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6 Download: 0

Emily Dickinson 초기시 연구

Title
Emily Dickinson 초기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Emily Dickinson's Early Poems
Authors
徐相賢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Keywords
Emily Dickinson불멸미국문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Undoubtedly, the large number, variety and ambiguity of the poems written by Emily Dickinson, who, since Sappho, was regarded as the best poetess by Frost, has prevented us from finding any consistency in understanding, interpreting, or categorizing Emily's poems. That circumstance also has led us to misperception of her status in the history of poetry. Emily's poetic pursuit in objects, despite the variations of her attitude toward objects depending upon situations, has had its consistency, It follows that we can categorize or comprehend her poems in a totally new manner around her unvarying pursuit in objects, "establishment of security for survival". In fact, she wanted to have an ideal den deep inside for realistic security of life from the feeling of homlessness stemming from the cruel reality. This thesis in the first chapter explores the background of her poetic pursuit an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ideal den for life security. The second chapter is about Emily's pursuit in Nature through nature poems, and also about tragedy of human life resulting from the transition of human attitude toward Nature, from the bright side to the dark side. Chapter 3 investigates Emily's effort through death poems to ensure her own secret room for security in her world of death. Finally, in Chapter 4, the author traces how and where she has found her final relief. She succeeded in securing herself in art through secluded life deliberatedly led by herself at father's home. Emily's incessant pursuit in inner security of life helped her to experience the world in fresh, which only embedded pessimism in her hearts and ironically alienated her completedly from the reality. However, by hiding herself away, she could establish her secret den from the reality to make the most ideal room of art, through which she opened connection to the cruel reality in the end. In the process of re-establishing Emily's poetic order, it was possible to assume that anybody can share the sparkles of poetic consciouness experienced by Emily Dickinson. Emily's experince of transition of her existence through poetic sursuit can also be empathized by all.;계몽 사상과 이신론(Deism)적 낭만주의의 사고 및 과학과 이성의 발달에 따른 실증주의적 사고의 영향은 17세기 이래로 미국인들의 강력한 정신적 기반이었던 청교주의(Puritanism)에 대해 회의의 파문을 일으켰다. 그러나 새로운 사상과 사고체계는 종교적 가치관이 인간에게 부여했던 정신적 위안을 대신할 수 없었고, 또 이러한 대체를 가능케 할 만한 어떠한 새로운 가치관도 정립하지 못했다. 따라서 새로운 가치관과 옛 가치관이 엇갈리는 19세기는 사람들이 의존할 수 있는 정신적 가치관이 없는, 일시적인 공백기로 특징 지을 수 있다. 이러한 시대적 특성이 문학에 미친 영향은 정신적으로 안주할 곳을 발견하지 못한 주인공들이 느끼는 '실존적 불안감(the feeling of homelessness)'과 그 불안을 극복할 수 있게해 줄 '불멸의 안정 공간'을 찾으려는 욕구로 나타난다. 광범위한 다양성과 심오한 깊이를 지녀, Sappho 이래로 최고의 여류 시인이라고 까지 평가 받은 Emily Dickinson 역시, 엄격한 부모의 인색한 애정 표현 아래에서 양육되었기 때문에, 항상 원초적인 내적 빈곤감(primitive inner impoverishment)을 느꼈고, 이 결여와 빈곤의 상태에서 탈피하여 풍부한 보호와 애정 속에서 살고자 애썼다, 또 19세기의 Amherst라는 엄격한 청교도의 문화적 배경 속에서 성장했으면서도, 선민의식(Elect)이나 구원(Conversion)을 확신할 수 없었던 그녀는 당시 교회의 전통에 반기를 들고 자기 신뢰(self-reliance)의 정신 위에서 개인의 인격의 존엄과 범신론적 신비주의를 주장했던 낙관적 초절주의(Transcendentalism)에 심취하여, 청교주의(Puritanism)와 그 반동인 초절주의(Transcendentalism) 사이를 오가며, 그 어느 곳에서도 실질적으로 완벽하게 정착하지도 못하고, 또 어느 한 곳에서 완전히 탈피하지도 못하는 불안정한 삶을 살았다. 따라서 그녀는 개인적, 시대적 동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자신이 느낄 수 밖에 없었던 "안주할 곳이 없는 불안감(the feeling of homelessness)"으로 부터 자신을 보호해 줄 '불멸의 절대적인 안정 공간'을 추구하려는 의식의 지향성을 지니게 되며, 그녀의 시는 불안과 안정, 결여와 풍요같은 상반된 특성을 가진 두 공간을 연결하여 주고, 이들 간의 변증법적 대립을 통한 실존의 성숙을 가능케 해 줄 매개 공간을 구축하고자 하는 의식의 지향적 행위의 기록이 된다. 이에 1장에서는 Dickinson이 지닌 의식의 지향성의 배경과 그 정의를 내리고, 아울러 그녀의 의식의 지향점인 '불멸의 이상적인 안정 공간'의 요건과 그 구축과정을 살펴보았으며, 2장에서는 현상세계인 자연에 대한 '범신론적 인식'과 이러한 낙관적 자연관을 통해 자연에서 절대적인 안정을 부여 받으려는 그녀의 욕구를 Nature Poems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러나 자연의 실체가 '절대적인 안정 공간'의 상징일 뿐만 아니라 '소외와 적의의 부정적인 공간'의 상징으로 인식됨에 따라, Dickinson은 자연계에서는 결코 안주 할 곳을 발견할 수 없는 인간의 유한함과 인생의 비극성을 깨닫게 된다. 그러므로 인간을 기만과 적의의 자연계에서 벗어나게 해 주고, 영원한 안식과 생존을 부여 해 줄 것으로 여겨지는 '불멸의 실체'로서의 죽음의 공간 속에서 절대적인 안정 공간을 확보하려는 노력을 하게 되는데, 이 과정을 Death Poems을 중심으로 3장에서 살펴보았다. 그러나 부활을 확인할 길이 없는 죽음의 세계 역시 그녀에게 있어서는 '불멸의 실체'가 아니라 죽음 그 자체, 즉 '존재의 소멸'일 뿐이다. 따라서 현상계인 자연과 형이상학적인 죽음의 세계, 그 어느 곳에서도 자신이 지향하는 불멸의 이상적인 안정 공간을 발견하지 못하고, 오히려 발견의 실패에서 오는 실존적 불안감만 가중된 Dickinson은 이러한 부정적인 양 세계에서 의도적으로 도피하여 스스로 자신의 아버지 집 속으로 숨어 들어감으로써만이 진정한 자신의 지향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4장에서는 은둔(Seclusion)이 부여하는 충분한 안정감과 보호감을 영원히 지속시켜 줄 '예술'이라는 '불멸의 이상 공간'을 스스로 생산하는 '창조자로서의 시인'의 모습과 이 최고의 이상 공간을 통해 이제까지 자신에게 적대적이고 공격적이었던 세계와 유기적인 통로를 열게 되는 과정을 Poetry Poems을 중점으로 살펴보았다. 이와 같이 부정적인 공간으로 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그러므로써 얻어지게 되는 실존적인 안정감에 의해 실존의 더 나은 성숙을 가능하게 해 줄 '불멸의 안정 공간'을 구축하고자 하는 Dickinson의 의식의 지향성은 그녀의 생애와 저작을 동시에 묶어서 해명해 줄 수 있는 질서의 축이 되며, 그러한 의식의 지향성이 지닌 질서 체계를 재구축하는 연구 과정에서 우리는 예술의 창작에 있어서 시인이 경험하는 감동을 공유하게 되며, 시인 자신의 의식의 작용속에서 일어나는 존재의 변이를 함께 겪는 재체험을 하게 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