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1 Download: 0

현대패션에 나타난 진즈웨어(Jeans Wear)의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Title
현대패션에 나타난 진즈웨어(Jeans Wear)의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Study of Design characteristics of Jeans Wear in Modern Fashion
Authors
최진경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복식디자인전공
Keywords
현대패션진즈웨어디자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21세기 문화의 특징은 '다양함'으로 표현될 수 있는데 이는 진리나 미의 추구에 있어서 전통적 가치 체계 대신 다양함과 가변성이 받아들여져 각 영역의 독립성을 주장하기보다는 상호 교류하는 현상이 확산되고 있다. 또한 초고속 정보통신망의 발달로 인하여 세계 각지의 사람들은 서로 유사한 생활 양식을 공유하게 되었으며 대중 매체의 발달은 대중 사회화를 더욱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서적, 잡지, 라디오, TV, 음반, 영화 등의 대중 매체는 기술의 발전, 인구의 급증, 광고의 도입 등으로 더욱 광범위하게 대량으로 보급되었으며 누구나 이를 쉽게 수용할 수 있는 여건이 형성되었다. 특히 패션 잡지나 영화와 같은 대중 매체의 증가는 이상적인 미를 현실 생활에 반영하게 하는, 즉 유행을 형성하는 중요한 전달 수단이 되었다. 과학과 기술의 급속한 발전 및 이에 의해 야기되는 사회적·정치적·심리적 변화들이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를 크게 변화시키고 있다. 현대인은 옷을 입는 것이 아니라 패션을 입는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자의든, 타의든 간에 패션에 영향을 받으며 패션 시대에 살고 있으며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으로 패션은 종전처럼 하나의 패션 경향이 나타나면 다른 하나가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것에 새롭게 추가되는 것이 혼재하여 이 시대에도 다양한 패션 경향이 함께 전개되고 있다. 지식 산업 시대에 패션이란 망원경을 통해 모든 문화 현상을 들여다보고 이해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편안한 의상에 대한 지속적인 추구는 21세기 패션의 특징 중 하나이다. 덜 구조적이고, 덜 장식적이며, 현대 생활과 보조를 맞출 수 있는 의상들이 패션의 주된 흐름을 형성하였다. 기능적이고 단순한 의복을 중심으로 발전해 온 진즈웨어는 이러한 경향을 대표한다. 진즈 웨어는 패션을 대표할 만큼 대중의 사랑을 받고 있는 대표적인 의복이며 진 소재 또한 현대 사회에 있어 쓰이지 않는 곳이 없을 정도로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다기능적 소재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는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진 트랜드를 형성해 현대 패션을 주도하며 제 2의 전성기를 누리고 있는 진즈 웨어의 변천사와 그 발달 배경을 고찰하고, 진즈 웨어의 시장 현황 및 전통성과 대중성, 패션성을 동시에 겸하고 있는 진즈 웨어의 특성을 조사, 분석하여 진즈 웨어가 가지고 있는 기능성 이외에도 패션성을 새롭게 조명함으로써 향후 진즈 웨어 시장의 활성화를 이루고 디자인 경쟁력을 향상 시키고자 함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진 소재의 기원과 종류 및 특성, 진즈 웨어의 변천사를 알아보고 둘째, 진즈 웨어 발달의 사회적 배경을 살펴보며 셋째, 국내 진캐주얼 웨어의 시장 경향과 디자인 경향을 분석하고 넷째, 최근 5년간 콜렉션에 나타난 진즈 웨어의 경향을 조사하며, 다섯째 현대 패션에 나타난 진 소재의 다양한 표현법과 활용 영역, 나아가 디자인의 전반적 특성을 분석·제시하고자 한다. 상기 연구 결과를 토대로 얻은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즈 웨어 개념의 변화를 볼 수 있었다. 현대의 진즈 웨어는 과거 전통적인 기능적 목적을 위주로한 진즈 웨어가 아닌 개성과 트랜드를 반영한 패션으로서의 진즈 웨어로 개념이 바뀌어 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현재 국내의 진즈 웨어는 화려하고 고급스러운 유럽풍의 진즈 웨어가 주를 이루고 있는데 이는 국내만의 특징이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보이는 공통된 현상으로 진은 이제 더 이상 작업시 입는 노동복이 아닌 고급 의류로서, 고가의 진즈 웨어를 착용함으로써 자신의 경제적 능력을 과시할 수 있는 단계에까지 이르렀다. 둘째, 국내 진즈 마켓의 독특한 현상을 볼 수 있었다. 국내의 진 시장은 트랜드에 굉장히 민감하면서도 해외 트랜드를 그대로 따라가지 않고 국내 실정에 맞는 트랜드만을 선별해서 받아들이며 국내에 맞는 트랜드로 변형시키는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해외의 트랜드를 국내식으로 소화해서 흡수하고 있다. 그 결과 브랜드력이 있는 많은 해외 브랜드들은 영향력 있는 브랜드 네임에도 불구하고 국내 시장 진출시는 국내 시장에 맞는 패턴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그 예로 내셔널 진 브랜드인 닉스는 수년째 매출 1위의 자리를 놓치지 않고 있으며 많은 라이센스와 직수입 진 브랜드들이 닉스를 벤치마킹하며 국내 체형에 맞는 패턴 개발을 위해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있다. 셋째, 진즈 웨어 디자인에 있어 다양한 기법의 개발을 볼 수 있었다. 진즈 웨어에 있어서 유행의 개념이 강조되면서 다양한 개성과 창의성을 표현하려는 노력들이 끊이지 않고 있다. 그 결과, 다양한 표현 기법들이 창출되고 있으며 현재 나타나고 있는 현상으로는 워싱, 프린팅, 올풀기, 비딩, 자수 등을 통한 다양한 표면 효과와 진, 레이온, 가죽, 면, 비닐 소재 등과의 믹스 앤 매치 현상, 블루에 한정되지 않은 워싱과 후가공을 통한 색의 다양화 현상들을 볼 수 있었다. 진즈 웨어에 있어 이러한 다양한 기법의 개발은 개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욕구와 새로움과 독창성, 그리고 고부가가치 성을 추구하는 디자이너간의 이해가 잘 맞아 떨어져 향후 이러한 다양한 표현 기법은 더욱 개발되고 발전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국내, 국외 진브랜드와 해외 컬렉션의 진즈 웨어는 트랜드를 소화하는데 각각의 다른 경향을 띠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내에 전개되고 있는 국내, 국외 진브랜드는 한 시즌의 트랜드를 흡수하고 표현하는데 있어 메인 칼라와 실루엣, 메인 워싱 기법 등의 큰 흐름이 동일하게 보여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반면 해외 컬렉션에서 보여지는 진즈 웨어는 각각의 디자이너별로 다양한 패턴과 실루엣, 워싱 기법 등이 다양하게 보여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The characteristics of the 21st Century culture can be summarized as variety due to continuation of postmodernism that brought variety and variableness instead of tradition in pursuing the truth and beauty. This phenomenon led to interchangeability among different areas rather than emphasizing their independency. Technological development, increase of population, introduction of advertisement made easy access to mass media such as books, magazines, radio, television, records and films. As a mean to overcome alienation and isolation, modern people with increased desire to enjoy arts are living in a society that heavily depends on mass media that stimulate propensity to consume. Noticeably, particular mediums such as fashion magazines and films became important conveyer of fashion that reflects ideal esthetics in reality. We are undergoing fast changes in society, politics and psychology due to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Modern people are wearing fashion, rather than clothes, as we are living in the fashion era and are affected by fashion either willingly or unwillingly. Postmodernism lets new fashion co-exists with old rather than let old fashion vanish when new fashion emerges as happened in the past. The era of industries of intelligence lets fashion to become a telescope to investigate and understand cultural phenomena.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shion in the 21st Century is its continuous pursue of comfortable clothing of less structural and less decorative to be able to assist modern life. Jeans wear represents this fashion current that is functional and simple. Jeans wear is a popular representative of clothes that are being loved, and the cloth is considered multi-functional and is used widely in various areas of modern world. The study is to take part in stimulating jeans wear market and aid to produce competitive designs through inquiry on history and development of jeans wear that reached the second prosperity by forming different trend from the past and through illuminating aesthetics along with function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jeans wear market and its characteristics that possesses tradition, popularity, and trend. The study first will inquire origin and variety of jeans cloth. Secondly, it will investigate societal background for development of jeans wear, and thirdly, analyze domestic market and design trends. Fourthly, it will examine trend of jeans wear in recent five years. Finally, it will analyze and suggest various presentation and usage areas of jeans cloth in modem fashion and its general characteristics of design. The following are the conclusion reached based on the study. First of all, it shows transformation of concept of jeans wear. Past traditional jeans wear had functional object but Modem jeans wear reflects individual characterter and trend. chniques of using cloth and the five most popular techniques are washing, printing, unraveling, beading and embroidery. Among them, the most widely used technique was washing, followed by printing, unraveling, beading, and embroidery. Washing, the most traditional method of all is evolving to complicated and laborious technical washing based on scientific data. Unraveling method is also undergoing change from simple method of cutting and washing to unraveling technique based on scientific data. Beading and embroidery give sumptuous and luxurious hand-crafted look to the jeans wear. Secondly, the study presents mix and match of various materials that are exotic and seem not so ideal to match that is hand in hand with prevailing multi-media trend. The five of various mix and match materials are jean, rayon, leather, cotton, and vinyl. The most appeared match in collections are Jean and cotton match, followed by jean, rayon, vinyl, and leather. The various methods of mix and match show that jean cloth can be multi-functional and project various images, rather than remaining as a simple material. Thirdly, the mainstream design emphasizes feminine line. Modern day jeans wear reflects strong trend that carries hardly any of its traditional design originated from the miners labor clothes. The leading sales of these jeans resulted new items with strengthened details and femininity with development of feminine silhouette pattern. Strengthened feminine line appears strongly on tops, micro shorts, pants, skirts, and jackets. Among the studied four design appearances the feminine line design showed the most 34.2%, and therefore the strengthened feminine line of design can be described as the most prevailing characteristic and trend of all. Finally, the study showed expanded usage of jeans wear. In modern days, jeans are utilized variously in almost all the areas, even the areas that never used jeans before such as in lingerie, beach, formal, winter wears. The most appeared of all were formal wears, followed by beach, lingerie and winter wear. The expansion of jeans material in formal wear also means the prevalence of high fashion and jeans wear as winter outer wear with padding show that jeans are used variously, regardless of T.P.O.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