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8 Download: 0

뮈텔 주교의 대한인식과 선교정책 (1890~1919)

Title
뮈텔 주교의 대한인식과 선교정책 (1890~1919)
Authors
김정송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Keywords
뮈텔사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19세기 주반은 朝鮮이 봉건체제의 부패와 제국주의 열강의 침략으로 제반 사회 모순이 심화되던 시기였다. 이러한 상장에서 傳敎의 自由획득이 라는 과제에 직면해 있던 朝鮮 天主敎會는 뮈텔 主敎에 의해 주도되었다. 그 결과 그의 宣敎政策은 開港期와 植民地時代 천주교회의 성격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이에 본고는 뮈텔 主敎의 조선 민족운동에 대한 인식과 선교정책을 조선 민족문제와 관련하여 다루었다. 뮈텔 주교가 실시한 선교정책의 성격은 기본적으로 그가 속한 파리 외방전교회의 설립 목적과 특성, 그가 배운 19세기 신학과 당시 교회 당국의 공식태도, 그리고 서구 문화 우월의식에 근거하고 있다. 파리 외방전교회는 일반 지식에 대한 관심결여, 來世觀에 입각한 초월신앙, 엄격한 도덕성, 군주제 옹호, 근대화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등을 특징으로 하고 있었다. 그가 배운 신학은 현실보다는 교회내적인 문제에 관심을 갖는 것이었고 당시 교회 당국의 태도는 정의 구현을 위한 사회참여에 무관심하였다. 또한 그의 서구문화 우월의식은 朝鮮人을 무시하고, 朝鮮文化를 미개한 것으로 간주하는 형태로 나타나 조선 전통문화에 대한 배타심으로 연장되었다. 이와같은 배경은 뮈텔主敎가 조선 민족운동을 인식하는 데에도 일정한 영향을 미쳤다. 즉 그는 현 정부 차원에서 수행되는 개량정책은 수긍하나 피지배층에 의한 변혁은 배격하였던 것이다. 조선 민족운동에 대한 뮈텔 주교의 인식을 살펴보면, 그는 왕조체제를 고수하였기 때문에 체제변혁에 대해 부정적이었고 종교적 사회적 안정을 바라는 측면에서 피지배층의 동요를 비판하였다. 때문에 國王과 고급관료들의 부패로 문란해진 조선정치의 현실에 대해 못마땅해 하면서도 獨立協會나 反봉건, 反제국주의적 이념으로 전개된 甲午農民戰爭이나 義兵運動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다만, 그는 愛國啓蒙運動에 대해서는 정치성을 띤 것을 제외하고는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러한 특성은 당시 천주교회의 일반적인 흐름과 그가 프랑스 宣敎師라는 것, 즉 제국주의적 분위기에서 자라난 서구 선교사라는 데에서 기인한다. 그리고 보수주의적이고 권위주의적인 그의 개인 성향도 밑바탕에 깔려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제반 요인들의 영향하에서 그의 宣敎政策은 敎會內的인 활동에 치우쳐 사회 구원보다 개인 구원적 차원의 사목방향을 취하게 되었고 타종교에 대해 배타적인 태도로 나타났다. 이것은 당시 敎皇廳의 공식적인 문헌이나 파리외방전교회의 정신과 어긋나는 것이었다. 특히 뮈텔 주교는 1906년 교황청에서 政敎分離反對回勅을 반포했음에도 불구하고 정교분리원칙을 고수하였다. 그것은 천주교 선교 및 천주교 유지를 위한 방법론으로 적용되었지만 현실 상황에서 그러한 원칙의 고수는 불가능한 것이었다. 때문에 그의 정교분리원칙의 선교정책은 역설적으로 정교일치적인 형태로 구체화되기도 하였다. 그는 매시기 지배체제와 타협함으로써 전교의 자유를 보장받고자 했고 천주교의 유지를 꾀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민족적 과제를 도외시하였기 때문에 민족해방을 바라던 민중으로부터 외면됨으로써, 오히려 敎勢가 축소 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In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Korea was experiencing various deep social confusions due to the corruption of feudalism and the increasing aggressions of imperialistic foreign powers. In these circumstances,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confronting the task of obtaining the freedom of faith, was under the rule of Archbishop Mutel, whose mission policy exerted a great influence in forming the destiny if the Catholic Church throughout the era of opening ports and the Japanese occupation. This thesis treated the question of Archbishop Mutel's under-standing of the Korea national movement and his mission policy in connection with Korean national sentiments. The character of Archbishop Mutel's mission policy in Korea was based principally upon the founding purpose and characteristics of Paris Foreign Mission Society, to which he belonged, theology of the 19th century that he learned, and the superiority complex of the western culture and race. Paris Foreign Mission Society had been characterized by transcendental theology, austere morality, protection of monarchy, and negative attitude toward modernization, all coming from its intellectual poverty and preference of the future world. The 19th century theology he learned was con-cerned more with the internal affairs of the Church than reality. His superiority complex of the western culture and race was manifested in regarding Koreans as barbarians and the Korean culture as uncivilized, and he rejected the traditional Korean culture. The above mentioned background influenced Archbishop Mutel's understanding of the Korean national movement. He defended monarchism amid the struggle of the Korean national movement, showed a negative attitude toward revolution, and criticized disturbances of the oppressed class of people for violating religious and social securities. Therefore, although he was dissatisfied with the Korean political reality entangled by the corruption of kings and the ruling class of people, he turned his face away from revolutionary Independence Society and Donghak Revolution or Freedom Fighters' Uibyong Campaign, all conducted in an anti-fedalistic and anti-imperialistic spirit. He favored, however, the patriotic enlightenment except that of the political nature. This means that Archbishop Mutel favored the reforms conducted from above by the government but rejected the reforms conducted from below by the oppressed class of people. These characteristics were caused by the fact that he was a French missionary, who grew up in a feudalistic society. And his conservative and authoritarian inclination underlies his conducts. Consequently, under the influence of these elements, his mission policy was concentrated on activities within the limit of the Church, resulting in the preference of a personal salvation to a social salvation and in the discrimination against other religions. This was against the spirit of the official documents of the Holy See in Rome and the mission policy of Paris Foreign Mission Society inv those days. Despite the fact that the Holy See officially called for the unity of church and state in 1906, Archbishop Mutel adhered to the policy of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That policy was adopted as a means for the propagation and maintenance of the Catholic faith, and it was practically impossible. Therefore, his mission policy based upon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had necessarily to be realized in the form of the unity of church and state. As a result, he attempted to side with the ruling authority in order to secure the freedom for the propagation of every period faith, but he failed to increase the number of the Catholics since he ignored the national task.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