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6 Download: 0

韓龍雲의 社會思想에 관한 一硏究

Title
韓龍雲의 社會思想에 관한 一硏究
Other Titles
(A) STUDY OF HAN YONG-UN'S SOCIAL THOUGHT
Authors
李洋純.
Issue Date
1978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Keywords
한용운사회사상만해사상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萬海 韓龍雲의 社會思想은 佛敎的인 바탕위에서 西歐近代思想을 수용함으로써 自由·平等觀을 形成하여 그 社會思想의 原理로 삼고 日帝下 우리 民族의 最大課題인 民族解放을 위한 自主獨立思想을 고취하는 한편, 當面한 社會問題의 解決方案을 진지하게 摸索하는 가운데서 深化·發展되어 나갔다. 本稿는 종래의 萬海에 관한 硏究의 一定한 成果에 힘입어, 萬海가 社會活動에 적극 참여하면서 社會問題에 關하여 단편적으로 피력한 것을 土台로 하여, 당시의 歷史的 상황과의 관련에서 그의 社會思想의 主要 特徵을 抽出하고, 그 意義와 限界性을 살펴 보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序論에서 萬海의 社會思想을 다루는 基本立場을 밝혔고, 제Ⅱ장에서는 萬海思想形成의 社會的 背景을 다루었으며, 제Ⅲ장에서 萬海 社會思想의 基調로서 自由·平等觀과 그 現實的 課題를 다루었고, 제Ⅳ장에서는 社會思想의 展開로서 靑年敎育問題, 女性解放問題, 農民問題 및 佛敎社會主義를 다루었으며, 제V장에서는 萬海 社會思想을 總括하여 그 意義와 限界性을 論證하였다. 開港이후 日本의 이른바 宗敎·文化政策의 일환으로 韓國에 流入될 日本佛敎는 朝鮮王朝의 佛敎政策으로 韓國佛敎界가 침체되어 있는 狀況을 간파하고, 당시 國內 政治狀況과도 관련하여 布敎政策을 전환하면서 적극적인 韓國 侵透를 劃策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時代的 背景下에서 佛敎界에 入門한 萬海는 入山과 下山을 통해 변천하는 社會相을 目睹하고 그 自身을 思想的으로 發展시켜 나갔으며, 당시 韓國社會가 안고 있던 문제점을 凝視하면서, 침체되어 있는 韓國佛敎界의 現狀을 打破하고, 또한 社會問題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方策을 진지하게 추구하는 것이었다. 당시 우리나라 社會가 해결하지 않으면 안될 주요한 課題는, 日帝로 부터의 民族解放과 半封建的 課題를 해결하기 위한 方向 摸索이 진지하게 要求되 지고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客觀的 要諸에 부응하기 위하여, 萬海는 그가 依據하고 있던 社會的 位置에서 自由·平等이 人間의 本質的인 것이라는 前提아래, 理性과 道德에 입각한 實踐的인 自由意志를 社會問題 해결의 基本으로 삼고, 그의 社會思想을 심화시켜 나갔다. 그리하여 自由·平等의 親實的 課題인 民族의 自主獨立을 이룩할 수 있는, 根源的인 힘은, 正義와 人道에 입각한 民衆들로 부터 나온다고 보았으며, 그가 불교도인 것과도 關聯하여(人間의 精神界를 영도해 나갈 宗敎의 自由가 보장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民衆의 力量을 키워나가기 위해서는 靑年敎育이 일차적인 문제이며, 특히 主體的인 學問의 자세를 갖추기 위해 禪을 이용한 情神修養이 先行되어야 한다고 보았고, 또한 敎育의 기본 목표인 個性敎育이 이루어지지 위해서는 먼저 朝鮮人 本位敎育이 實行되어야 한다고 하였으며, 나아가서 우리의 보다 밝은 來日을 기약하기 위해서는 專門知識의 啓發·硏究에 매진해야 한다고 하였었다. 女性解放은 女性으로서의 個性을 發揮하는 것이 그 본뜻이라고 하였고, 당시 女性解放問題의 核心課題인 舊道德을 타파하고 新道德을 培養해 나가는데 있어서 女性의 自由意志에 의란 점진적인 革新을 꾀하였으며, 女性解放運動에 대해 女性 自身 스스로의 自覺이 先行되어야 하며 작은일 부터 실천해 나가야 한다는 前提 아래 啓蒙的인 단계로부터, 女性解放運動의 行動綱領을 제시하게 되는 적극적인 단계로 발전하였다. 農村社會에 있어서 農民들이 놓여져 있던 社會·經濟的 不平等의 문제는 당시 우리나라에 있어서 가장 심각한 社會問題로 提起되고 있었다. 1920年代까지는 農民들의 社會·經濟的 不平等 要因으로부터 派生되는 社會問題들을 보다 철저히 규명하지 못하고, 農民들의 自立力行의 정신을 강조하는 啓蒙的인 단계에 멈추고 있었으나, 1930年代에 이르러 農民 스스로의 團合된 힘으로 小作爭議, 協同組合運動 등 순수한 農民運動을 통해서 그들의 地位向上과 貧困打破를 促求하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經濟的 不平等을 解消하기 위한 方案의 하나로서 당시의 時代的 思潮였던 社會主義의 일정한 영향을 받아 佛敎社會主義를 想定하게 되었던 것이다. 結論的으로 萬海의 社會思想은 日帝下 半封建的인 굴레下에서, 人間이 自由·平等한 存在임을 자각케 하므로서 人間의 自由意志를 개발하여, 끊임없는 自己革新을 통해 傳統과 革新을 융화해 나감으로써 社會問題의 解決과 점진적인 社會發展을 꾀하고자 하였던 것이라고 볼 수 있겠다.;Man Hae(萬海, Han Yong-Un) who accepted the thoughts of Modernized West on the basis of Buddhism and established his beliefs about freedom and equality, had developed his view of society by inspiring Korean people to get the spirit of independence from Japanese imperialism and by his efforts to find the ways to solve social problems of his times. This thesis is prepared with the materials what Man Hae said irregularly during his devotion to social activities, on the purpose of finding the meanings and limitations of his thoughts by extracting the specialities of it in comparison with historical situations of that times. On that purpose every chapter of this thesis deals with below subjects: In the preface, the fundamantal view points of Man Hae is expressed. In Chapter 2 you can the social invironments in which Man Hae could form his thoughts. Chapter 3 explains his beliefs about the freedom and equality which is essential of his thoughts, along with the idea of independence and the freedom of religion as a feasible subjects. In Chapter 4 social problems such as Education, Women's Liberalization, Peasent Movement and The Buddhistic Communism are dealed with. And Chapter 5 will show you the meanings and limitations of the thoughts of Man Hae. After the opening of Pusan port the Japanese Buddhism diverted its propagandism on the purpose of invasion to Korea in the name of so called Religion and Culture Policy and sought effective ways of aggression in relation to the Korean political situation in which Buddhism was blocked. Man Hae who chose his life as a monk under such situations made great progress in new ideas after experiencing hardships in the changing world and pursued the ways solving problems of the Korean Community and Buddhism with deep consideration. To mature such power he stressed the role of education, especially the discipline of spirit using the Dhyana preceding independent attitude toward knowledge and also he insisted upon the education which is practiced for Korean people themselves and professional education for our future. In the matter of women's liberalization, Man Hae defined it meant to exhibit womn's ablities as women and at the same time he schemed gradual progress by women's own wills in defing the old morality and cultivating new morality. Furthermore his thoughts developed to such extent of suggesting the plotforms for women's liberalization movement from the begining steps of enlightening. Social and economic unequality of farmers is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at that time. At first Man Hae couldn't search social issues from the unequal economic and social factors, so what he could do is only enlightening farmers to find the way of self reliance, but later he dared to urge them to raise their standards and to get the freedom from poverty through tenancy disputo(小作爭議)and cooperative organization and at last he supposed Buddhistic Communism as one of realiable methods to remove the economic unequality affected by the communism which is spread at that times. As we see though this thesis, conclusionally we can understand Man Hae, as a man who devoted himself to inspirate Korean people to find free and equal beings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and to develop their own wills so as to accomplish gradual progress of community through the way of matching the traditions and revolutions by self consciousness about men's freedom and equa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