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9 Download: 0

韓國家族에서의 孝의 意味

Title
韓國家族에서의 孝의 意味
Other Titles
(The) Meaning of Filial Piety in the Korean Family
Authors
金美惠
Issue Date
1978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Keywords
한국가정사회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Recently our society has a great interest in the filial piety and its study is making headway somewhat actively, but it doesn't seem to be practised satisfactorily yet in our society. If we apply this filial piety to our society hastly without perfect study and conception-redefinition of it, it may cause a immoderate result. In this study the author intends to probe how the filial piety, basic principle of Korean traditional family, is changing and how to redefine it through examining the shifting process from traditional family to nuclear family and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nd child. A family is the most universal and basic group of the human society and it shifts its form and function as the society changes. As western culture has been introduced with the liberation from Japan and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s under way, our traditional family which mainly insists on strong kinship has changed into nuclear family being consisted of husband and wife. As the collision and confusion between traditional family and nuclear family are deepened, there are many social problems; divorce, orphan problem, deviation of the youth, disorder of sexual morality, and problem of the old etc. The author thinks that it is a big task to understand completely how filial piety has been changed in this situation. So this study rests on following four basic assumptions. The first assumption is that the family is the core institution in the reproduction and socialization of human beings. The second assumption is that the principle of parent and child relationship is the filial piety. The third assumption is that society alter their institutions when they face changing conditions and require obvious solutions about new problems of existence. Korean family is also in a trasitional period from traditional family to nuclear family. The fourth, according to changing of family institution, filial piety which is the ideology of the family, has been changed. So the author will explain them more accurately and in detail. In traditional family filial piety is admired, and it is one-sided obedience, respect and duty of the children toward parents as incessant asceticism under the absolute paternal authority rather than natural expression of love which is derived from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nd child. But family form becomes nuclear family more and more as the society is industrialized and westernized. Change of filial piety is inevitable as the individualism, materialism and egalitarianism are more respected. So the filial piety of the nuclear family is affirmative, its practising content and method have been changed. In its process consciousness is not accord with behaviour and also they don't keep their balance. So to speak, in the filial piety compromise is more leading than blind obedience between parent and child. In such confusion of transitional period, our society is suffered from many social problems and disorders. So we make our filial piety be in a triangle position which can be applied to rapid changing modern society and redefine the conception of filial piety obviously.;最近 우리社會는 孝에 관하여 대단한 관심을 갖고 그 硏究가 제법 활발하게 進行되고 있지만, 反面 그 실천은 만족스럽게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것 같다. 따라서 오늘날 우리 社會에서의 孝에 대한 완벽한 硏究와 개념정의에 앞서, 설익은 適用은 오히려 무리를 초래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와같은 見地에서 筆者는 우리의 傳統家族이 個人中心主義 核家族으로 점차 변화하여 가는 과정을 밝히고, 그 過程에서의 父母子女關係를 파헤쳐 그 根本 原理라고 볼 수 있는 孝思想이 어떻게 변모하고 있으며 또 어떻게 재정립 될 것인가를 규명하고저 한다. 家族은 人間社會에서 가장 보편적이고 基本的이 集團이며 社會가 變化함에 따라 그 形態와 機能을 달리하고 있다. 韓國社會는 解放과 함께 西洋文化가 導入되고, 産業化·都市化가 급속하게 進行됨에 따라 血緣中心의 傳統家族으로부터 夫婦中心의 核家族으로 家族制度가 變化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傳統 家族制度와 새로운 家族制度 사이에 충돌과 갈등이 심화됨에 따라, 離婚·고아문제·청소년非行·性道德의 문란·老人問題 等의 많은 社會問題들이 發生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일대 전환기 속에서 孝의 觀念이 어떠한 변천을 밟고 있는지를 全面的으로 파악하는 것은 크나큰 硏究과제라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本 硏究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본 가정을 두고 硏究를 전개하고저 한다. 1. 家族은 社會의 가장 基本的인 單位이며 個人을 社會化 시켜주는 集團이다. 2. 儒敎思想이 철저히 支配되었던 傳統家族에서는 자식이 어버이에게 행하는 道德인 孝가 父母子女關係의 基本原理이었다. 3. 家族은 社會變遷에 따라 變化를 겪고 있으며 韓國家族도 血緣中心의 傳統家族으로부터 夫婦中心의 現代家族으로 옮겨지는 전환기에 처하고 있다. 4. 家族制度의 變化와 함께 家族의 Ideology로서 孝思想도 變化하고 있다. 그 내용적인 것을 細分하여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社會的으로 엄격한 上下身分體系를 이루고 있었던 傳統家族에서는, 孝가 매우 重視되었으며, 孝는 父母子女間에 우러나오는 愛情의 表現이라기보다는, 父의 絶對的 權威下에 그 명령을 받드는, 父母에 대한 자식의 一方的服從, 尊敬義務이었다. 그리고 이 孝로써 父母子女關係 뿐만아니라 世代間의 위계질서를 강조하며, 社會의 질서를 유지하는데 機能的이었다. 그러나 社會가 産業化 됨에 따라 家族構造는 核家族化 하게 되고, 個人主義, 平等主義, 物質主義的 思考方式이 고조 됨에 따라 孝 관념의 變化는 불가피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現代家族에서의 孝는 孝道觀 自體에 대한 態度에는 肯定的이지만, 孝를 實行하는 具體的인 內容과 方法은 변모하고 있으며, 그 變化樣式은 意識面과 行動面에서 不一致·不均衡을 이루고 있다. 대체로 無條件 服從하는 傳統的 孝道觀 보다는 父母子女間의 妥協的인 態度가 우세하여지고 있다. 그러므로 構造的으로 완전히 西歐化·核家族化 하지 않고 이와같이 新·舊價値觀이 共存하는 過渡期的 混沌 속에서, 分明한 개념정의를 하지않고 孝를 主張하는 것은 오히려 父母子女間에 더 큰 가치관의 혼돈 내지는 많은 家族問題를 초래할 위험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오늘날 現時点에서 要求되는 것은 급변하는 現代 社會構造와 附合할 수 있는 孝의 定立으로서, 무엇 보다도 孝개념에 대한 명백한 개념정의가 必要하며 이를 前提로 우리社會에서의 孝의 適用이 主張되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