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명선-
dc.creator박명선-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57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57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95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25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951-
dc.description.abstract모든 인류의 역사(歷史)가 자연에서 출발한 것과 같이 예술 또한 자연의 미적 견지에서 출발되어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자연은 인간에게 무한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인간의 끊임없는 관찰과 표현의 대상이 되어 왔다. 미술은 의미부여의 형식으로서 시각적 형성요소를 통해 표현 전달되어지는 분야이다. 염색공예는 원래 실용성이라는 목적과 기능을 가지고 출발하였으나 오늘날에는 실용성을 떠나 독자적인, 조형성 (造形性)을 추구하는 하나의 예술로서도 그 위치가 인정되고 있다. 즉 현대의 염색은 고도로 발달된 과학문명으로 인한 재료의 발달로 작품소재의 선택이 다양해지고 미술사조의 면천에 따라 표현기법이나 양식(樣式)도 확대되어 가고 있으며 새롭고 다양한 조형예술로서의 가치추구를 위한 노력이 부단히 행하여 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연에서 꽃을 소재로 하여 연구자가 상상력을 통하여 경험한 자연의 대상(對象)에 신선한 이미지의 생명력을 부여하고 염색기법을 통하여 자연의 질서를 공간적으로 형성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이론적 배경에서는 자연과 예술, 인간과의 관계와 자연대상의 관찰 및 변형 이미지의 조형적 표현, 방법에 대해 고찰해보고 작품제작을 위해 표현소재, 재료와 방법, 표현양식을 연구하며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작품을 제작 분석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자연은 인간의 조형적 창작활동의 소재로서의 풍부한 요소를 갖고 있으며 작가 나름대로 대상을 변형하여 표현했다 하더라도 그 본질적인 정신의 바탕에는 자연을 근원으로 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둘째, 자연의 질서에서 오는 순수한 이미지를 연구자의 체험과 주관에 따라 변형하여 표현하는 과정을 통하여 꽃의 이미지의 조형적 형성은 적절한 소재였다고 본다. 세째, 작품과정에서 염료와 섬유의 특성과 그 밖의 재료의 질감과 효과를 체험해봄으로써 새롭고 다양한 표현의 가능성이 풍부함을 알 수 있었다. 작품의 제작과정에서 소재에 대한 충분한 연구와 좀더 새롭고 다양한 감각적인 세계를 표현하지 못한데 대한 아쉬움을 남겼으나 앞으로 계획된 연구를 통해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며 이와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자연을 통한 염색공예의 표현에 무한한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As all history of mankind has its origin in nature, the art also started with the relation to nature. The nature has infinite meanings for men and it has been the object of observation and expression. The find art is a branch of arts that gives meaning, express and transfer image through an angle of view. In the modern formative art, especially the dyeing craft which started with the purpose and function of the practicality, is now approved the position as an art to pursue the original formation. Therefore, expressing methods and style of dyeing has been enlarged to the art trend and work materials have been diversified in accordance with technological development. So the efforts which pursue the value as a new and diversfing formative art, are ceaselessly made. The objects of this thesis are to give living fresh image to the subject of nature through the imagination of the researcher and to form orderly space formation through the dyeing techniques. For this research, flowers are taken as materials. For its theoretical background, I examined the relation of nature, art and human beings, and studied its expressional method, observation and transformation in natural objects. In accordance with this studying,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and making dyeing works is following as such. First, the nature has its position which gives materials to the creative formative activity of human beings and though the artist expressed transformed object, the essential background is rooted to the nature. Secondly, I formatively expressed the image of nature taken materials in flower. And this process is transformed expression in according to the experiance and subjectivity of researcher. Thirdly, in the process of dyeing, understanding the charactristics of dyestuffs and originally. It is regrettable that I couldn't express various feelings and sensibities through sufficient studies in its process. But these problems will be solved through sufficiently planned studies in the new viewpoint. In the basis of these studies, description of nature by means of dyeing craft can show us infinite possibilit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내용 = 2 C. 연구방법 = 2 Ⅱ. 이론적 배경 = 3 A. 자연과 예술 = 3 B. 자연의 표현 = 6 1. 대상의 변형 = 6 2. 이미지의 조형적 표현 = 11 Ⅲ. 작품제작 및 분석 = 20 A. 작품제작 = 20 1. 표현소재 = 20 2. 재료와 방법 = 21 3. 표현양식 = 22 B. 작품분석 = 24 Ⅳ. 결론 = 48 참고문헌 = 49 ABSTRACT = 5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2772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
dc.subject이미지-
dc.subject작곡제작-
dc.subject생활미술-
dc.title꽃의 이미지의 조형적 형성-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작곡 제작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Formatic Composition of Flower's Image-
dc.format.page5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생활미술학과-
dc.date.awarded198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