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6 Download: 0

초대 그리스도교 여성 수도자에 관한 연구

Title
초대 그리스도교 여성 수도자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a Female Ascetic in Early Christianity : In terms of The Life of St. Macrina
Authors
김태연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Keywords
그리스도교여성 수도자마크리나생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초대 그리스도교의 교부인 닛사의 그레고리는 위대한 여성 수도자요 성녀로서 존경을 받았던 그의 누나의 삶을 기록으로 남겼다. 이것이 바로 초대 그리스도교의 성인전이라 할 수 있는 『성 마크리나의 생애』이다. 이 논문은 『성 마크리나의 생애』에 그려진 여성 수도자 마크리나의 삶을 살펴보고 여성으로서 그리스도교 역사 속에서 이름을 남길 수 있었던 마크리나의 삶의 여정의 특징과 업적에 대하여 고찰했다. 제 2장에서는 마크리나가 살았던 역사적 정황을 종교적 분위기를 중심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4세기는 그리스도교의 역사 속에서 수덕주의를 따르는 삶이 종교적 모범으로서 큰 흐름을 형성하던 시기였으며, 육체의 정욕을 넘어서 극기와 절제의 삶을 살아가는 수도자는 그리스도교인들에게 이상적 모델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 3장에서는 저자에 대한 이해와 저술 동기, 작품의 구성과 내용을 살펴보면서, 본문 분석에 들어가기 위한 기초 작업을 하였다. 저자인 그레고리는 마크리나를 완덕을 향하여 끊임없이 영혼을 성장시켜 나아가는 성녀로 이해하고 있으며, 『성 마크리나의 생애』를 읽는 초대 그리스도교의 독자들에게 신앙의 모범으로서 제시하고자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제 4장에서는 『성 마크리나의 생애』를 전반부, 중반부, 후반부로 나누어 본문 분석을 하며 점진적으로 발전하는 마크리나의 수덕적 삶의 여정을 살펴보려 하였다. 그녀는 수덕적 이상을 따라 청빈과 겸양의 덕을 실천하였으며, 가족들을 수덕적 삶으로 이끌었다. 또한 부를 하느님의 소유이자 선물로 보고, 재산을 어려운 이들을 섬기는데 모두 사용하였다. 마침내 그녀는 가정을 수도원 공동체로 발전시켰으며, 그녀의 수도원은 지역 사회의 빈민들과 병자들을 위한 복지 시설의 역할을 하였다. 마크리나는 수덕주의를 따라 산다는 것이란 예수 그리스도를 닮고자 하는 노력이며, 수덕주의를 추구하는 삶의 열매는 곧 자신의 소유를 나누고 가난한 이들과 함께 살아가는, 즉 예수 그리스도가 실천한 사랑의 길임을 삶을 통해 드러냈다. 이러한 그녀의 삶은 물질주의에 도취되어 세속적 축복을 강조하고 사회와 공동체의 삶에 무관심한 한국 개신교의 현주소를 돌아보게 한다. 또한 한국 교회 여성들이 내 가정과 내 교회를 넘어서 신앙공동체의 사회적 연대와 나눔을 더욱 적극적으로 실현해 나가는데 앞장설 수 있는 가능성을 일깨워준다.;Gregory, the famous Cappadocian father, Bishop of Nyssa wrote a biography of his sister who had won respect as a great female ascetic and saint in church history. It is the Life of St. Macrina, which can be classified as an early Christian hagiography. In this paper, I attempted to see how the life of Macrina as an ascetic was described in the book. I also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her life and achievements in Christian history as a woman. In chapter 2, I observed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in terms of the religious atmosphere during Macrina's lifetime. In the 4th century, following an ascetic mode of life was a main stream. Monks lived their lives with control and temperance. Their way of life was an ideal for Christians. In chapter 3, I conducted basic research on the author, the purpose, the content and the construction of the Life of St. Macrina to make a foundation for analyzing it. Gregory describes Macrina as a saint who kept making spiritual progress towards the ascetic perfection. By doing so he presents her as a paragon of religious faith to early Christian readers. In chapter 4, I not only analyzed the main text but traced her ascetic journey of the life in the chronological order. It had showed gradual development from the beginning of her ascetic life to death. To make those processes effective, I divided her entire life into three parts: the early, the middle, and the latter period. Macrina was a virgin, who devoted herself to the life of perpetual celibacy, austerity and humility. She used all her property for the sake of charity because she believed that property was God's belongings as well as grace. She also established a religious community, leading her family, servants, and other aristocratic lady-companions to the ascetic life. Ultimately, Macrina's family changed into monastic community. It can be viewed the gradual dissolution of traditional family structure and the creation of new family which is united by faith of God and ascetic aspirations. Her monastery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 welfare facility for the poor and the sick in the province. Finally, I concluded that Macrina's asceticism was a reflection of her own understanding of following God's will and imitating Christ. She showed a true realization of love that Jesus had given us on earth. Her life leads us to bear fruit of sharing one's own possessions and life to the poor. Macrina even now asks us to pay an attention to where current Korean Protestant churches are going. Many of them has been indifferent to the society and trapped in pursuit of wealth as well as secularism. Moreover, her accomplishment suggests to women in Korean Protestant churches that they take a more active part in reforming church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