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申順子. | - |
dc.creator | 申順子. | - |
dc.date.accessioned | 2016-08-25T06:08:12Z | - |
dc.date.available | 2016-08-25T06:08:12Z | - |
dc.date.issued | 1975 | - |
dc.identifier.other | OAK-000000032605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257 | - |
dc.identifier.uri | 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2605 | - |
dc.description.abstract | 本 論文은 夫婦間의 財産關係를 規律하는 夫婦財産制度에 관한 硏究이다. 第一章 오늘날 우리나라의 離婚率은 해마다 增加하고 있으며 그 數도 다른 事件에 比해 월등하다. 그러므로 거기에 따르는 無資力한 離婚女의 問題는 심각한 것이며 그것이 夫婦財産制를 檢討해야 할 問題點을 提示한다. 第二章 夫婦財産制의 歷史는 人類의 歷史만큼이나 긴 것인데 强力한 家長權에 의해 倂合되던 財産이 時代가 바뀜에 따라 차츰 女子의 能力을 認定하는 財産制度로 바뀌었다. 우리나라에 있어서 强力한 家父 長權에 의해 近世以前에는 妻의 財産이 認定되지 않았다는 見解가 있으나 女子의 權限이 남자보다 우세했던 原始母系社會 以後 妻의 財産이 完全히 否認된 때는 없었음을 알 수 있고 그 財産制의 形態는 管理共通制로 일관해 왔다. 第三章 여러가지 財産制中 別産制는 妻의 財産的 獨立이라는 意味는 가지나 妻의 家事勞動이 認定되지 않으므로 妻에게 불공평하고 共産制 는 夫의 專權的 管理에 대하여 妻의 保護가 힘들고 個人 私的 所有制度에 입각한 現社會에 있어 技術的 困難이 따른다. 그 結果 兩制 度의 長點을 取한 剩餘共同制, 所得參與制, 所得共産制가 나타났다. 第四章 오늘날 世界各國의 立法例에서는 吸收劑는 찾아 볼 수 없고 妻의 財産에 대한 夫의 管理를 인정하는 管理共産制도 차츰 사라져가고 있다. 그러나 아시아에서 中華民國과 泰國은 아직도 管理共通制를 採用하고 있으며 특히 中華民國은 夫가 共同財産뿐 아니라 妻의 特有 財産까지 使用, 收益할 수 있는 가장 前近代的이고 夫中心的인 制度를 認定하고 있다. 그렇게 볼 때 우리民法의 財産制는 獨逸이나 스칸 디나비아式에 比하면 훨씬 뒤떨어진 制度이고 같은 共産制를 取하고 있는 日本과는 달리 所屬不分明財産을 夫의 所有로 推定하고 있으나 中華民國의 管理共通制에 비하면 훨씬 앞선 制度임을 알 수 있다. 第五章 우리民族의 別産制는 夫婦가 各各 自己의 財産에 대한 權利를 獨立해서 가지므로 男女의 平等思想에 의한 것이나 所屬不分明財産을 夫의 所有로 推定한 것은 家事勞動으로 夫와 똑 같이 家庭에 奉仕한 妻에게 대해 不公平한 規定이며 婚姻生活費用은 夫가 能力이 없고 妻가 資力이 있을 때는 妻가 負擔하는 것이 당연한 것인데도 夫가 負擔한다고 規定한 것은 合當치 않은 것이다. 이러한 前近代的 要素를 안고 있는 우리民法의 財産制는 당연히 改正되어야 하는 것이다. 第六章 離婚으로 인한 配偶者의 損害賠償, 婚姻中의 夫婦共同財産의 淸算, 離婚後 扶養의 延長이라는 性質을 갖는 財産分割請求權은 大部分의 國家가 認定하고 있으며 分割에 있어 無過失責任主義를 取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別産制를 採用하고 있으므로 家事勞動만 擔當한 妻는 離婚時 夫의 財産에 대해 아무런 持分도 받을 수 없으므로 不公平한 것이다. 그러므로 財産分割請求權을 認定하여 無資力한 離婚配偶者를 보호하는 것이 妻의 家事勞動을 正當하게 評價해 주는 것이 된다. 第七章 우리民法의 別産制의 결점을 認定하고 그를 고치기 위해 두가지의 立法論을 생각할 수 있는데 그 첫째는 別産制를 維持하면서 所屬不分明財産을 夫婦共有로 하고 生活費用은 夫婦가 모든 事情을 參酌하여 夫婦가 分擔하며, 離婚時에는 財産分割請求權을 認定하여 妻의 家事勞動을 正當히 評價하는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妻의 家事勞動을 夫의 勤勞收入과 똑 같이 評價하여 진정한 男女平等을 이루고 그것이 또한 憲法의 基本理念에도 合當한 것이다.;Strenuous efforts have been made since the Liberlation of Korea to actualize the principle of equality between sexes, the fundamental ideology of the Constitution, in the fields of politics, economy, culture, society, etc. These efforts have not been exceptional in the law. But on family law, even today, maintains some antiquated articles of inequality between sexes which heavily affect the actual family relations. From the point of view that each family unit is the basis for the whole society, inequality between sexes in a family may give rise to the overall inequality between sexes in the whole society; thus the actualization of the ideology of the Constitution will become impossible. The modernization or democratization of the family law that influence the family relations, therefore, must be settled without delay. This study is intended to inquire into whether the matrimonial property system in our civil law is coincided with the ideology of the Constitution; if not, what kinds of unreasonableness are in the system, which direction, the system must he revised. While our old civil law applied Verwaltungsgemeinschaft, recognizing the incompetence of a wife, the present civil law is adopting the system of separation property allowing the husband and wife to occupy, control and use their own property. However, the principle of separation property in the present civil law has not reality, because wives are usually taking charge of domestic duties and have no opportunity to work out, thus the wives can not make their own property. In case of divorce, a wife cannot claim her property in spite of her great contribution to domestic duties. The present civil law provides that the property that is obscure in ownership is to belong to the husband. This gives no recognization and no estimation of a wife's domestic labor. And the stipulation that the costs are only in charge of husband is unreasonable since there are cases that living costs in married couple exclusively rely upon not husband's but wife's income. A comparison of civil laws of other countries shows the fact that the republic of China and Thailand are presently applying Verwaltungsgemeinschaft, while European and American countries have no such system recognizing the incompetencc of a wife. In special, in European countries, a wife's domestic labor is estimated equally to her husband's income and wife's equal share in her husband's income is recognized. From this standpoint, our pressnt civil law has superiority to those of Republic of China and Thailand but inferiority to those of European countries. In Japan the property which is obscure in ownership is the common property of the couple and, when divorcing, the Wife's right of claim for sharing property is admitted. This means that the Japanese matrimonial property system is adopting some characteristics of Errungenschaftsgemeinschaft. In contrast to the other countries systems, our system of separation property has only ideological equality between sexes. In order that our civil law can accomplish the equality between sexes which are suitable to the ideology of the Constitution, the present system of separation property must be revisedd so that the property which are obscure in ownership should be common to the couple, the couple should share their living costs with each other, Wife's domestic labor should be estimated identically to husband's income and the wife's right of claim for property in the case off divorce should be admitted. Another approach is to adopt the system which appears in Zugewinngemeinschaft of Errungenschaftsgemeinschaft.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論文槪要 = ⅴ Ⅰ. 緖論 = 1 A. 硏究目的 = 1 B. 硏究方法 = 4 Ⅱ. 夫婦財産制의 史的考察 = 5 A. 槪說 = 5 B. 獨逸에서의 夫婦財産制의 發展過程 = 8 C. 韓國에 있어서의 現行民法以前의 夫婦財産制 = 11 Ⅲ. 夫婦財産制의 種類 = 19 A. 契約財産制 = 19 B. 法定夫婦財産制의 種類 = 25 Ⅳ. 外國의 立法例 = 35 A. 中國 = 35 B. 日本 = 38 C. 필립핀 = 40 D. 泰國 = 43 E. 美國 = 44 F. 英國 = 48 G. 西獨 = 51 H. 프랑스 = 54 I. 스웨덴 = 57 J. 쏘련 = 59 Ⅴ. 우리나라의 現行夫婦財産制 = 62 A. 夫婦財産契約 = 62 B. 法定夫婦財産制 = 64 Ⅵ. 財産分割請求權 = 75 A. 財産分割請求權의 法的性質 = 75 B. 外國의 立法例 = 78 C. 우리나라에 있어서 財産分割請求權의 立法必要性 = 84 Ⅶ. 結論 = 87 參考文獻 = 90 -Abstract- = 95 | - |
dc.format | application/pdf | - |
dc.format.extent | 4095731 bytes | - |
dc.language | kor | - |
dc.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 |
dc.subject | 부부재산제도 | - |
dc.subject | 법률학 | - |
dc.subject | Matrimonial | - |
dc.subject | Property | - |
dc.subject | System | - |
dc.title | 夫婦財産制度에 관한 硏究 | - |
dc.type | Master's Thesis | - |
dc.title.translated | (A) Study on Matrimonial Property System | - |
dc.format.page | 97 p. | - |
dc.identifier.thesis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major | 대학원 법률학과 | - |
dc.date.awarded | 1976. 2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