眞城李氏 不遷位祭禮에서 의례참여자들간에 이루어지는 意味의 커뮤니케이션을 다루고 있다. 不遷位祭禮의 커뮤니케이션구조는 象徵의 分析에 의해 잘 설명될 수 있는데, 필자는 Leach가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집단들의 토템숭배를 분석한 것을 모델로 하였다. 不遷位祭禮의 象徵은 물건(神主 등), 行動(국궁, 除酌, 退盃 등), 몸짓(헛기침 등), 공간적 단위(祠堂, 정침, 대청 등) 등으로 나타난다. 象徵을 分析하면, 첫째, 상차림에 있어서의 象徵상의 特徵은 맵핑에 의해 分析되는데 아이덴티티의 意味를 강조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이것은 儀禮가 眞城李氏門中을 유지하는데 작용한 하나의 요소가 되어왔음을 뜻한다. 둘째, 象徵體系를 대립 및 변형의 논리에 의해 分析해 보면 祖上에 대한 崇拜의 관념이 나타난다. 祖上에 대한 崇拜를 표현하는 방식(獻酌, 飮福의 순서 등)에는 序列이 있다. 序列은 宗孫인가 아닌가 항렬이나 연령은 어떤가 하는 血緣을 바탕으로 한 社會關係를 반영하고 있다. 또한 누가 어떤 일을 하느냐는 것도 親族組織내에서의 위치 및 관계를 나타낸다. 이 문제를 다루기 위해 주로 참여관찰 및 면접에 의한 조사방법을 취하였다. 기본적인 자료들은 嶺南大學校 文化人類學科의 73년 8월 安東郡 陶山面 土溪洞을 중심으로 한 眞城李氏門中의 현지조사로붜 수집된 것이다. 보충조사는 필자 단독으로 81년 3월에 행하였다. 보충조사때는 73년 당시의 土溪洞의 모습은 거의 없었으며, 잔여가구가 부락을 형성하고 있었다.;Men express meanings through symbols and also share common meanings through such expressions. Any communication of meaning is possible only with the shared symbol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symbol and meaning is well expresqed in ritual of ancestor worship. The symbols appeared in the ritual exhibit not only the sharedness of meaning among its participants but also their social relationships based on the sharedness. That is, the ritual can be understood as communicative process in which certain meanings are associated with certain symbols among its participants.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mmunication structure of Bulchunwi(不遷位) ancestor worship of clan Lee, Jinsung Lee si (眞城李氏). Leach's analysis of Australian Aborigines Totem is applied to this analysis. Various objects, activities, gestures, spatial arrangem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