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7 Download: 0

1970년대 마당극 연구

Title
1970년대 마당극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Ma dang kuek' in 1970's
Authors
金賢敏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마당극1970년대작품분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고는 70년대 초반에 김지하 및 진보적인 대학연극반과 탈반 연행자들에 의해 태동한 마당극이 민주화의 광장에서, 민중들의 뜨거운 현실삶 속에서 열렬한 호응과 급속한 민중생활현장에의 파급력으로 기성 연극공연사의 새로운 양식으로 정착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우선, 마당극은 60년대 탈춤부흥운동을 통하여 민족적인 연희공연양식으로 새롭게 재해석된 탈춤의 공연양식을 이어받았고, 70년대 대학가의 창작탈춤시도와 결합되었다. 그 결과 '마당'은 기존의 극장무대가 아닌 새로운 연희공간으로 재해석되었다. 그리고 공연중에 발생하는 '민중적 신명'이 관중의 적극적인 참여가 가능해진 '열린' 마당판 구조 속에서 객석과 무대, 관중과 배우라는 구분이 없어지면서 '집단적 신명'으로 질적인 변화를 일으켜 민족적인 연희미학으로 정착되었다. 또한 초창기 마당극 연행자들은 70년대 전반에 걸친 번역극 중심의 보수적인 기성연극계 공연풍토에 대하여 반성하기 시작한다. 그들은 창작희곡을 다루는 대학연극반 모임을 발전시켜 구체적인 정치 사회적 시안에 대한 대사회적인 비판의견을 내포한 현실주의 정신에 입각한 연극을 실험하게 되었다. 이러한 실험은 특히 70년대 대학가 지식인들에게 유신헌법과 긴급조치를 통한 반민주적인 정치탄압이 가중되면서 일종의 '대항문화' 그리고 새로운 시위문화로서 독재와 인권탄압 즉, 그들이 처한 '상황의 진실'을 피억압자인 '전형적인 민중'의 모습을 통해 형상화하였다. 공연실험을 통해 드러난 마당극과 기성 무대극의 양식상의 차이는 공간 방위도 및 등장인물배치, 장면별 내용구성, 풍자적인 언어, 횃불, 가면의 사용, 전통적인 민중연희 양식의 변형 등이다. 75년 긴급조치 9호로 인해 대학내의 마당극 연행자들은 농민운동과 노동운동의 교육과정에 참가하기 시작하였고, 종교계와 재야 진보적인 지식인들과 연대하기 시작하였다. 이들은 마당극에서 민중생활에서 비롯된 표현소재를 다루고 민중들의 민주화 바램을 담아내는 것을 목표로 하면서 '현장적인 운동성'을 적극적으로 띠기 시작하였다. 농협을 상대로 피해보상을 받아낸 투쟁사례를 극화한 <함평 고구마>, 민주노조 탄압에 맞서 싸우는 여공자신들이 직접 출연한 <동일방직 문제를 해결하라!>와 같은 작품에서는 현실과 연극적인 상황이 동일시되면서 집단적인 구호와 시위로 변화하는 민중극의 모범적인 실례를 보여주었다. 한편, 마당극은 연희자들 사이에서 대부분 공동창작, 연출되면서 공연목적이나 관중들의 반응에 따라서 대사 및 동작선, 결말이 변형되기도 한다. 이러한 연유로 인하여 예술적인 완결성이나 개인의 갈등을 다루는 극내용이 다소 부족하게 되고 또한 사회가 조금씩 민주화 되면서 대학가 중심의 마당극의 독자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마당극은 남한의 자생적인 민중극으로 정착되면서 점차 민중들의 생활현장에서 민중들의 문제를, 민중들에 의해 공연, 향수하는 방식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70년대 마당극의 성과는 80년 기성 연극계로 많은 기법들이 확산, 수용되어지거나 80년 중후반의 노동연극, 민족극 이념정립과 함께 본격적인 민중극으로 발전하였다.;Early times in 1970's Kim Ji Ha and progressive students in college-theater and Tal(=Korean mask)-group gave a birth to 'Ma dang kuek'.(theater in field) This performance - Ma dang kuek - has been widely spread by powerful support of peoples living in real life world, and has fixed to the established theater circle as a new mode. In this thesis, I have approached the process in which Ma dang kuek has developed and been settled down in the Korean theater-history. First of all, Ma dang kuek was handed down by the success of Tal Chum (=dance with Korean Mask) which could be reinterpreted as a national mode of theater through it's renaissance movement in 1960's, Ma dang kuek was also associated with attempts of original Tal Chum in college of 70's. In that respect 'Ma-dang' was not a part of the established stage but has been recreated as a new performing space. In open structure of Ma-dang Pan, the audience can play an active role in participating in the performance and then the division of seat and stage, actor and audience disappeared. That structure made a qualitative change that 'collective Shin-Myung'. The 'collective Shin-Myung' has been settled into elements in aesthetics national theater. Besides, early performers of Ma dang kuek were beginning to reflect a conservative trend of the established theater that was under the influence of foreign theater over the early 70's. They had developed college theater groups which peformed original dramas, and had made an experimental-theater based on the realism principle that implies critical views on concreate political and social problems. For intellectuals, that experiment was to be a kind of anti-culture against depressive political power which had been holded by Yu-Shin constitution and emergency measure. It was also a demonstration culture that had evoked an 'situational truth' against dictatorship and depression of human right by the creative representation of the typical people who were to be a victim. That performing theater disclose modual differences between Ma dang kuek and the existing drama : direction, character, composition according to scene, satirical language, fire, using of mask, and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mode. In 1975 Emergency measure no. 9 had performers of Ma dang kuek in college participate in educational process of labor and farmer movements and solidify with progressive intellectuals of political opponents. Those peoples aimed to touch descriptive resources come from the life of people and to express wishes of people for democracy. And then Ma dang kuek actively began to trend toward 'movement of working classes', 'A sweet potato from Ham Pyung' dramatizing the protest of farmers aginst Union of agriculture co-operation, and 'Make solve problems of Dong-il textile manufacturing' engaging female labors who directly had protested against the repression of the employer intending to destroy a democrative labor union. Both works had been examples of a new receptive experience in which real-life and dramatic situation were assimilated to one and evoked in shouts and demonstrations. As Ma dang kuek is made through collective producing and creating, it often transforms conversation, blocking, and ending for the harmony with audience's feelings and aims of performance. That is why Ma dang kuek lacks an artistic completion and a content including individual problems with rapid development of Korean society the originality in Ma dang kuek seems to decline. But Ma dang kuek has been changed to a new performing way in which people can perform and appreciate it by themselves and about their problems as it is gradually settled down ta the self-made people-theater in Korean society. The successes of Ma dang kuek in 70's had been accepted and pervaded to the established theater with fruitsful techniques in later 80's, and it has developed to people-theater in addition to set up ideas on national-theater, and labor-theat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