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9 Download: 0

高麗 顯宗代 銘文石塔의 一考察

Title
高麗 顯宗代 銘文石塔의 一考察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scriptional stone Pagodas during the period of king "Hyunjong" of the Koryo Dynasty
Authors
康炳喜
Issue Date
198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Keywords
고려현종대명문석탑사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re are six stone Pagodas, which proved to be built during the period of king "Hyunjong" (顯宗) of Koryo (高麗) Dynasty, including four inscriptional (銘文) ones. During the period of king "Hyunjong", some singnificant changes took place in the style of pagodas. I have examined those changes by comparing the six pagodas during the period of King "Hyunjong" with the other sir built in the first half of the Koryo Dynasty. Those changes are as follows; The first, during the first has of the Koryo Dynasty the transformations in the style of the first story of the platform(下臺) had begun to appear. And as a result of those trans-formations, the meaning of first story of the platform came to be changed to a form of decoration, This change was generalized in the period of king "Hyunjong". The second, the change of meaning of the pillars was the common phenomrnon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Koryo Dynasty including the period of king "Hyunjong". Especially, in the 7 storied stone pagoda at Hyun Hwa Sa (玄化寺) temple, built in the period of king "Hyunjong", transformation of the original style of pillars into a form of decoration was tried. And the 5 storied stone pagoda at Hong Jae Dong (弘濟洞) imitated this transformation. The third, the stone pagodas of the first half of the Koryo Dynasty including the period of king "Hyunjong" show the weaken- ing and transformation of the typical style in that the support of roof stone have only three or four steps and there are grooves (溝業) in the lower surface of the eaves. Thus this weakening and transformation of typical style came to produce a quite new style in the 7 storied stone pagoda at Hyun Hwa Sa temple, and this newly developed style is discovered again in the 5 storied stone pagoda at Hong-jae-dong. The fourth, lotus (薄花紋) and eyeshape (眼象) were engraved generally in the stone pagodas during the period of king "Hyunjong". It seems that this phenomenon was resulted from more emphasis on decoration. The fifth, Of the six stone pagodas built in the period of king "Hyunjong", four have the inscriptions with the contents of desiring the national security. We can find out these inscriptions appeared only in the stone pagodas during the period of king "Hyunjong" among the first half of the Koryo Dynasty. Consequently the characteristics of transformation of the style of stone pagodas occurred in the period of king "Hyunjong"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Universalization of decorative style replacing the typical style. 2) Universalization of decoration of lotus and eyeshape. 3) Engraving the inscriptions with the contents of praying the national security.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s of inscriptions engraved in the stone pagodas prove that in the period of king "Hyunjong" those stone pagodas were built in the filial piety or patriotism by the king, the individual, or the local power group. Then what kind of social background had influenced on the transformation of style of stone pagodas and spiritualbackground in building those pagodas? A few characteristic inclanations in social thought appeared in the period of king "Hyunjong". Those are coaxistence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prevalence of the theory of fens-shui-do-cham (風水圖纖), and modification of Patriotic Buddhism into superstition (迷信化). Of course the modification of patriotic Buddhism was not unique phenomenon in the period of king "Hyunjong". It was prevalent during the whole period of the Koryo, but more intensified in the period of king "Hyunjong" as the result of frequent invasion by Keo Ran (契丹). In the period of king "Hyunjong" the stone pagodas were built under the influence of a social background. Especially the emphasis on the decorative style, which was a characteristic of the style of stone pagodas in the period of king "Hyunjong", and engraving of the inscription with the contents of praying the national security made their appearance under the influence of modification of patriotic Buddhism into superstition. As I summarized in the above, I have examined in this thesis the characteristics of style of the stone pagodas built in the period of king "Hyunjong". At the same time I have examined the spiritual background in building. those pagodas too. Also I tried to find out whether these characteristics of style and spiritual background were related to the trend of social thought of those days.;高麗時代 石塔을 보면 塔에 銘文이 있는 例가 8基로 그 중 4基가 顯宗代에 건립되고 있으며 특히 顯宗代는 이들 銘文石塔을 포함하여 6基의 石塔이 남아 있어 주목된다. 造成年代를 알수 있는 遣物은 양식적으로 다른 遣物의 시대추정을 위한 귀중한 자료이며 시대적 상황과의 역사적 연결관계를 명확히 밝힐수 있어 우선적으로 연구되고 있는데 顯宗代는 造成시기는 물론 造成상황을 알수 있는 銘文과 문헌기록을 가지고 있는 石塔이 6基나 집중적으로 남아 있음에도 石塔및 일부 銘文에 대한 개별적인 서술이 있을뿐 본격적인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이를 살펴봄으로써 高麗前期의 石塔양식 규명에 하나의 기준을 제시하고 아울러 造塔상황을 밝혀보며 여기에서 나타나는 사상적 요인을 검토함으로써 顯宗代의 사상적 동향을 조명해 볼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먼저 顯宗代의 石塔과 高麗前期에 조성된 石塔과의 비교를 통하여 顯宗代의 양식 변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高麗前期의 石塔에서는 基壇部의 약화가 下台에서 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드디어는 下合의 의미가 장식적인 양식으로 변형되고 있는데 顯宗代는 이러한 양상이 보편화 된다. 둘째, 高麗前期의 石塔에서는 隅柱와 據柱의 의미가 약화되고 있으며, 屋蓋石은 雇段이 얕은 3~4段으로 下面에는 흠이 있어 典型양식의 약화와 변화를 볼 수 있는데 顯宗代에도 이같은 양상이 공통적으로 보이며 특히 玄化寺拉七層石塔의 屋蓋石 下部는 典型양식의 의미와 형태를 떠나서 장식적·공예적인 변형이 적극적으로 시도되었으며 이것이 後代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주목된다. 셋째, 蓮花와 眼象의 彫飾이 顯宗代에는 보편화 되어 장식되는데 이는 장식적 의사의 증대로 해석된다. 넷째, 4基가 石塔자체에 거 業願이 있는 努文이 刻字되고 있어 독특하며 契丹차의 전쟁이 잦았던 시대적 상황과의 관련성을 시사해준다. 따라서 鎭宗代의 양식적 변화는 典型양식의 약화를 대신한 장식적 양식의 보편화, 護國的 發願이 있는 銘文의 刻字等으로 집약될 수 있겠다. 다음으로 顯宗代 石塔의 銘文을 검토해 보면 孝心과 護圖의 의도에서 石塔이 세워지고 있으며 石塔造成의 위치선정에 있어서 風水國識이 작용한것을 알 수 있다. 이는 本來의 造塔신앙과는 거리가 있는 것으로 儒의 井立, 風氷國識, 讓園敎사상等이 顯宗代 造塔에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위의 사상적 요소들의 顯宗代및 그 以前의 상황을 검토함으로써 造塔원인및 양식변화의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즉 儒의 井立, 風氷國識의 유행이라는 사상적 경향은 羅末麗初부터 비롯되어 高麗一代에 걸쳐 나타나는 것으로 頭宗代에도 보여지는 것은 당연한 추세로 생각되며 다만 顯宗代 造塔에 크게 영향을 준 것으로 보아 高麗石塔 造成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護國佛敎의 사상도 고려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지만 특히 顯宗代는 잦은 外侵을 성공적으로 극복하는 과정에서 滯化되고 있으며 다급한 救鬪의 심정에서 형식적, 미신적, 맹목적인 析讓의식으로 변질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향은 後代에 갈수록 더욱 깊어져 麗末의 린敎폐단의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고 본다. 以上으로 顯宗代 銘文石塔에 주목하여 顯宗代 石增의 양식고찰및 造塔연유를 살펴보았고 더블어 造塔에 관계된 사상적 요인의 검토를 통하여 顯宗代 사상적 추이를 볼 수 있었으며, 그것이 顯宗代 石塔의 양식변화및 造塔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