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徐壬貞.-
dc.creator徐壬貞.-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17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17Z-
dc.date.issued1976-
dc.identifier.otherOAK-00000003213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271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2134-
dc.description.abstract過剩人口와 資本不足에 허덕이던 後進 資本主義 國家인 日本은 1876年 江華修交를 이 땅에 강요하므로써, 우리 民族은 有史이래 처음으로 獨立主權을 喪失케 되었으며 이러한 外勢의 流入過程에서 李朝 封建社會는 政治的, 社會的, 文化的 諸 側面에서 상당한 變化를 경험하지 않을 수 없었다. 따라서 그 變化의 過程들은 韓國社會에 內在해 있었던 封建的 諸 制度間의 相互作用의 결과에 의한 近代化 과정이 아니라 外國의 軍事的 武力에 의한 植民地 政策의 필연적인 同化過程이었던 것이다. 日本 植民地 體制의 確立過程은 처음부터 憲兵警察制라는 武力的 暴力主義에 依據하지 않을 수 없었으며 그 추구하는 바 目的으로써 植民地域에서의 정당한 反抗運動을 진압하기 위함과 아울러 植民事業 終局의 目的인 經濟的 收奪을 달성하기 위함이었다. 武力과 暴力을 기반으로 하는 統治方針은 植民體制가 공고히 確立될 수 있었던 基本的 條件이었으며 이에따라 日帝는 植民地 경영의 窮極的 目的인 經濟的 侵奪을 위한 필수과제로써 土地問題에 대한 改革에 주력하였던 바, 土地調査事業 으로 일단 그 制度的 整地作業은 완결되었다. 그러나 本調査事業이 뜻하는 바 目的은 日本 植民地主義에 입각한 自國內의 資本蓄積의 근원이 될 수 있는 財政制度의 확립과 土地의 自由로운 賣買, 移動을 통한 農業 生産物 특히 米穀의 對日流出에 있었던 것이다. 더우기 所有權 裁定이라는 문제가 당초부터 納稅義務者인 地主만을 分別, 認定하는 것에만 주력하므로써 실제의 耕作權者인 農民層은 本 調査事業에서는 權利밖의 집단으로써 처음 부터 배제되어지므로써, 世續的인 耕作權을 剝奪당함은 당연한 결과처럼 前提되고 있었다. 따라서 調査事業의 총체적인 결과는 전반적인 農民의 土地所有權 喪失이라는 현실로 나타나고야 말았던 바, 一般農民의 土地로 부터의 分離가 급격히 촉진되었고 東拓을 위시한 日人 地主層의 出現과 아울러 사실상의 직접적 耕作者이며 土地保有者이었던 絶對多數의 農民階層을 단순한 契約小作人으로 轉落시키고야 말았던 것이다. 더우기 植民地 農業生産物 增産政策인 産米增殖計劃의 逐行過程에서 발생했던 과중한 負擔과 강제적인 米穀供出制, 各種 勞動力 動員下에 供給對象物資의 강제적 負擔, 供出등은 農民生活을 극도의 위기로 까지 몰고가지 않을 수 없었으며 그 결과는 春窮 으로 표현되는 農民의 窮乏化과정일 수 밖에 없었다. 결국 農村社會의 窮乏化의 終着驛은 一家分散, 都市에서의 賃金勞動者化, 入山구걸, 海外移住 등으로 나타나는 이른바 離農流浪民의 출현이었으며 이와같은 農村社會의 經濟的 沒落에 의한 解體化過程은 그대로 韓國社會의 崩壞로 까지 연결되는 것이었다. 특히 多數의 失業群으로써 過剩農業人口의 日本, 滿洲, 시베리아로의 移住現象의 격증이야말로 日本 植民地 政策에 의한 韓國社會의 철저한 解體過程을 가장 직접적으로 반영하는 사건들이었다. 이상과 같은 植民地 政策의 결과로, 總人口의 絶村過半數인 農民階層이 극도로 沒落해가는 동안 舊 支配勢力은 이러한 外勢의 流入過程에서도 그대로 植民地 土着勢力으로써 認定되었으며 植民政策에 대한 同調者내지 補助者로써 存續할 수 있었다. 특히 이들은 土地調査事業을 통해서 土地資産家에서 金融資産家로 轉換할 수 있었으며 수 많은 民族系 銀行들이 이들 地主出身 資産家에 의해 設立될 수 있었다. 그러나 資本力의 弱少性때문에 日人 大資本에 의한 民族資本系 銀行의 부단한 侵透는 결국 3·1運動 이후 싹이 트려고 했던 民族資本의 발전을 억제하고야 말았으며 마침내는 日本의 戰爭遂行을 위한 戰時公債로써 利用당하고야 말았다. 이에따라 帝國主義的 資本主義의 本格的인 進路는 확정되고 이후의 農民層, 市民層, 勞動階層은 植民體制가 결과한 二重構造속의 下層構造로써만 存續할 수 밖에 없었다.;Since the enforcement of Kang-hwa Treaty in 1876 by Japan, the souvereignty of Korean people was at stake, which had caused unavoidably drastic collapse of the Korean feudalistic social structure. Accordingly the change, which became manifest thereafter, seemed to be brought by the foreign military power, however not by the conflict among immanent elements of the Korean traditional society. From the very beginning of process of establishing colonial system in Korea, Japan must have been dependeing upon the complex of military-police and civilpolice; it wa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Japanese capitalism, which was oriented utterly to the expansionism according to the western model. It was self-evident that Japan aimed at total exploitation of Korean people, who had nothing but land. The socalled "Land Research Program" was the first trial of systematic land usurpation under the sign board of modernization of land system. However, the result was the alienation of Korean peasants from their traditional agrarian rights. At the same time, by the rapid emergence of Japanese big land-owners, the Korean peasants were forced to be tenant farmers. It meant that the socalled capitalistic exploitation of Korean agrarian people had started its function, which was protected in every aspect by the Government General. For example, "the plan of promoting of riceproduction", which was operated solely under view-point of rice export from Korea to Japan. Pressure from the Japanese authority and poverty of the Korean tenants were enormous. The socalled "Spring Starvation" was a expression of misery of Korean tenants. The social results of such misery were the disorganization of agrarian family, appearance of wage labors and beggars in towns, immigration to abroad; in a nutshell, unwilling flee from the land. It was the Leitmotiv of collapse of Korean society. Of cause, the deproviated mass of Korean people were drained away from their home land to Japan, Siberia, Manchuria or wherever they could go on the earth. While the majority of Korean peasants were increasingly degrading economically and socially, the groups of ancien regime could hold their ruling status even under Japanese control in so far as they went together with Japaneses. During "The Land Research Program" they became from land owners to financial entrepreneurs. For a short period, they tried to install indigenous banks, however their banks could not cope with the Japanese capital. As soon as the Japanese Invation to the asian continent begun, the funds of Korean's banks were incorporated into the Japanese Bank Institution under rationalization of "the War Time Loan". Objectively speaking, layers of tenants and farmers, city inhabitants and labors in genral had been structurally formed under the dual structure during the Japanese contro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ⅵ Ⅰ. 緖論 = 1 Ⅱ. 初期 支配體制의 性格 = 6 A. 憲兵警察制의 成立 = 6 Ⅲ. 土地調査事業과 經濟的 支配體制의 確立 = 12 A. 土地調査事業의 목적 = 12 B. 土地調査事業의 經衛와 실시 = 16 Ⅳ. 土地調査事業 이후 農村社會 해체과정 = 21 A. 半封建的 小作制度의 成立 = 21 1. 東拓에 의한 土地占有 = 24 2. 大農場主의 出現 = 29 3. 商利賃金業者의 土地占有 = 30 4. 農民의 零綱小作農化 = 32 B. 農業恐의 식민지 轉嫁에 의한 農民分解의 深化 = 34 1. 産米增殖計劃의 진행 = 34 2. 수리조합비 負擔의 過重 = 37 C. 農民分解의 가속화와 小作爭議의 격하 = 39 Ⅴ. 農村社會 해체와 그 社會的 結果 = 49 A. 一般的 條件 - 春窮 = 49 B. 離農 - 都市集中과 非農業 勞動階層의 발생 = 53 1. 埠頭勞動者의 發生 = 54 2. 工業勞動者의 發生 = 55 3. 鉉山勞動者의 增加와 산업노동력의 構成특징 = 57 4. 離農後의 一般的 實態 = 59 5. 對日流民과 그 實態 = 60 6. 對비洲移民과 그 實態 = 65 Ⅵ. 結論 : 政治的 從屬과 支配階級의 再構成 = 71 參考文獻 = 78 ABSTRACT =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9307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토지조사사업-
dc.subject계층이동-
dc.subject농민계층-
dc.title土地調査事業 以後의 階層 移動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農民階層을 中心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class mobility since "Land research program 1910-1918" in special consideration of peasant class-
dc.format.page82 p. : 표.-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197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