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4 Download: 0

이름 고정관념(stereotype)이 교사의 학생 평가에 미치는 영향

Title
이름 고정관념(stereotype)이 교사의 학생 평가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Student's First Name Strerotypes and Teacher's Evaluation of Student
Authors
이보영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Keywords
이름고정관념교사학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이름 고정관념이 교사의 학생 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교사는 이름이 매력적인 학생을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전반적으로 더 긍정적으로 평가할 것이다. 가설 2. 이름 독특성에 따른 고정관념은 교사의 학생에 대한 전반적 긍정성 평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과 청주의 대학에서 연수 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255명의 초, 중, 고등학교 교사들이었고, 연구 절차는 다음과 같다. 평정을 통해 매력도 높은 이름과 매력도 낮은 이름을 남/녀 별로 각각 5개씩 선정하여, 총 20개의 이름을 가지고 학생의 호소 문제와 신상 정보가 들어있는 면담 신청서를 제작하였다. 피험자들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한 집단에는 매력도 높은 이름이 적힌 면담신청서를, 다른 집단에는 매력도 낮은 이름이 적힌 면담신청서를 보여주고, 학생 호소문재 심각성, 학생의 전반적 학교생활 적응, 담임교사로서 학생 호감도, 어의 척도 (Semantic Differential Scale: SDS)로 측정한 학생에 대한 전반적 태도에 대해 평정하도록 하여 학생에 대한 전반적 긍정성을 알 수 있도록 하였다. 학생에 대한 전반적 긍정성 평가 점수에 있어서 두 집단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연구분석방법으로는 이름 독특성을 통제하고, 이름 매력도 (고/저)와 성별(남/녀)을 독립변인으로 하는 이원 중다공변량분석(MANCOVA)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학생 이름 매력도가 높은 면담신청서를 본 집단과 학생 이름 매력도가 낮은 면담신청서를 본 집단의 학생에 대한 전반적 긍정성 평가 점수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학생 호소문제 심각성 평가, 학생의 전반적 학교생활 적응 평가, 담임교사로서 학생 호감도, 어의 척도 (SDS)로 측정한 학생에 대한 교사의 전반적 태도에 대해서 이름 매력도와 관련된 고정관념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교사의 학생에 대한 전반적 긍정성 평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어 공변량으로 두었던 이름 독특성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교사들이 이름 매력도가 높은 학생을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전반적으로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이름 독특성도 교사의 학생에 대한 전반적 긍정성 평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과는 달리, 교사의 학생 평가에 있어서 이름 고정관념의 영향력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이 연구는 경험적으로는 그 존재가 인식되어 왔지만, 국내에서는 그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알고 있던 이름 고정관념에 주목하고, 그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밝히려고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여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고정관념과 연합된 이름의 다양한 속성들을 밝히고, 여러 집단을 대상으로 이름 고정관념의 영향력을 검증해 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students' first name stereotypes on teachers' evaluation of students. The hypothesis are as follows: First, compared with students with relatively less attractive names, teachers will evaluate students with more attractive names more favorably. Second, the uniqueness of student's name will influence on the teacher's overall evaluation on a student. Two groups of teachers (total N = 255) were given two identical information concerning student, with the only exception in their first name. In one group (N = 125), more attractive student name (5 boys and 5 girls' name) was presented, whereas in other (N = 130), less attractive name (5 boys and 5 girls' names) was presented. Teachers were then asked to rate the student in the following four areas (a) severity of problem, (b) overall adjustment to school, (c) teacher's personal liking toward the student, and (d) overall attitude toward the student by the semantic scale. A 2 (gender) × 2 (high and low name attractiveness)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using uniqueness i3s covariate was performed on the above four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 of MANOVA failed to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 p > .05). The student who has more attractive name didn't receive significantly higher evaluations than the student who has less attractive name on ratings in all four areas. Also, uniqueness of student name was considered as covariate, and yet name stereotype failed to generate differential influence on student evaluation. All predicted name stereotype effects were nonsignificant. According to this results, teacher's name stereotype didn't have influence on the teacher's ratings on the students. However, the present study has the meaning of focusing on the name stereotype and trying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at on the teacher's ratings It needs to be complemented in the limits of the present study and identify the effects of the name stereotype in the various subjec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