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2 Download: 0

한국의 도서관정보화 정책 평가에 관한 연구

Title
한국의 도서관정보화 정책 평가에 관한 연구
Authors
심효정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Keywords
도서관정보화정책문헌정보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observe the action taken for information policies for libraries taken so far on the national level and point out problems on the basis of appraisals by experts participating in the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use in future attempts at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information policies for libraries.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were used for the study, along with literature-based research. For literature-based research. consideration was given to the significance and categories of information policies for libraries, related policies adopted in other countries, and methods of appraisal for information policies. For the process, contents of related policies were divided into four projects, such as establishment of a database, establishment of systems, joint utilization and rearrangement of related systems. For each project, items of appraisal were set such as the project plan, process for project promotion, project management, and effectiveness of the project. Questionnaires were made based on these areas. .Appraisal opinions for related experts participating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information policies were also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based surveys. 56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out of the total 62(90.32% of collectiion rate). Contents of questionnaires were re-checked and supplemented through interviews. The appraisal results of information policies for libraries by related exper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oject for system establishment was given the highest score, and that for the rearrangement of related systems the lowest score, among the four areas of related policies. In the project for rearrangement of related systems, the work for supplementation of digital data rooms was given the highest score, and that for rearrangement of related laws the lowest score. Among the items of appraisal, effectiveness of the project was given the highest score, and project management, the lowest score. In this way, it was known that the project for rearrangement of related laws was given the lowest score in the projects, and that project management was given the lowest score in the items of appraisal. Second, the appraisal of information policies for libraries was given 2.88 points (average: 3.00), showing that the related policies and their promotion leave much to be desired. Problems pointed out as a result of checking the questionnaires are as follows: First, problems in the stage of the project plan turned out to be a lopsided investment in particular targets, double investment, lack of checks to see whether two or more items contain similar content, insufficient survey about users, unmanageably huge targets, insufficient study of the integrated table of contents system and service system, lack of methods to share digital data, need for further rearrangement of related laws, and an insufficient plan for the reestablishment of roles and functions of libraries. Second, problems in the stage of project promotion turned out to be improper composition of human resources, insufficient manpower, lack of stability, lack of compatibility and link ability with other systems, insufficient budget, insufficient time, lack of division of roles, lack of cooperation between related institutions, and general inefficiency. Third, problems in the stage of project management turned out to be lack of funds, insufficient number of staff members, and improper control of budget implementation in projects for establishment and supplementation of digital libraries. Fourth, problems i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ject included unsatisfactory results in both attainment of project objectives and improvement of efficiency in operation, poor results in users satisfaction and utilization, inefficiency in time and cost, poor quality of information provided, and poor accessibility to information. The most outstanding stumbling block common in the four areas turned out to be insufficient budget and manpower. Solutions to the problems concerning information policies for libraries cam be suggested as follows: First, priority must be given to the establishment of a database $or major words and abstracts, development of hardware and software for an integrated system of table of contents, development of a service system, rearrangement of related laws and qualitative improvements in contents for future formulation of policies regarding information-related matters for libraries. Second, methods must be found to periodically publish statistics or research materials to understand how libraries are operated, secure new professional manpower and establish a system for re-education of those already engaged in the field. Librarians must use these library-related statistics or research materials as important basis in their demand fix- improvement in library-related policies. Third, librarians shall be made to develop their ability to select good-quality information, perform factor check needed for their work and carry out researches on library-users for the purpose of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services. They are also supposed to make their research results reflected in establishment of policies. Fourth, there needs to be a policy consultation body for libraries, for example, under the Office of the Prime Minister, in which related ministries and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related to libraries and the information industry jointly participate. In addition, the Library and Museun Department at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must be given more discretion and authority for a more realistic and efficient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of library-related policies. Fifth, all potential kinds of libraries (including school libraries, special libraries, privately-run children libraries, various private and public libraries and village libraries) must be considered in library-related policies so that benefits such as supplementation of existing library facilities or financial support may be allocated to all existing ones. Sixth, the appraisal system must be established in detail. The National Computerization Agency must find a way to collect the diversified opinions of experts and continue to develop various appraisal tools. Related laws must also be rearranged for this.;본 연구는 지금까지 시행된 국가 도서관정보화 정책의 현황을 점검하고 문제점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도서관정보화 정책 개발과 집행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문헌연구와 설문조사와 면담을 수행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서는 도서관정보화 정책의 의의, 범주, 각 국의 도서관정보화 정책, 정보화 정책의 평가 방법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정책 내용을 DB구축, 시스템구축, 공동활용, 관련제도정비 분야의 네 부분으로 나누었으며, 각 사업에 대해서는 사업계획, 사업의 추진과정, 사업관리, 사업의 효과성의 네 가지 측면을 평가항목으로 설정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서는 도서관정보화 정책 집행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도서관계 전문가의 평가 의견을 수집하였다. 설문지는 총 62명으로 한정하여 배포되었으며, 그 중 56부가 회수되어 90.32%의 회수율을 보였다. 면담을 통해서는 설문조사 내용을 확인하고 보충하였다. 이상에서 파악한 바를 토대로 도서관정보화 정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수집된 도서관계 전문가의 평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DB구축, 시스템구축, 공동활용, 관련제도정비 분야의 네 분야 사업 중에서 시스템구축 분야 사업이 가장 높게, 관련제도정비 분야 사업이 가장 낮게 평가되었으며, 관련제도정비 분야 중에서는 디지털자료실 설치확충 사업이 가장 높게, 법정비 사업이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네 가지 평가항목인 사업계획, 사업의 추진과정, 사업관리, 사업의 효과성 중에서는 사업의 효과성 항목이 가장 높게, 사업관리 항목이 가장 낮게 평가되어 전체 사업 중에서는 법정비 사업이, 평가항목 중에서는 사업관리 측면이 가장 부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둘째, 도서관정보화 정책 평가에 대한 전체 평균결과(2.88)가 보통수준(3.00)보다 낮은 것으로 평가되어 도서관정보화 정책과 사업추진에 다소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 평가 결과 조사된 도서관정보화 정책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업계획 측면에서의 문제점은 목록DB구축에 편중된 투자 방식, 중복 · 유사 업무에 대한 검토 미비, 이용자 연구 부족, 방대한 사업목표, 통합목록시스템과 서비스시스템의 개발 미비, 디지털자료의 공유 미비, 법정비 사업의 미비, 도서관의 역할 재정립 및 기능강화 계획 미흡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사업의 추진과정 측면에서의 문제점은 인력구성의 부적절, 인력 부족, 시스템 안정성 · 호환성 · 연동성 결여, 예산 부족, 수행기간의 부족, 역할분담 미흡 및 관련기관간 협조 부족, 원활치 못한 사업 진행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사업관리 측면에서의 문제점은 장기적인 사업의 재원조달 부족, 전담요원 부족, 디지털도서관 설치확충 사업에 있어 예산집행통제의 미흡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사업의 효과성 측면에서의 문제점은 사업목표 달성의 부진, 업무효율성 향상에 미흡, 이용자의 만족도와 활용도 향상에 부족, 비용과 인력 절감효과에 부족, 구축된 정보의 질적 수준 미흡, 정보의 접근성 향상에 미흡을 들 수 있다. 또한 네 분야 사업 모두 사업목표 달성에 있어 가장 큰 장애요인은 예산과 인력부족으로 조사되었다. 앞에서 살펴본 도서관정보화 정책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 동안 추진이 미흡했던 주요어 및 초록DB구축, 통합목록시스템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개발 · 서비스시스템 개발 사업, 법정비 사업, 콘텐츠의 질적 수준 향상에 대해 차후 도서관정보화 정책 수립 시 우선적으로 지원한다. 둘째, 도서관 현황 파악, 신규 전문인력 확보, 기존 인력의 재교육 제도확립을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도서관 통계나 연구자료를 발행해야 한다. 사서들은 도서관 통계나 연구자료를 도서관 정책 문제 제기 시 타당성과 구체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중요한 정책자료로 사용해야 한다. 셋째, 사서들은 정보의 질적 요소를 고려하여 서비스를 확대시키기 위해, 정보를 선별할 수 있는 능력 개발, 자발적으로 업무에 필요한 요소 점검, 이용자에 대한 연구 등을 필수적으로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연구결과를 공개하여 관련된 정책 수립 시 의견 표명을 해야 한다. 넷째, 도서관정보화 정책을 올바로 수립하기 위해서는 도서관 정책자문기구가 필요하다. 정부는 정부관련 부처와 도서관 및 정보산업 등 관련 전문단체 등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정책자문기구를 국무총리 산하에 설치하여야 한다. 이와 함께 도서관의 실질적인 정책 입안 · 집행의 핵심부서인 문화관광부내 도서관박물관과의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다섯째, 도서관정보화 정책은 기본적으로 모든 관종을 정책 대상으로 인정해 지금까지 소외되어 많은 지원을 받지 못했던 학교도서관, 특수도서관, 민간어린이도서관 및 각종 사립공공도서관, 문고 등에 대해 도서관 확충 및 재정지원을 하도록 수립되어야 한다. 여섯째, 정부는 법제화를 통해 평가제도를 명확히 확립시켜야하며, 평가전담반인 한국전산원은 지속적인 평가도구의 연구 · 개발과 이에 대한 민간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