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0 Download: 0

식물 형태의 조형적 재구성

Title
식물 형태의 조형적 재구성
Other Titles
(The) Plastic Recomposition of Plant Forms
Authors
성화숙
Issue Date
1985
Department/Major
대학원 생활미술학과
Keywords
식물형태조형적 재구성생활미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Nowadays, modern world is rushing to the destructive and vulgar materialism. In this situation, we cannot lead any spiritual lives, which are based on our imaginations. As a result, we lose the meaningful lives. On the other hand, human minds always desire the imaginations and creations. Human spirit and creation always comes from he need of every day lives. So it can be said that all arts is developing from material things to mental activities. Nowadays various groups are made by new views and special values. Dyeing art is developed as a unique of plastic art. This study selected flowers and plants as the motif for the production of work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lastic possibility through dyeing process of aesthetic characteristics from the form of plants. In chapter Ⅱ, such as the meaning of plastic art, two main streams of modern plastic art and its problems were studied for the research on the essential qualities of plastic art which can't be separated from us. Next, the study on the plastic art and visual sense are emphasized. On the basis of the concept of visual sense to see things means to experience the perceived forms of mind and to express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whole". From this view point, the analyses on twelve works brings the conclusions as follows; 1) The forms of plants selected as the motif are very diverse, and their severed shapes are very interesting. So their structural beauties are unlimited and suitable for he object of plastic art. 2) The desire for moulding is a human nature. Therefore moulding is the means of self-recognition and self-realization. Its value given to it. Since this meaning comes from the sympathy between the artist and appreciators, right choice of matters and easy handling are need. 3)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plastic art is the perception. As to see thing happens in the human mind not out of eyes, the experience is not the physical form but perception form. That is, man conceive not the element but the totality. The concept of totality is significant in the plastic art, too. To perceive the things is to grasp the whole structure.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 universal language of plastic art. Therefore, we need to study the structure of nature and observe the development of its form. 4) The artist gives the individuation and pecularlity subjectivity. The objects which were simplified through this transformational course reconstruct the theme plastically. The artist can get the animated forms through the individualized transformation. 5) In order to approach to the essence of forms in expression, the point of view, "close-up it was used. It was effective in maintaining the plane order and unity. And similiar colors and contract effect was helpful for the change of unity. Rhythmical stream gives the life to the form of plants. It is also very desirable in visual aspect. The gradation effect of tone used for the space of objects is suitable for the delicate and profound expression of dyeing. 6) The expression technique of dyeing is very diverse. So we can develop the design much more in the future. 7) Sound art doesn't separate the means from the aim and the technique from the beauty. So it is very valuable to try to equalize the qualify of every day lives with that of art though the production of works. To connect art with the practical level is important, too. The key to something hat is pursued with sincere intention cannot be acquired only from a series of principles and theories. So we can get the key from the application of "the most from from the least". There must be endless observations and thinking there. And there must be ideas which will develop in the future, even though they are not based on any theories right now. Much researches and trials are expected to serve to the plastic dyeing expressions.;현대 세계는 일면, 파괴와 더불어 현란한 物質主義로 치닫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간은 상상을 기초로 하는 정신 생활, 나아가서, 創造 活動을 저지 당하게 되며, 결국 의미 있는 삶을 잃게 된다. 반면, 임간의 정신은 끊임없이 상상과 창조에의 욕구를 요청하기도 한다. 이 인간 정신의 요청과 창조는 언제나 실제 생활의 필요에서 발전하여 온 것이고 거기에 따라서 일체의 예술은 물질적인 유용물에서 정신적인 유용물로 게속 발전해 나가는 것이다. 오늘날 상황도 예술은 새로운 관점과 개성으로 여러 그룹을 형성하며 발전해 나가고 있으며, 염색 공예도 거기에 부응하여 독특한 조형 예술의 한 분야로 발전을 같이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작품 제작을 위한 소재로 식물을 설정하고 그 형태의 관찰을 통한 유기적 관계를 조사하여 그 美的 特質을 염색으로 조형화하는 과정을 통해서 造形的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目的이 있다. 이를 위하여 Ⅱ장의 이론적 배경에서는 첫째, 조형의 本質에 대하여 서술하는데, 인간 생활에서 결코 분리할 수 없는 조형 활동의 의의, 그리고 현대 조형 활동의 두 가지 큰 흐름과 현대 조형미술의 문제점 등을 살펴본다. 둘째, 오늘날 조형 예술과 시지각에 대한 연구가 많이 강조되고 있다 이 시지각에 대한 개념을 기초로 우리가 사물을 본다는 것은 마음 속으로 지각적 자태를 경험하는 것으로, 이것은 전체의 개념으로 본질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지각된 형태를 표현하는 것이란 관점에서 시지각과 표현의 문제를 고찰함으로써 본 연구자의 조형관을 정립한 다음 12점의 작품을 제작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소재로 선정한 꽃과 식물의 형태는 관찰하는 각도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를 얻을 수 있고, 또 절단해 보면 흥미있는 형태를 발견할 수 있어서, 그것이 지니는 구조의 미는 무한한 것으로 조형대상으로 적당하였다. 2. 조형의 욕구는 원초적인 것이다. 따라서 조형은 자아 인식, 자아 실현의 수단이 되며, 그것의 미적 가치는 의미부여에 의한 것이다. 이 의미 부여는 감상자와의 공감대의 형성으로 이루어지므로 거기에 적절한 소재 선택과 그 소재 취급의 간결성이 요구된다. 3. 조형과의 만남에서 지각적 개념은 중요한 것이다. 사물을 본다는 것은 현실 존재의 물리적 자태가 아니라 지각적 자태를 경험하는 것으로 요소보다는 전체를 인식하는 것이다. 사물을 지각한 다는 것은 이와 같은 전체 구조를 파악하여 그 사물의 본질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것이 조형의 보편적 언어를 형성하는 이론적 바탕이 되었다. 따라서 자연의 구조를 연구하고 형의 전개를 관찰하는 훈련이 필요하다. 4. 대상의 생동적 표현은 작가의 주관성이 개입되어 개별화되고 개성화가 이루어진다. 이런 변형의 과정을 통해서 대상은 단순화되고, 단순화된 대상들은 주제를 조형적으로 재구성하게 된다. 이때 생명있는 형태를 갖추게 되고 그러기 위해서는 개성화된 변형의 과정이 필요하다. 5. 표현에 있어서 형태의 본질에 더욱 가까이 가기 위해 접사의 시점을 이용한 것은 평면적인 질서를 유지하고 통일감을 주는데 효과적이며, 통일감에 변화를 주기 위해 유사색조나 대비효과도 효과적이었다. 식물 형태의 생명감을 상징하는 율동적 흐름은 시각상 바람직하였고, 대상의 공간감을 얻기 위한 톤의 그라데이션 효과는 염색의 섬세하고 깊이 있는 표현에 적합하였다. 6. 파라핀을 이용한 염색의 기법은 표현성이 다양하여 개발의 여지에 따라 훌륭하고 풍부한 디자인을 구사할 수 있다. 7. 건전한 예술은 목적과 수단이 분리되지 않고, 심미성과 기술성이 분열되지 않는 상태이다. 따라서 작품 제작을 통하여 생활의 질을 예술적 질의 수준까지 끌어올리려는 노력은 매우 가치있는 일로서 실용적인 차원으로의 연결 또한 중요한 과제이다. 진지하게 의도를 갖고 추구하는 어떤 일의 비결은 일련의 법칙과 이론이나 경험에 기초한 작업 이상이어서 최소한의 노력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도록 응용하는데 있다. 거기에는 끊임없는 관찰과 사고의 과정이 포함되고 또 시초에는 아무런 이론적 기초도 없는 것처럼 보일지라도 장차는 발전될 아이디어가 포함되어 있다. 앞으로 많은 연구와 정진은 무한한 염색의 조형적 표현에 무한한 발전을 주리라 생각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