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2 Download: 0

연꽃의 空間的 構成

Title
연꽃의 空間的 構成
Other Titles
Space Composition of Lotus Flower
Authors
金禧成.
Issue Date
1984
Department/Major
대학원 생활미술학과
Keywords
연꽃공간적 구성자연생활미술염색공예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modern art has made great progress with the material civilization to such an extent that the fine art using computer comes to challenge the traditional art. Against this background, today's dyeing craft is getting out of the traditional pattern by developing various techniques and expression forms, thus expanding a method of study and the scope and also changing the valuation stand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m its image and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expression of dyeing through the space composition by using a lotus flower as a subject matter.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nature and art, meaning and symbol of lotus flower, change of flower were considered through th literatur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producing and analizing twelve (12) pieces of work using a lotus flower as a subject matter on the basis of the formation of subjective viewpoint of formative arts based on above theory. First, the origin that Korean women have favored a lotus flower stemmed from that they have thought it as an ideal flower to represent their philosophy rather than a natural flower. Second, the formative dimension wes intentionally drawn form the interection of a flat and a lotus flower expressed with space composition. Third, although dyeing craft has a lot of limitation and difficulty in terms of technique, it has it's own technique to express mystery and beauty than any other fine art. For further research, it is suggested to express a characteristics of dyeing by producing intentional form.;現代의 美術은 기계文明과 함께 加速化되어 컴퓨터 美術이 전통적인 美術에 도전하는 時代에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染色工藝 역시 工藝的 染色에서 한계를 벗어나 여러가지 技法, 表現樣式 의 開發로 그의 硏究方法이나 範圍가 擴大되고, 또 그 가치 基準도 달라지고 있는 것이 오늘의 染色工藝 이 다. 따라서 本 硏究者는 自然의 연꽃을 素材로 하여 그의 이미지를 形象化 하며, 空間的 構成으로 染色의 表現 可能性을 模索하는데 硏究의 目的이 있다. 이 硏究의 目的을 위해서는 理論的 背景으로 自然과 藝術, 연꽃의 意味와 象徵, 연꽃圖形의 변천을 文獻을 通하여 考案 하였다. 이러한 理論을 토대로 主觀的 造形觀을 정립하여 연꽃을 素材로 12點의 作品을 制作 分析하여 얻어진 結果는 다음과 같다. 表現素材인 연꽃이 꽃이라는 이미지보다 人間의 심오한 哲學이 담긴 理想花로서, 韓國女性이 좋아할 수 있는 充分한 由來를 고찰할 수 있었으며, 空間에서 表現된 연꽃과 面의 만남이 硏究者가 意圖한대로 造形的으로 試圖될 수 있었다. 또한 染色工藝는 技法上에 많은 제약과 어려움이 따르지만 染色만이 가질 수 있는 獨特한 技法이 개발 될 수 있어, 모든 造形藝術과 같이 신비로움과 아름다움을 表現할 수가 있었다. 本 作品에서는 意圖的 形態를 만들어 染色만이 가질 수 있는 特性을 表現할 수 있으리라 기대하였으나 몇가지 硏究의 아쉬움을 남겼다. 그러나 본 연구의 作品 제작과정을 통하여 보다 造形의 심층적 硏究를 지속화 시 킬 수 있는 계기를 얻을 수 있었다는데서 보람을 느끼게 되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