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8 Download: 0

大田市 서비스기능의 空間構造에 관한 硏究

Title
大田市 서비스기능의 空間構造에 관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PATIAL STRUCTURE OF SERVICE ACTIVITIES IN DAEJON
Authors
朴卿沃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생활학과
Keywords
대전시서비스기능공간구조도시사회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Urban consist of various functions. Among the economic activities, service function is closely associated with human life. The previous researches focused mainly on commercial activities in analysing the intra-urban structure, but service activities including commercial activities become more important as the economy developmen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urban spatial structure of service function in the Daejon and present the adequate development direction of a spatial structure in Daejon, which will experience a lot of changes in the future.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distribution of the service activities in Daejon, wholesales are mainly located in the periphery which is close to urban center, and the distribution of retail and personal & household services show dispersed pattern. Most of the other activities are strongly center-oriented, but social & related community services, transport, warehousing and communication are independently located in the periphery, showing a different pattern of distribution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services. Second, in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activities, which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and bear a complementary relatonship show a higher correlation in th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tivities, they are divided into three pattern : center-oriented, dispersed and periphery-oriented. Third, in the cluster analsis, there are four classes in the hierarchy structure of service regionin Daejon with one nuclei. However, the sub-center Yuseong is expected to play a more important role and become a lower nuclei in the future. Fourth, The spatial pattern of various activities can be characterized- center → wholesales → mixed zone → residential area → other services as a concentric pattern. A new service center is formed in Yuseong but the spatial structure is separated because there is no connection between the center of Daejon and the Yuseong sub center. Therefore, the policy to connect this two districts adequately will be needed.;都市를 구성하고 있는 기능은 다양하다. 그 중 인간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은 서비스 機能이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都市 空間 構造를 밝히는데 있어 商業機能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점차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상업기능외 여러 서비스 기능 또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大田市를 사례로 하여 서비스 기능에 의한 공간구조를 파악하고 앞으로 많은 변화를 경험하게 될 大田市 空間 構造에 대한 적절한 발전 방향을 제시 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에 따른 내용은 다음 4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大田市 서비스業의 分布에 관한 연구에서 도매업은 도심보다는 도심 인접 외곽지역에 주로 입지하고 소매업과 개인 및 가사서비스업은 분산적인 성격이 강하였다. 그 외 대부분의 업종은 都心志向的인 特性이 두드러졌으나 사회 서비스업과 운수창고 통신업은 시 외곽에 입지하여 다른 서비스업과는 상이한 분포 양상을 보였다. 둘째, 各 業種間 相關關係 分析에서는 성격이 비슷하거나 상호 보완적 관계에 있는 업종끼리는 相互聯關性이 높게 나타난다. 즉 도매업종간, 소매업종간, 음식·숙박업종간에는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業種의 特性에 따라 도심지향적인 업종과 분산적인 업종, 외곽지향적인 업종으로 구분 되어진다. 세째, 群集 分析의 결과 대전의 서비스 階層構造는 4계층이 존재하고 있으며 單核의 空間構造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 유성 부심의 역할이 증대 되어 차하의 핵으로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네째, 業種構成의 地域的 特性을 분석한 결과 지역특성이 都心→都賣業→混合地帶→住居地→기타 서비스業의 同心園的 패턴을 보이며 전개되고 있다. 한편 유성지구에 도심과는 별개로 새로운 서비스 중심지가 형성되어 있으나 기존도심과 유성지역간에 연결성이 없어 공간구조가 상당히 分節되어 있다. 결국 이 두지역을 적절히 연결시켜 주는 정책이 필요할 것이다. 지금까지의 분석에서 시사해주는 바는 대전시의 공간구조가 사회서비스업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으며, 앞으로 도심과 유성을 이어주는 신시가지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질 경우 대전시는 안정적인 多核의 공간구조가 가능하리라는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