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申恩惠-
dc.creator申恩惠-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01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01Z-
dc.date.issued1976-
dc.identifier.otherOAK-00000003007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255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075-
dc.description.abstractK. Barth의 하나님을 말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유선 종래의 서구 형이상학적 유신론, 자유주의 신학 그리고 L. Feuerbach의 神의 인간학적 환원을 다루었다. Barth와의 직접적인 대화자로는 Feuerbach를 택했고 이에 대한 Barth의 답변을 그의 하나님을 통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하나님에 관한 물음은 여전히 신학적인 思考의 중심과제로 되어왔다. 서구 유신론 전통은 초월자 하나님 신앙을 그 근저에 보유하고 있었으나 理性의 論理로써 "우리가 하나님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가?"라는 물음과 함께 이른바 신존재 증명의 문제를 전개하였다. 신존재 증명은 우선 中世紀 Canterbury von Anselm에게서 시작되어 Thomas Aquinas에 이르러 절정을 이루었다. 신존재 증명은 그 이후 Descartes, Leibniz 등에 의하여 계승되어 Kant이전까지 존속해 왔다. 그런데 Kant는 이러한 신존재증명을 理論理性이 수행할 수 없는 영역의 것이라고 비판함으로써 사실상 신존재 증명에 중지부를 찍은 셈이다. 이로써 종래의 형이상학적 유신론 전통은 무너졌고 Kant는 그 대신에 인간의 요청으로서의 도덕적인 神초을 생각했던 것이다. 그리하여 Kant 이후에 있어서는 형이상학적 초월적 神 존재의 문제로부터 인간의 經驗世界 혹은 歷史的 現實에로 집중되는 경향이었다. Hegel은 형이상학적 유신론과 理性의 絶對理念을 종합하여 神을 역사의 理念과 동일시하기에 이르렀다. Schleiermacher에 있어서 神은 인간의 宗敎體驗의 차원에로, Ritschl에 있어서는 인간의 倫理性의 實現에로 內在化되었다. 이렇듯, 19세기 자유주의 신학은 하나님의 他者性 즉 자연 인간과 구별되는 하나님의 존재 자체를 형이상학적 사변이라고 하여 신학에서 탈락시켜 버렸다. Feuerbach는 Hegel학파에서 나왔으나 그와는 달리 人間의 感性에 역점을 두고 神의 객관적 초자연적 존재개념 혹은 역사의 이념을 주관적 人間性에로 환원시켰다. 즉 神은 인간의 自我像(Self-image)이라고 함으로써 신과 인간을 동일시 하기에 이르렀다. 이로써 신학은 완전히 人間學的 차원에로 대치되었다. 이러한 19세기의 문제정황에 반기를 든 것이 Barth의 「로마서 주석 」이다. Barth에 있어서 하나님은 전혀 인간성의 차원이 아니다. 하나님과 인간의 절대적인 구별성은 인간역사에 대한 終末的 限界를 의미한다. 하나님은 오직 그의 자아계시(Self-revelation)의 事件에서 옳 인식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하나님 인식은, "하나님은 자신을 스스로 알렸다"라는 인식의 사건으로부터 출발한다. 즉 "神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라고 물을 것이 아니라 "어떤 양식으로 그가 우리에게 알려줬느냐"가 문제인 것이다. 이러한 하나님 인식은 그 가능성이 본래 그의 자유한 주체, 자유한 善意에 근거해 있음을 뜻한다. 이것이 곧 하나님의 예비성이다. 이와함께 인간의 예비성이 요청되는바 이는 예수 그리스도에의 信仰으로서 하나님편과 우리 편에서의 인식 가능성이다.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우리에게 주어지는 하나님의 對象性은 간접적인 표징이라는 것, 그는 우리에 대해서 완전히 감추인 하나님, 신비의 하나님으로서 우리의 사랑과 경외의 대상이라는 것이 우리의 하나님 인식의 한계를 지시한다. 우리의 하나님 인식의 문제는 Analogia론과 자연신학이 가지고 있던 바, 하나님의 본질과 우리의 말 사이의 어떤 類似性을 전제했던 것이다. Barth에 의하면, 이 계시에의 告白-신앙 으로부터 우리가 말하도록 허락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하나님 인식은 단번에(once for all) 성취되는 것이 아니라 거듭 물어야 하는 과제를 지닌다. Feuerbach에 있어서는 神과 인간이 동일화되므로 Barth의 하나님론과 전적으로 대립된다. 현대 대중사회의 인간들은 하나님 자체에 대해서 懷疑的이다. Feuerbach에 있어서의 神人 同一化는 현대 추세에 많은 영향력을 미친다. 그러나 과연 하나님이 인간의 自我像에 불과한가? 이러한 물음에 직면하여 Barth의 하나님론의 意義를 다시금 묻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In order to present the significance of Karl Barth's doctrine of God, this thesis has first dealt with metaphysical theistic tradition in West, and theological liberalism in the 19th century, as well as Ludwig Feuerbach's anthropological reduction of divine nature into humanity. As a direct dialogical counterpart of Barth, Feuerbach is chosen in this thesis, in order to see how Barth answers the problem of the doctrine of God which was disclosed by Feuerbach. Our question about God is still the centural theme of our theological thinking. The theistic tradition in West, which has always retained biblical faith in the transcendence of God, was formulated in the form of metaphsico-logical proofs about God, under the presupposition: We can know that he exists. The problem of proving God's exsistence was introduced methodologically first in Anselm of Ganturbury and reached a climax in Thomas Aquinas. The theistic tradition was also taken over by such philosophers as Descartes, Leibniz etc. The tradition came to a stop in a certain sense in Kant. According to Kant, the exsistence of God can not be proved by pure theoretical reasoning. However one can not say with Kant the theistic tradition collapsed. In stead of logical proof, however, Kant posited God as a moral postulate. After Kant's critique, there appeared, in the conception of God, a shift from a metaphysical conception of a transcending God to an immanence of God in Man's experience or in historical reality. In Hegel, the concept of God is identified with the absolute idea of reason and principle of history. In schleiermacher God is conceived as being immanent in religious consciousness, and in Ritschl, in man's moral realization. 19th century liberal theology removed out of theological scheme the concept of divine Otherness, or of God in himself, or his being in himself as a metaphysical speculation. Feuerbach, unlike Hegel, even if he was Hegelian School, put emphasis on man's physical sensual reality. In Feuerbach God is reduced to human nature, that is, God is nothing but man's self-image. God is thus completely identified with man. Thus, theology is substituted by anthropology. It is Basrth's "Der Ro‥merbrief" which raised a most strong antithesis to the problem situation of 19th Century liberalism. For him God is totally different from man. The absolute difference between God and man means that God is related to man as an eschatological limitation. In other words, God is Known to man only in the event of his self-revelation. Therefore, our Knowledge of God begins with the acknowledgement of the event. So the question of our Knowledge of God begins with the question: "in what way is God Known to us," and not with the metaphysical question "how we can Know God." This way of raising our question signifies Barth's assertion that the possibility of our Knowledge of God is grounded in his freedom, in his good will, and in himself. Therefore, Barth speaks of the readiness of God as the original possibility of man's Knowledge of him. In Correspondence to God's readiness to make himself Known to man, man's readiness in turn is requested. The unity between the readiness from God and that of man is the event of the Faith of Jesus Christ, and Jesus Christ opens up the readiness of God and man. He is the possibility of our Knowledge of God. God as the object of our Knowledge is given to us in Jesus Christ. Jesus Christ is for us the indirect form or sign of God as the object of our knowing. This indirect form signifies the hidden God of mystery. God's hiddenness means the limit of our knowledge. Where God is known, there is his hiddenness to be acknowledged. According to Barth, we are permitted to speak of God, in spite of his hiddenness, on the basis of our faith in him as the event of God's revelation. Our Knowledge of God can not be accomplished once for all, but has to be attained through continuous seeking. Feuerbach's reduction of God into human nature has no such task. Barth's doctrine of God is eventually antithetical to Feuerbach. The identification of God with man in Feuerbach has given an influence upon various atheistic tendencies in our time But should it be true that God is nothing but man's Self-image? In confrontation with such a question, it seems important and meaningful to give a serious attention to Barth's doctrine of Go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Ⅱ. 西歐 新論의 문제정황 = 5 A. 有神論의 歷史的 槪觀 = 5 B. 유신론적 신존제증명과 Kant의 비판 = 8 C. 19세기 schleiermacher와 Hegel에 있어서의 내존신관의 문제점 = 16 Ⅲ. L. Feuerbach에 있어서의 신의 人間化 = 20 A. 人間의 本質(The Nature of Man) = 21 B. 宗敎의 本質(The Nature of Religion) = 24 C. 신과 人間의 同一性의 문제 = 28 Ⅳ. K. Barth의 하나님論 = 34 A. 하나님의 인식의 근거로서의 계시사건 = 34 B. 하나님 인식의 가능성 = 41 C. 하나님 인식의 한계 = 49 D. 하나님 인식의 진리성 문제 = 55 Ⅴ. 결론 = 72 참고문헌 = 77 ABSTRACT =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260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K. Barth-
dc.subject하나님론-
dc.subject서구 신론-
dc.subjectL. Feuerbach-
dc.subject신인동일화론-
dc.subjectBarth, Karl-
dc.titleK. Barth의 하나님論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西歐 神論과 L. Feuerbach의 神人同一化論과 관련하여-
dc.format.page8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기독교학과-
dc.date.awarded197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