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李順禮 .-
dc.creator李順禮 .-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27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27Z-
dc.date.issued1977-
dc.identifier.otherOAK-00000003018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282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183-
dc.description.abstract본 硏究는 놀이를 통한 學習方法과 指示的인 方法(他人이 問題解決하는 것을 兒童이 觀察하는 경우와 他人의 指示대로 問題를 解決하는 경우)이 幼稚園 兒童에게서 問題解決의 過程과 그 結果에 미치는 영향을 比較 檢證하는 데에 그 目的을 두고 있다. 이러한 目的을 檢證하기 위하여 놀이의 槪念과 機能 및 敎育方法으로서의 놀이의 役割들에 관한 개관을 통하여 探索活動으로서의 놀이는 行動의 動因, 直接經驗의 제공자 및 經驗의 統合者로서의 機能을 한다는 점을 밝혀 내었으며 이러한 개관을 통하여, 놀이 方法을 통해 學習을 한 兒童과 그렇지 않은 兒童은 최종 問題解決 結果에서는 差異를 보이지 않을지라도 그 解決過程에서 보이는 行動의 多樣性과 目標指向性에서는 큰 差異를 보일 것이라는 假說을 수립하였다. 본 實驗에 參加한 被驗者는 서울 시내의 3개 幼稚園에 在園하고 있는 男女 兒童 105名이었다. 이들은 놀이集團, 觀察集團, 指示集團으로 각각 33, 34, 38名으로 나뉘어 個別的으로 實驗에 參與하였다. 여기서 놀이集團은 解決問題 提示 以前에 問題解決에 使用될 도구를 가지고 紫楡로히 놀이를 하도록 한 集團이고, 觀察集團은 실험자가 이러한 도구를 가지고 問題를 解決하는데 必要한 活動을 시범하는 것을 觀察하기만 한 集團이며, 指示集團은 實驗자의 指示대로 최종問題 解決에 必要한 活動을 훈련하도록 한 集團이었다. 본 실험에서 提示한 解決問題는 被驗兒童의 손이 미치지 않는 곳에 놓여진 目的物을 크기가 다른 세 개의 막대기를 G字 클램프로 連結하여 끌어 당기도록 된 것이었다. 이러한 實驗의 結果 세 集團의 兒童들은 最終的으로 問題를 解決한 兒童의 수에서는 差異를 보이지 않았지만, 그 解決에 所要된 時間과 실험자의 助言의 사용수에 있어서는 큰 差異를 보이고 있었으며, 또한 解決過程에서도 集團間에 有義한 差異를 보이고 있었다. 즉 놀이 集團은 다른 集團들 보다 全體的인 反應이 훨씬 多樣하였으며 또한 目標指向的인 行動도 훨씬 많았다. 이러한 結果는 最終的인 問題解決 結果에서는 集團間에 별 差異를 나타내지 않을 것이지만, 그 過程에서는 상당한 差異를 보일 것이라는 假說을 모두 肯定해 준 것으로 이는 바로 놀이의 諸 機能에 비추어 解釋될 수 있다고 論議 되었다. 즉 놀이는 問題된 行動의 여러 要素들을 多樣하게 結合하는 訓練을 스스로 하게하며, 失敗에 대한 두려움을 減少시키므로써 失敗에 의한 좌절을 經驗하지 않게 하고 問題事態에 自發的이고 能動的으로 興味를 갖고 參與하게 하는 活動이기 때문에 놀이集團의 兒童들이 다른 兒童들보다 더욱 多樣하고 目標指向的인 反應을 보인 것이다. 반면에 觀察集團이나 指示集團의 兒童은 실험자의 解決過程을 觀察하거나 또는 그대로 답습하였으므로 그 過程에서 보인 行動이 相對的으로 다양하지 못 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過程上의 差異는 最終問題解決 結果에는 별 差異를 나타내게 하지는 못한 것이다. 이러한 實驗結果를 토대로 하여, 兒童敎育에서는 兒童의 學習姿勢를 形成시켜 이것이 다음의 事態에 쉽게 轉移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知的 能力을 啓發하도록 해 주는 것이 가장 重要하다는 점에서 놀이가 兒童의 敎育方法으로써 重要한 것이라는 結論을 얻을 수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among the previous learning through, play, through observation and through direction of experimenter on the subsequent problem solving behavior in Kindergarten children. To test this purpose, the author reviewed various literatures on play(its concepts, functions and role as a educational method) and concluded that play is exploratory activity whose main functions are motivator of behavior, provider of direct experiences and organizer of various experiences. Form these review, the author hypothesized that the performances of previous play group and non-play groups would not be different form one another, but their process in problem solving behavior would be greatly different.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5 children(56 male and 49 female) from three Kindergarten in Seoul. Subjects were devided into three groups(play, observation and direction groups) ; each group was consisted of 33, 34 and 38 subjects respectively. In this experiment, play group was allowed free play previously with instruments which would be used as tools for subsequent problem solving, observation group was allowed to observe experimenter's problem solving behavior with the same instruments, and direction group was trained according to the experimenter's directions of the behaviors appropriate to solve the subsequent problem. That is, three groups were differed in their previous experiences, but their subsequent problems to solve were the same. The problem to solve in this experiment was to get out a goal object, which was out of subject's reach. To solve this problem, subjects were to tie three sticks of different sizes with two G clamp.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performance level of the three groups were not different from one another. That is, the numbers of solvers were equal in the three groups. 2. The processes of the three group's problem solving behavio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at is, the time and hints of experimenter, which were required in solving the problem, were longer and more in play group than in non-play groups significantly. And the total number of behaviors, which were showed i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were more in play group than in non-play groups. That is, play group showed more various goal-directed behavior than any other groups. These results were corresponding to the author's hypotheses Thus, form these results, the author concluded that play is the most efficient educational method in Kindergarten, whose chief educational aim should form learning set so that children develop their intellectual ability spontaneously and active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ⅴ Ⅰ. 序論 = 1 A. 硏究의 意義 = 1 B. 硏究의 目的 = 2 C. 理論諦 背景 = 3 1. 探索活動으로서의 놀이의 槪念 = 3 2. 探索活動으로서의 놀이의 機能 = 7 3. 敎育方法에 있어서 놀이의 適用 = 10 D. 硏究問題 및 假說 = 14 Ⅱ. 硏究方法 = 16 A. 硏究對象 = 16 B. 問題解決 課題 = 16 C. 實驗節次 = 17 Ⅲ. 結果 = 20 A. 最終問題 解決 結果 = 20 B. 問題解決 過程 = 25 Ⅳ. 論議 = 31 참고문헌 = 37 ABSTRACT = 4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9038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유아-
dc.subject문제해결-
dc.subject놀이활동-
dc.subject유아교육-
dc.title幼兒의 問題解決 過程에 영향을 미치는 놀이 活動에 關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s of Play on Problem Solving-
dc.format.page4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7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