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朴喜敬-
dc.creator朴喜敬-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44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44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057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237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570-
dc.description.abstractThe human being has been doing many diversified work since the start life. The most important thing is making the things. Making the things mean making the necessary matters by using the visional physical material. These things are the moulding activities with the longest history. Accordingly, the handicraft can be said that it is the original beauty which started from the most basic effect in the manufacture of tools necessary to human life. The handicraft related to the real life comes to develop with the specific material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culture or the living environment of human being by times and districts, because the whole moulding style necessary to human being and used by the human being is formed surely by the material. The importance of the material occupied in the handicraft may considered bigger than any other field of moulding art such a way. Therefore, the handicraft is divided in accordance with the kinds of material. But, the area of dyeing handicraft divided by the kinds of material can be dyed. In spite of the above fact, why the sphere of use of dyeing material and the effect value are limited to the material of textile? The reason is because the dyeing is used to the textile material, and the study on the other material is not enough. This researcher, apart from the textile material, chooses the material named the leather material which is most used as the material of machine handicraft, and intends to plan the dyeing handicraft by the new material in making the items of usual life with the function of utility and aesthetic character. For this object this researcher intended to search for the possibility of leather dyeing handicraft which can be vividly alive by the leather material only in the re-appraisal of the factor and principle of the moulding through the manufacture of work of art. For this purpose, the handicraft which is the practical art which is most related to the human being's life was examined in the connection, process of change, making a factor, moulding and function of the handicraft and form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by the study of literature material and explained the leather material, technique, subjects of expression, etc. which were expressed in the actual manufacture of work of art, and presented the photograph of usual life items made by the construction of the symmetrical type. Through the process of manufacture and analysis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manufacture of work of art, the below conclusion was arranged, generalized, and obtained. To summarize the result obtained through the above process, 1. The handicraft as the practical art should satisfy the function and the value of beauty, and this value of beauty is determined in the matter how the moulding factor is formed. That is, the standard of value of beauty is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how the formal condition or principle which forms the type of beauty is handled. 2. The material which is the media of expression is processed by human wisdom, and recreated as the moulding thing which has the new value by the feeling and the creative will. 3. The leather material which started with the beginning of human life has the long history as the handicraft material, but the various conditions which the material itself has and the insufficient study, the development is retarded, and the sphere of study as the usual art is infinite. 4. The human being urges to make the indoor which is always beautiful and convenient, and thinks of many efficient methods for that, and the manufacture of indoor small item with the character of residential space is necessary, At this functure, the type and color in the main space, and the role of the quality of the material is very important. Therefore this researcher will continue the studies on the new methods of techniques, materials, and usefulness of leather craft as the dyeing material, by developing the pecular way which the only leather craft can express, and this researcher will seek for the new direction of moulding art.;인간은 생활을 영위하기 시작하면서부터 많은 다양성 있는 작업을 행해왔다. 그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물건을 만든 다는 일이다. 물건을 만든다는 것은 무엇인가 눈에 보이는 물적 재료를 사용하여 필요에 의한 물체를 만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일들이 바로 인류의 역사를 통해 가장 오랜 역사성을 지닌 조형행위 즉, 공예인 것이다. 그러므로 공예는 인간의 삶이 시작되면서부터 인간이 본능적인 작업으로써 생활에 필요한 도구를 만들기 시작한 데에서 비롯된 가장 기본적인 효용에서 출발한 가장 원초적인 아름다움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생활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지닌 공예는 시대와 지역에 따른 인간의 생활환경이나 문명의 정도에 따라 특정한 재료와 더불어 발달하게 된다. 인간이 필요로 하고 사용하고 있는 일체의 조형품이 반드시 재료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공예에 있어 재료가 차지하는 비중은 다른 어떤 조형예술의 분야에 비해 크다고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오늘날까지도 공예를 재료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는 것이며, 재료의 종류에 따라 구분된 염색공예의 영역은 직물뿐 만 아니라 종이, 피혁, 기타 물이 들여지는 모든 재료에 가능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염색재료의 사용범위와 효용가치 등이 직물이라는 재료에 국한되어 있는 경향은 어떤 이유에서일까? 그것은 직물이라는 재료에 염색이 가장 필연적으로 이용되기 때문이며, 반면 기타 재료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직물이라는 재료로부터 탈피하여 피혁재료라고 하는 아직은 기계공예의 재료로서 사용되고 있는 재료를 선택하여, 실용성과 심미성의 기능을 겸비한 실생활 용품을 제작함으로써 새로운 재료에 의한 염색공예를 시도해 보고자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작품제작을 통해 조형의 요소와 원리를 재인식하고 피혁재료의 특징에서 나타낼 수 있는 피혁 염색공예의 표현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인간의 생활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실용예술인 공예의 개념 변천과정, 형성요소, 조형성과 기능성 등을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고찰함으로써 이론적 배경을 형성한 후, 실제 작품제작에 표현된 대상, 형성, 재료 및 기법 등을 연구 하였으며, 대칭적 형태구성에 의해 제작된 실생활 용품들을 사진과 함께 제시하였다. 이론적 배경과 작품제작 과정 및 분석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용예술로서의 공예는 기능과 미적 가치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이라야 하며 이 미적 가치는 조형적인 요소가 어떻게 형성되느냐에 따라 결정지어지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미적 형태를 형성하여 주는 형식적 조건 또는 원리를 어떻게 다루느냐에 따라 미적 가치기준이 세워지는 것이다. 둘째, 조형예술의 표현 매체인 재료는 인간의 지혜에 의하여 가공되고 감성과 창조적 의지에 의하여 새로운 가치를 가진 조형물로 재창조된다. 셋째, 인류의 출발과 그 근원을 함께하는 피혁재료는 공예재료로서는 매우 긴 역사를 가지고 있으나 재료 자체가 가지는 여러 가지 조건 및 연구의 미흡함으로 인하여 다른 공예에 비해 발전이 늦으므로 앞으로도 실용예술로서의 연구 소지가 무궁무진하다. 넷째, 인간은 항상 아름답고 편안한 실내를 연출하고픈 충동을 느끼고 그를 위해 효과적인 여러 방법을 생각하게 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주거 공간의 특성을 고려한 실생활 용품 제작이 필요하며, 주 공간에서의 형태와 색채, 그리고 재료의 질감 등의 역할은 중대하다. 본 연구자는 앞으로도 새로운 염색재료로서의 피혁공예의 기법과 재료 및 실용화 방안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인 연구를 계속함으로 피혁재료만이 표현 가능한 독특한 방법을 발전시켜 조형예술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내용 및 방법 = 2 Ⅱ. 이론적 배경 = 3 A. 공예개념의 변천 = 3 B. 공예의 형성요소 = 7 C. 공예의 조형성과 기능성 = 14 Ⅲ. 작품제작 및 분석 = 17 A. 작품제작 = 17 a. 표현 대상 = 17 b. 형성 = 18 c. 표현재료 및 기법 = 20 B. 작품분석 = 24 Ⅳ. 결론 = 40 참고문헌 = 42 ABSTRACT = 4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1464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공예재료-
dc.subject피혁염색-
dc.subject기하학-
dc.subject대칭형태-
dc.subject생활미술-
dc.title工藝材料로서의 皮革染色에 關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幾何學的 對稱形態를 中心으로-
dc.title.translated(The) Research on the Leather dye as the Material of the Handicraft-
dc.format.page4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생활미술학과-
dc.date.awarded198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