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임수현-
dc.creator임수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02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02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97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91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970-
dc.description.abstract과학 교과는 구체적인 사물이나 현상뿐 아니라 추상적이고 복잡한 원리를 학습하는 것이다. 과학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은 새로운 지식을 얻고 그 과정을 배움으로써 과학적 사고를 갖게 되고 과학의 본성을 이해하게 된다. 탐구 활동은 이러한 과학 교과의 특성을 반영하면서 탐구 과정 기능을 습득할 기회를 제공하여 과학 교육의 목표를 상당히 충족시켜 줄 수 있다. 탐구 활동 중에서도 실험 활동은 다양하고 폭 넓은 과정 기능을 습득할 수 있으며, 개념을 구체화시켜 학습 내용의 이해를 돕는다. 학교 교육에서 학습 자료로 가장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교재는 교과서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교과서에 제시된 실험 활동을 분석하여 다양한 탐구 과정 기능을 습득할 수 있는 과학 학습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에 사용된 교과서는 현재까지 출판된 중학교 3학년 과정의 6종 교과서이다. 중학교 3학년 물질 영역에 해당되는 「3 물질의 구성」, 「5 물질 변화에서의 규칙성」 단원에 제시된 탐구 요소를 살펴보았다 제 7차 교육 과정에서 필수 학습 요소라고 제시되어 있고 6종 교과서에도 공통으로 나와 있는 4개의 실험 주제를 선정하여 실험 활동을 분석했다. 실험 활동이 정확한 실험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과정으로 제시되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적합성 판단 기준을 설정하여, 교과서가 제시하는 실험 과정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실험을 수행하면서 실험의 적합성을 판단하였다. 분석한 연구 결과, 첫째, 대부분의 교과서가 탐구 과정과 탐구 활동을 혼용하여 표기하거나, 제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 과정 기능은 자료 해석을 제외하면 대부분 기초 탐구 과정 기능이었다. 둘째, 6종 교과서에 제시된 전체 탐구 활동 중에서 실험 활동이 차지하는 비율은 48.9%이어서 다른 탐구 활동에 비해 실험 활동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과서에 제시된 실험 활동을 6종 교과서에 공통으로 나타난 4개 주제를 선정하여, 학교 실험으로서 적합한지에 대한 판단 근거 기준을 설정했다. 기준은 실험 소재, 실험 기구, 실험 장치, 실험 과정, 실험 소요 시간의 5 가지 항목과 하위의 세부 항목으로 이루어졌다. 넷째, 실험 활동을 주제 별로 수행했는데, 실험 방법이나 안전에 대한 주의 사항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도 나타났다. 실험에 사용하는 시료의 양, 농도, 기구의 크기 및 모둠별 필요 수량은 거의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과학 교과서를 통해 기본 과학 지식을 획득하고 과학적 태도와 사고 능력을 갖게 된다. 이러한 과학적 소양을 얻게 되는 과정은 탐구를 통해서 이루어지도록 제 7차 교육 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다. 다양한 탐구 활동과 탐구 과정 기능의 기회를 제공하고 학교 수업에 맞는 실험 활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quiry process and inquiry activities proposed in the unit on matter in science textbooks for third-year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7'h National Curriculum, and examine their appropriateness by developing criteria for determining whether experiment activities among the inquiry activities are composed of appropriate methods and procedures to get accurate experiment results The researcher first compared styles of expression of inquiry factors proposed in textbooks and classified them into types of inquiry factors proposed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n analyzed the portion of experiment activities in the whole of inquiry factors Selecting four experiment subjects from experiment activities for the unit on matter, the researcher defined evaluation criteria to determine the appropriateness of experiment methods and procedures Five items 'experiment materials', 'experiment instrument', 'experiment apparatus', 'experiment procedure' and 'time required' were selected as criteria for appropriateness and each item was subdivided The measure of the appropriateness of experiments was divided into three scales, appropriate, insufficient and inappropriate For the selected four experiment subjects, this study performed experiments according to the methods and procedures suggested in textbooks and determin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experiments The results of analyzing inquiry factors and experiment activities proposed in the textbook are as follows First, many of textbooks describe inquiry activities and inquiry processes mixedly without distinction, and do not show inquiry processes that can be obtained from inquiry activities Second, Ratio that experiment activities is 48 9% among whole inquiry activities that is presented to 6 text book Ratio of experiment activities is high than other inquiring activity Third, experiments suggested in textbooks do not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dose of reagents, the size and number of experiment instruments, cautions in experiment, etc Some of experiments were inappropriate to complete within a session of class Thu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dose of reagents, experiment apparatus and experiment procedur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내용 = 3 Ⅱ. 이론적 배경 = 4 1. 과학 교과와 교육 과정 = 4 (1) 제 7차 교육 과정의 주요 내용 = 4 (2) 제 7차 교육 과정에서 나타나는 탐구 = 7 (3) 교육 과정에서 기대하는 교과서 = 9 2. 과학 학습과 실험 활동 = 11 3. 선형 연구 = 13 Ⅲ. 연구 절차 및 방법 = 16 1. 연구 자료 = 17 2. 연구 방법 = 18 (1) 단원별 탐구 요소의 분석 = 18 (2) 실험 활동의 주제 선정 = 18 (3) 실험 활동의 적합성 판단 기준 설정 = 19 (4) 실험 활동 수행 = 22 (5) 실험의 적합성 분석 = 23 3. 연구의 제한점 = 23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24 1. 탐구 요소의 분석 = 24 (1) 탐구 요소 표현 양식과 탐구 요소 유형 분류 = 24 (2) 실험 활동 수의 비교 분석 = 28 2. 적합성 판단 기준에 따른 실험 활동 분석 = 31 (1) 실험 1 : 불꽃 반응 = 32 (2) 실험 2 : 물리 변화와 화학 변화의 차이점 = 41 (3) 실험 3 : 화합, 연소 반응을 통한 화학 변화 = 50 (4) 실험 4 : 연소 반응을 예로 한 질량 보존의 법칙 = 60 Ⅴ. 결론 및 제언 = 69 참고문헌 = 72 Abstract =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00729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중학교-
dc.subject과학3교과서-
dc.subject물질영역-
dc.subject과학3-
dc.title중학교 과학3 교과서 물질 영역의 실험 활동 비교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과학교육학과-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과학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