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9 Download: 0

현대 패션의 ORIENTALISM

Title
현대 패션의 ORIENTALISM
Other Titles
(A) Study on the Orientalism of Modern Fashion
Authors
尹明子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Keywords
현대패션ORIENTALISM오리엔탈리즘프레타 포르테 콜렉션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80년대 파리 프레타 포르테(pre^t-a`-poter)콜렉션을 중심으로 현대 패션에 나타난 오리엔탈리즘의 양상과 특성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80년대 제예술사조와 패션을 고찰함으로써 인간의 다양한 의식의 흐름과 '80년대 패션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구하였다. '80년대 제예술사조를 통해 본 문화는 20세기를 통해 획득된 순수성의 지향과 우연성의 존중을 근저로 개방화, 총체화, 전통성의 회복, 비합리성의 추구 등의 특징을 지녔다. 이에 따라 다른 시대, 다른 문화로부터 양식과 이미지의 차용과 종합화가 두드러졌으며, 다양성과 개성이 존중되는 다원주의 사회를 추구하였다. 패션에서도 제예술사조와 동일한 양상을 띠었다. '80년대의 일반적 특성은 매니시 감각, 에로티시즘, 스포티 감각, 하이 테크놀로지, 뉴 웨이브, 레트로 감각, 오리엔탈리즘 등으로 다양화와 함께 개성화, 고급화, 국제화를 지향하였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80년대 패션에 나타난 오리엔탈리즘으로 고찰된 일본풍, 러시아풍, 중국풍, 인도풍, 중동풍은 다음과 같이 표현되었다. (1) 일본풍으로는 기모노의 재현, 직선적인 재단법의 사용, 전통적인 착장법에 의한 비구조적인 형의 창조, 기리카미(종이접기)의 이미지, 기타 전통복식의 응용, 전통적인 기하학적 문양, 뉴트럴 색상과 섬세한 조화의 추구, 천연소재의 부각 등으로 나타났다. (2) 러시아풍으로는 민속의상의 재현, 이콘의 정크 주어리化, 밀리터리 룩의 등장, 포토 콜라주, 포토 몽타주 기법의 문양 등으로 나타났다. (3) 중국풍으로는 치파오의 응용, 맨더린 룩의 등장, 노동복 이미지의 직접적인 차용 등으로 나타났다. (4) 인도풍으로는 에로틱한 민속의상의 재현과 장식성, 터번의 다양한 이용, 네루 룩의 재등장, 페이즐리 문양의 사용 등으로 나타났다. (5) 중동풍으로는 다양한 팬츠의 등장, 화려한 아라베스크 문양 등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오리엔탈리즘을 종합하여 형태, 색채, 소재, 문양, 기타 신변품(身邊品)으로 그 특성을 지적하면, (1) 형태에서는 일본·인도·중동풍을 중심으로 「비구조적인 형태」가 주류를 이루었고, 러시아풍과 중국풍의 「구조적인 형태」도 있다. 「비구조적인 형태」에서 일본풍은 전통복식의 구성요소나 매기, 두르기, 걸치기 등의 레이어드에 의한 착장법에 의한 것이며, 인도·중동풍은 드레퍼리 형태에 의한 것이다. 특히 일본풍의 비구조적인 형태는 서구 복식디자인에 새로운 가능성과 방향성을 제시하였으며, 검은색의 사용과 함께 뉴 웨이브의 한 요소로 부각되었다. (2) 색채에서는 검은색, 흰색, 회색 중심의 「뉴트럴 칼라」와 레드, 바이올렛, 오렌지, 블루 등의 환상적인 「비비드 칼라」가 부각되었다. 특히 일본풍에서는 검은색이 주류를 이룬 「뉴트럴 칼라」와 면, 마의 「내추럴 칼라」로 섬세한 색의 코디네이트를 표현하였다. 「비비드 칼라」는 러시아·중국·인도·중동풍의 민속적인 색채의 중심을 이루며, 강한 인상을 부여하였다. (3) 소재에서는 「실용적인 천연소재」와 「고급소재」가 부각되었다. 「실용적인 천연소재」는 면, 마를 중심으로 일본·중국풍에서 많이 보이며, 특히 일본풍의 「실용적인 천연소재」는 서구의 복식조형의 한계를 벗어 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고급소재」의 사용은 새틴 실크, 고가의 울, 벨벳, 밍크, 아스트라칸 등으로 주로 러시아의 민속풍, 인도풍, 중동풍에서 보이며, 패션의 고급화와 장식성이 증가됨에 따라 부각되었다. (4) 문양에서는 「전통적인 기하학적 문양」이 주류를 이루었고, 일본·중국풍의 새, 대나무, 나비, 꽃 등의 「사생풍의 문양」도 있다. 「전통적인 기하학적 문양」은 일본풍의 작은 점무늬, 줄무늬, 가스리(병), 격자무늬와 러시아풍의 포토콜라주, 포토몽타주 기법에 의한 문양, 인도풍의 페이즐리 문양, 중동풍의 아라베스크와 카무플라지 문양 등이 있으며, 장식성과 함께 선명한 인상을 부여하는 특징이 있다. (5) 기타 신변품(身邊品)에서는 「모자」, 「액세서리」, 「벨트」에서 오리엔탈리즘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모자」는 러시아풍의 코사크 캡, 바브쉬카, 중국풍의 맨더린 햇, 인도풍의 터번 등으로 장식성과 기능성을 겸비하고 있다. 「액세서리」에서는 신분의 귀천을 떠나, 풍부한 장식성을 특징으로 하는 인도풍의 이어링, 머리장식, 네그레이스, 브로치, 암링, 팔찌 등과 별, 이콘 등을 모티브로 한 러시아풍이 의복과 조화를 이루며 사용되었다. 「벨트」에서는 일본풍의 오비와 오비지메에서 모티브를 얻은 벨트, 러시아풍의 가죽소재의 커머번드, 중동풍의 남성적인 단검장식이 있는 로 슬렁 벨트 등이 있으며, 대체적으로 장식성이 강한 공통점이 있다. 그 외에 「신발」에서는 러시아풍의 가죽부츠와 일본식 버선인 타비를 응용한 신발도 보였다. 「백」에서도 기리카미의 공예적 요소를 도입해 제작된 일본풍이 있다. 이상과 같이 '80년대는 불특정다수의 개성있는 사람들이 탈획일화하고자 하는 사회 분위기와 지나친 형식주의적 합리주의에 대한 자성으로써 오리엔탈리즘을 통해 새로운 복식의 이미지와 가치를 발견해 나아갔다. 그리하여 이제까지 서구인들에 의해 형성되어온 오리엔탈리즘에 대한 부정적 사고나 환상적인 이미지로서의 잠재적인 고정성과 지속성은 변화되었고, 진보의 과정에 있는 현대에 오리엔탈리즘과 웨스터니즘(westernism)내지 옥시덴탈리즘(occidentalism)이라는 두 개의 인간 사회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양식을 제시하고 있다.;In this study, the flow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ientalism in modern fashion is to be investigated centering around the collection of pre^t-a`-porter in Paris 1980s. For this, the collective comprehension will be studied of the various flows of human consciousness and the fashion of 1980s by looking over every atistic trends and fashion of 1980s. In the view of the general artistic trends of 1980s, culture had the characteristics of openness, totalism, the recovering of tradition, the pursuit of irrationalism in respect of a coinsidence and in the inclination to pureness, which had been acquired through 20C. Accordingly, the borrowing and combing was prevailed of the mode and the image from other period and other culture. And the pluralistic society was pursued which respects the diversity and the individuality. In the field of fashion, it also assumed a similar aspect with the general artistic trends of 1980s. There was a heavy tendency to diversification, individualization, internationalization, and the preference of high quality with mannish sense, eroticism, sports sensibility, high technology, new wave, retro-sense, orientalism, and so on. Under this background, Japanese, Russian, Chinese, Indian, Middle-eastern styles were expressed as follows, to had been the Orientalism of the fashion of 1980s. (1) Japanese : The reapperance of Kimono, the use of straight-line cutting, the creation of the unconstructive mode by the traditional way of clothing, the image of Girikami (paper folding), the application of the rest traditional costume, the geometrical traditional pattern, the pursuit of neutral color and delicate combination, the occurrence of natural materials, and so forth. (2) Russian : The return of folk costume, junk jewelry from icon, the coming on of military-look, the pattern printed by way of photo-collage and photo-montage, and etc. (3) Chinese : The application of Chipao, the advent of Manderin-look, the direct borrowing of the image of Cool ie type. (4) Indian : The reappearance of erotic folk costume, the decorative way of style, the various use of turban, the return of Nehru-look, the use of paisley motive. (5) Middle-eastern : The appearance of various pants, the use of luxurious arabesque motive, and so forth. And so, in the general view of the Orientalism of the 1980s fashion, we may point out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ith its form, color, material, pattern and other personal ornaments. (1) In form ; The unconstructive mode thrived mainly among Japanese, Indian and Middle-eastern styles but the constructive one was also partially shown in modern Russian and recent Chinese styles. In the former one, Japanese style took the method of layered clothing by knotting, girding, draping or by the constitutent elements of folk costume. And Indian and middle-eastern styles took the drapery form. Especially, the uncostructive mode in Japanese style presented new possibility and direction to western costume and became an important element of new wave with the use of black color. (2) In color ; A neutral color mainly black, white, gray and a vivid color of fantastic mood with red, violet, orange, blue were appeared conspicuously. In Japanese style, they expressed coordinates of delicate colors with a neutral color of black and a natural one of cotton and linen. A vivid color centered around the folk colors of Russian, Chinese, Indian and other Mid-eastern styles to give a strong impression. (3) In material ; A practical natural material and a high-quality one were favored. A practical natural one is often seen in Japanese and Chinese styles depending on cotton and linen. In particular, Japanese use of a practical one showed the new possibility to get over the, limit of the western costume style. The use of high-quality one was largely seen among styles of Russian folk, Indian, Mid-eastern styles with satin silk, high-priced wool, velvet, mink, astrakhan, and so on. And it came to be more and more growing up as the inclination to the decorative and high-priced fashion was more increased. (4) In pattern ; The geometrical traditional pattern came out predominant and in Japanese and Chinese style, the sketching-style pattern of a bird, a bamboo, a butterfly, a flower, and so on was also shown. In geometrical traditional pattern, there were a dot pattern, stripe pattern, Gasri, cross-stripe pattern of Japanese style, a pattern by the method of Russian photo-collage and photo-montage, Indian paisley motive, and Mid-eastern aravesque and camouflage pattern. And it gives a clear impression with a decoration. (5) In other personal ornaments ; The Orientalism especially dominated a hat, an accessory, and a belt among other personal ornaments. The hat had both of the decoration and the function such as a Russian cossack cap, a babushka, a Chinese mandarin hat, an Indian turban and etc. The accessory, far from the social positional discrimination, was used in keeping the balance with their clothes. For example, there were an earring, hair-decoration, a necklace, a broach, and arm-ring, and an armlet of Indian style characterized by the richful decoration, and some accessories of Russian style applied from a star and an icon as a motif. And both were well used in harmony with their clothes. There were a belt with the motive from Japanese Obi and Obizime, a leather cummerbund, a low-slung belt with Mid-eastern masculine dagger decoration, and so forth. All they had a strong inclination to decoration in common. Russian style leather-boots and Japanese shoes applied from their traditional socks, Tabi were also used. And we could see the bag of Japanese style produced with Girikami's technological elements. Like this, they had developed the value and the image of new style costume through Orientalism as the reflection against excessive conventional nationalism and the social circumstances for a multitude of individuality of 1980s to overcome the standardization. And so, a potential fixed idea and a continuation as the negative and fantastic image formed by western people have been changed. And the new mode was present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two human societies, Orientalism and Westernism at the moment of the progr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