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0 Download: 0

高麗 忠宣王 改革의 性格

Title
高麗 忠宣王 改革의 性格
Other Titles
(The) characteristics of King Chungson's innovation in Koryo dynasty : Especially focus on the innovation in King Chungson's enteronment year(1298)
Authors
全令熙.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Keywords
고려충선왕관제개혁원간섭기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Koryo dynasty under the Yu¨an's intervention was unhappy period to suffer the interference in domestic affairs. But, in these situations, many efforts were accomplished to get over the social contraditions and to take the social stabilities. This thesis is concerned with the enthronment messages, the government organization's reform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der class during the King Chungson's enthronment year (1298), for the purpose of reinvestigating the innovation characteristics which was first to reform political powers under the Yu¨an's intervention. King Chungson, who ascended the throne because of the King Chungyol's misgovernment, the Yu¨an's restraint, guarantee from the domestic supporting party, and the Yu¨an's support, published the enthronement message which was consisted of prohibition order and profit permission orders. By this message, King Chungyol's close associates in authority who abnormally expanded their power, to threat bureaucracy well who assigned through the regular procedure and to keep stabilization of the people's livehood. Ultimately, he attempted to solidify his royal power footing. The King Chungson carried out the great reform of government organization in May. At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reorganization, he prevented dispense the power and reduced the power of ministers. In the other hand, he reorganized the magnified and enforced Salimwon (詞林院) which had been Hanlimwon (翰林院). This supreme office had the personal appointive power and it conveyed the command of King. It was King's close organization which consisted of new rising officers. In conclusion, these innovations had an end in view of establishing the political control system in the centralized government which had an apex at royal authority. When King Chungson ascended the throne, the leader class was devided into two groups. The one was the old bureaucratic group (舊官僚群) which was composed of not only the pro-Yu¨an party (親元勢力) who appeared in direct relation with Yu¨an but also the existing party (旣存宰相級勢力) who had become the ministers under the King Chungyol's reign. The other was the new bureaucratic group (新官僚群) which was composed of not the anti-Chungyol party (反忠烈王勢力) who were assigned important positions in King Chungson's reign period but the new rising party who were propelling the innovation, who were assigned, along with Salimhaksa (詞林學士), by King Chungs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der class which was composed of these various parties describes King Chungson's will to strengthen the royal authority by means of the broad supporting footing. We can take this view that King Chungson recognized the international situation, the Yu¨an's intervention, and that he tried to strengthen the royal authority and to get the stabilized political system through the domestic innovation. Therefore these innovation entirely were not anti-Yu¨an. But King Chungyol's close associates who were out-sider of power and Yu¨an empire hindered the innovation to be fail. Finally, in conclusion, Yu¨an depended the intervention to Koryo dynasty and these interventions produced the motives of anti-Yu¨an innovation.;元干涉期의 高麗社會는 이민족의 내정간섭을 받아야했던 불우한 시기였다. 그러나 이같은 상황속에서도 당면한 사회적 모순을 극복하고 안정을 찾으려는 노력들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이었으며, 원간섭기 改革政治의 선구적 위치를 차지하는 忠宣王 卽位時(1298) 개혁의 성격을 재조명하기 위하여 郎位敎書와 官制改革의 내용, 그리고 당시 執權層의 성격을 살펴보았다. 忠烈王의 矢政과 元의 견제, 忠宣王의 국내지지세력확보와 元의 협조 속에서 즉위한 충선왕은 禁止條項과 施惠條項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 즉위교서를 발표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충렬왕대에 비정상적으로 성장하여 권세를 누렸던 충렬왕측근세력을 배제하고, 正規官路의 官僚들을 우대하며, 민생안정에도 주력하여 王權의 지지기반을 확대하고자 하였다. 또한 5월에는 대규모의 官制改革을 실시하였다. 우선 中央官制에서는 都僉議使司와 光政院의 宰相數를 감소시켜 권력의 分散을 지양하였다. 그리고 6曹體制를 복구하였으며, 宰臣이 겸하던 判事職을 罷하고, 尙書에는 충선왕계열의 인물들을 기용하여 재신의 권한을 축소시키는 반면 각 官司와 王과의 관계를 긴밀히 하였다. 한편 종래 翰林院을 확대·강화시킨 詞林院을 설치하고 여기에 銓注權과 王命出納까지 맡겼으며, 新進勢力을 기용하여 당대 최고의 권력기관이자 왕의 近待機構로 재편하였다. 또한 外官制에서는 종래의 接廉使에 副使를 더두고, 王京과 京畿를 총괄하는 開城府통치에 관심을 두며 여기에 충선왕계열의 인물들을 기용하였다. 이러한 관제개혁의 내용들은 바로 강력한 王權을 정점으로하는 中央集權的支配秩序의 확립을 위한 것으로 왕권강화를 뒷받침 하는 것이었다. 충선왕 즉위시의 執權層은 다양한 세력들로 구성되었다. 즉 元과의 직접적인 관계에서 파생된 親元勢力과 충렬왕대에 이미 고위관직에 올랐던 旣存宰相級勢力을 포함하는 舊官僚群, 그리고 충렬왕의 정치성향에 반발하여 파란을 겪고 충선왕대에 重用된 反忠烈王勢力과 詞林學士를 포함하여 충선왕대에 중용되면서 두각을 나타내고 개혁을 추진해나아간 新進勢力을 포함하는 新官僚群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구관료군이 충렬·충선 양왕대에 활동하였던데 비하여 신관료군은 충선왕대에 주로 활약하였다. 이렇게 다양한 세력들로 구성된 집권층의 성격은 폭 넓은 지지기반의 확대·강화를 통해 王權을 强化하려는 충선왕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었다. 이상에서 보았듯이 충선왕은 元의 干涉下라는 국제적인 상황을 명확히 인식하고, 그 상황을 최대한 이용하면서 국내에서 개혁을 통하여 강력한 王權을 바탕으로 하는 안정된 정치질서를 이루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충선왕 즉위시의 개혁은 反元을 표방하여 실시된 개혁이었다기 보다는 무너진 왕권의 회복과 국내 통치질서의 안정을 통하여 대내적인 힘을 축적함으로써 나아가 反元의 기틀을 마련하려는 것이아니였을까 한다. 그러나 개혁으로 정권에서 소외된 충렬왕측근세력과 고려의 왕권강화 및 대내적 안정에 불안을 느낀 元의 간섭으로 개혁은 실패하고 元의 간섭이 심화되어 결국 이후에 나타나는 反元改革의 동기를 제공하게되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