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0 Download: 0

崔明翊小說의 空間硏究

Title
崔明翊小說의 空間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PACE IN THE CHOI MYUNG-IK'S NOVELS
Authors
金謙香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최명익공간의미소설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지금까지의 최명익소설의 주제론적 차원의 제한된 논의를 지양하고 소설전반의 총체적 동시적 의미를 구현하기 위해 공간론으로 분석시도해 보았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A. 표류의 매개공간에서는 <비오는 길>을 대상으로, 표면적으로는 외공간을 지향하나 이면적으로는 내공간을 지향하는 이중적 의식의 공간구종임을 분석해 보았다. B. 내외공간의 맞섬과 융화에서는 내공간인 '마을'과 외공간인 '도시'가 '신작로'를 경계로 대립적 의미를 띠게 되어 외공간지향인물의 죽음으로 끝나게 되는 맞섬의 공간 <봄과 新作路>와, 이와는 반대로 인물간의 화해로 갈등과 대립이 해소되는 융화의 공간 <張三李四>를 분석했다. C에서는 내공간에서 외공간으로 '나아가는'확대의 분산구조로 <心紋>과 외공간에서 내공간으로 '들어오는'회귀구조로 <無性格者>를 분석했다. 외공간으로의 분산은 내국에서 국경을 넘어 이국의 하얼빈으로까지 확대되나 과거공간의 인물을 만나 부정적 결말을 맺게 되는 것이고 내공간으로의 회귀는 방탕하고 퇴폐적인 외지의 인물이 고향으로 돌아와 정착하는 구조였다. 한편, A, B, C의 '들어옴'과 '나감'의 수평구조와는 달리, D는 수직의 상승·하강운동이 결합하여 외공간에서의 상승과 좌절구조인 <肺魚人>과 내공간에서의 하강과 재생구조인 <逆說>로 나누어 살펴 보았다. 외공간에서의 상승과 좌절구조는 거리에서 방황하던 인물이 산길을 따라 산으로 오르게 되나 중턱의 문지방에서 내려옴으로써 수직적 초월은 이루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하강과 재생구조는 명예와 쾌락의 외공간을 벗어나 '집으로 돌아온 인물이 '방'을 깊이공간의 '무덤'으로 인식한 후, 재생을 시도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최명익소설의 공간구조의 의미는 '표류하다'와 '정착하다'의 대립된 행위체계로 요약될 수 있었다. 내공간과 외공간의 맞섬, 외공간으로의 분산, 외공간에서의 상승과 좌절 등은 '표류하다'의 행위로 통합되는 구조로 항상 죽음과 연계되는 부정적 결말을 이루었다. 반면, 내공간과 외공간의 융화, 내공간으로의 회귀, 내공간에서의 하강과 재생 등은 '정착하다'의 내공간지향행위로 통합되는 구조로 긍정적 공간의미를 획득하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최명익소설공간은 외공간으로의 '표류하다'와 내공간지향의 '정착하다'의 행위가 반복되면서 다양한 양상을 보이나, 정착의 내공간이 본질적 지향공간임을 알 수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make clear the total and synchronic meaning structure in Choi Myung-Ik's novels with the theory of space. The summary of this thesis is as follows ; In A, the wandering intermediation space, I analyse the space of the duplicate consciousness that pursues to the outward space superficially but to the inner space internally. In B, two kinds of structures are examined ; the structure of confrontation and the structure of harmony. In the structure of confrontation in which the inner space and the outward space are opposited to each other, character who try to go out to the outward space is dead in end. In the structure of harmony, characters are reconciled to each other and boundary is cleared up. In C, the decentalization and return of inner and outward space consists of the structure of decentralization which is progressing to outward space from inner space and the structure of return which is comming to inner space from outward space. The decentralization to outward space shows that character crosses the border into another country-hayelbin from his country, but that his trial to escape is failed by meeting another character of past space ; on the contrary, in the structure of return a prodigal and decadent character in alien land return to fix himself hometown. Contrasting with the horizontal structure of 'coming in' and 'going out' in A,B and C, the rising and falling movements of verticality also organize the structures of his novels as examined in D. These are divided into the rising structure in outward space and the falling structure in inner space. In the rising structure, as character comes to go up along a mountain on the extreme point of outward space, but his trial of vertical transcendence is failed as he comes down from the mountainside. On the other hand, the falling structure shows that character gets out of the outward space of honor and pleasure and comes to his house to experience a grave as deep space. In Choi Myung-Ik's novels the meaning of spatial form can be summarized as two acts of system of 'wander' and 'fix'. The confrontation of inner space and outward wpace, the decentralization to outward space and the rising on the outward space, all of these can be integrated into the action of 'wander'. These are the negative end structures which are always with death. On the contrary, the harmony of inner space and outward space, return into inner space and the falling on the inner space can be related with the action of 'become fixed' which has a spatially positive meaning. In conclusion the diversity in Choi Myung-Ik's novel spaces is caused by the repetition of two acts system: the action of 'wander' as a pointing of outward space, and the action of 'become-fixed' as a pointing of inner space. And ultimately among these various spaces, he pursues to the inner space of fix.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