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8 Download: 0

鄕歌의 敍事性에 관한 연구

Title
鄕歌의 敍事性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a narrative quality of "Hyanga" : On the subject of the existance of Hyanga
Authors
李承嬉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향가서사성설화존재양상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Thesis has examined to what extend there exists correlation between the existance of "Hyanga" and a narrative quality of "Hyanga". The study has been pursued by examining the facts that Hyanga has been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wi th a unique descriptive form as well as its narrative connected with the poesy, and that it also implies in it a narrative as a rule, relevant to the poesy. In chapter Ⅱ, classification has been made into two groups, each propertionate to the reliance on a narrative : ⓐ relatively independent - minded Hyanga make of one group, ⓑ while strongly narrative - dependent makes of the other. The latter is again assorted wi th several parts, according to its reliant attitude whatsoever. All told, it is characteristic of the most of "Hyanga" that it is commonly dependent on the narrative. In chapter Ⅲ, interrelation beween narrative quality and Hyanga's dependence on narrative has been studied. This examination has been concentrated on what feature it has disclosed by degrees in case of highly - narrative - relied Hyanga group according to the attitude of dependence. "Hyanga" in narrative form has disclosed a clear narrative quality as well as a striking feature of foretelling the follow - up context of the narrative. This could be considered as a nature of sorts of transcendental spell, and though it takes outwardly an objective descriptions of the fact, it is in fact an explicit expression of subjective view of the world, based on shamanism. A spontaneous and imaginative "Hyanga", in a dramatic form of expression, partly borrows from the narrative context of the poesy. And Hyanga's verse lines this seems to be a device to invoke a dramatic situation to people rather than to convey a narrative from lips to lips. Hyanga which is origined in an objective imagination often shows a variety of form. however, it has hardly any narrative trait. Of course, it occasionally presents before us a narrative quality, but it is no more than a description of a ritual conduct, or else it is but intentionally used for the poetic effect of the works. In chapter Ⅳ, a narrative quality is examined in the unique genre of "Hyanga", however, only to see that relatively indenpendent group of Hyanga is also denpendent on narrative in broader sense. So, narrative quality is a general feature of Hyanga as a poem or poesy in the early stage. When a poesy has its descriptive necessity in verse lines, it strongly shows its narrative quality, and has in it the content connected wi th the narrative. In view the fact, a clear narrative quality of "Hyanga", which closely related to narrative context, could be understood that it is originatieed in the existence of narrative - dependent Hyanga. This phenomena are hardly traceable in the poesy of later days, and is taken for a distinctive feature of our poesy as an early genre.;본 논문은 향가가 그 관련설화와 함께 전한다는 특수한 존재 양식과 많은 향가 작품들이 가요 자체 속에 설화와 관련된 어떤 이야기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그리하여 향가의 존재양상과 가요의 서사성이 맺는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제Ⅱ장에서는 우선 가요가 설화문맥에 의존하는 정도에 따라 ㉮비교적 자립성이 있는 향가군과 ㉯설화에의 의존도가 높은 향가군으로 나누고, 후자를 다시 의존의 방식에 따라 몇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향가가 설화에 의존적이라는 특성을 보였다. 제Ⅲ장에서는 설화의존의 정도가 높은 향가군이 의존의 방식에 따라 어떤 특성을 보이는가 살펴보았다. 그럼으로써 향가의 설화의존성과 서사성과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서술적 발언 형태의 향가는 강한 서사성을 드러내며, 설화문맥을 선행적(先行的)으로 모방한다는 특징을 보인다. 이것은 선험적 주가(先驗的 呪歌)로서의 성격을 설명할 수 있으며, 외견상 객관적 사실의 진술로 보이지만 실은 주술적(呪術的) 세계관에 근거한 강한 주관의 표현이었다. 극적 발언 형태는 두 가지 양상으로 나타난다. 먼저 창작발상이 자발적인 향가는 가요가 불려지기 이전까지의 설화문맥을 부분적으로 차용하고 있는데, 이것은 이야기의 전달보다 가창(歌唱)할 때에 극적인 상황을 환기시키기 위한 장치로 보인다. 또 창작발상이 목적적인 향가는 다양한 양상을 보이는데, 설화문맥을 담고 있지 않으며 일부에서 드러나는 서사성은 의식(儀式)의 행위를 담은 것이거나 작품의 시적 효과를 위해 임의로 사용된 것이다. 제Ⅳ장에서는 향가의 장르적 특성 속에서 서사성을 살펴보았다. 비교적 자립적인 향가군도 넓은 의미에서 설화에 의존적이며, 설화의존성은 초기의 시가로서 갖는 향가의 전반적인 특성이라고 볼 수 있다. 가요가 설화 안에서 비교적 서사적 필연성을 갖고 존재하는 경우에 가요가 강한 서사성을 보이며 설화와 관계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이런 점으로 볼 때, 향가가 담고 있는 설화문맥과 관련된 강한 서사성은 설화의존적이라는 향가의 존재양상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이것은 고려가요나 시조 등 후대의 서정시가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양상이며, 우리 시가초기의 쟝르로서 갖는 향가의 특성이라고 볼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