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8 Download: 0

척수장애인의 가족기능이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척수장애인의 가족기능이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uthors
김정희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Keywords
척수장애인가족기능자아존중감청소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주된 관심은 척수장애인의 자녀의 경우 갑작스런 부모의 장애로 인해 가족 기능의 변화가 클 수 있으므로, 척수장애인의 가족기능이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전반적인 척수장애인의 가족기능을 파악하고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탐색하여, 청소년 자녀의 건전한 정서형성과 자아존중감 수준의 향상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척수장애인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연관되어 있는 변수를 가족의 응집성과 적응성 및 부모-자녀의 의사소통으로 보고 이들 변수간의 상관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 ·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척수장애인의 청소년 자녀를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시행하였고, 최종 분석에는 모두 84명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조사도구로서 가족기능으로는 가족의 응집성 및 적응성 척도로, Olson 등(1983)이 제작한 FACESⅡ를 사용했으며, 의사소통은 Barnes와 Olson(1982)이 제작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자아존중감 척도는 Rosenberg(1965)가 개발한 RSES(Rosenberg Self-Esteem Scale)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포, 백분율,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와, Chi-Square 검증, Pearson 적률 상관계수, ANOVA, T-test, 사후검증으로 Duncan 다중범주 겁증법, 이원 변량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산출되었다. 1. 척수장애인의 가족기능 1) 본 연구에서 나타난 척수장애인의 가족응집성과 적응성의 정도는 전체적으로 중간 점수를 상회하는 정도로서, 이는 동일한 척도를 사용하고, 국내 일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다른 연구의 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의사소통 유형을 분석한 결과 자녀와 부모와의 의사소통에서 부와 모 모두 역기능적 의사소통을 하는 집단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부모 모두 개방적 의사소통을 하는 집단이었다. 또한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간에 척수장애인 아버지보다 더 긍정적으로 의사소통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가족기능의 경우 부모장애 요인 중, 자조집단 참석은 가족응집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학업성적과 친구수 및 부의 직업은 각각 응집성과 부모와의 의사소통에, 출생순위 및 종교의 유무는 응집성과 적응성 및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한편 경제수준은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척수장애인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 1) 자아존중감의 전체 평균은 중간점수를 상회하는 정도이며, 남학생보다 여학생 자아존중감이 더 높게 나타났다. 동일한 척도의 선행연구와 비교했을 때 척수장애인 자녀의 자아존중감은 서울 시내 일반 청소년과는 거의 비슷한 수준이다. 2)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여학생일수록, 종교가 있으며, 학업성적이 우수할수록, 친구수가 많아 또래지지가 클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았다. 3. 척수장애인 가족기능이 청소년 자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1) 가족응집성 수준에 따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차이가 있었다. 가족응집성 수준에 따른 자아존중감 평균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으며, 응집성의 점수가 높은 집단 일수록 자녀의 자아존중감이 높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2) 가족적응성의 수준에 따라 청소년 자녀 자아존중감이 달라질 수 있다. 즉, 적응성이 높은 집단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았으며, 종속변인인 자아존중감에 가족적응성 수준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3) 부모와의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에 차이가 있었다. 아버지와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이 긍정적이며 개방적인 의사소통을 하는 청소년들이, 부정적이며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을 하는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 보다 높았다. 또한,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은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척수장애인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가족기능과 개인적 요인 및 부모장애 (이후원문잘림);This research study closely examines the example of when a parent suddenly gets disabled and how his parental functional ability is changed as a result including how this reformed ability influences his adolescents self-esteem. In order to accomplish this task, a general case study concerning a typical spinally disabled person will be used as a model. With this, this persons condition and how it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adolescents self -esteem[ in addi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olescents emotional status and self-esteem level will also be probed. Moreover, this study looks at the youths self-esteem issue and the relevance with the familys cohesiveness and adaptability as well as the parent-adolescents understanding of one anothers situation. In the middle of area in Seoul, a questionnaire concerning this subject matter was conducted, with the last count being a total of 84 different peoples responses being utiliz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yielded. 1. Spindly disabled family function 1)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family cohesiveness and adaptability level generally fell within the middle region. 2) The handicapped familys understanding level results came out as such: The group that was non-sympathetic comprised of the largest, group, while the next largest group was the open and candid group. 3 ) Amongst the societal factors that were relevant to the case, the ones that should be given attention to because of the influence they have on parental ability are self-help group participation, school marks and number of friends, the order of birth, gender, economic class, and the fathers occupation. 2. The spinally disabled adolescent self-esteem 1) While the total self-esteem average for the spinally disabled adolescents exceeded the average for all people taken as a whole, the female student self-esteem was discovered to be higher then the male student one (2.88 versus 2.67). 2) Among the societal factors, the elements affecting self-esteem are gender, the existence of religion, school marks in addition to the number of friends one has. Rather than the family environment factor or the social economic status or the familys shape, what most influences the self-esteem of the adolescents is the psychological environment consisting of family ambience and the parent-adolescents relationship. 3. Spinally disabled family function influence on adolescents self -esteem 1) There is an important fixed relevanc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elf-esteem and family functional ability. In addition, as the familys cohesiveness and adaptability increase and as the parent-adolescent understanding levels get increasingly more candid and affirmative, the more the young childrens self-esteem will rise. 2) Depending on the family cohesiveness level factors, disengagement, separation, and connection, statistically the average self -esteem disparity is barely (p<.00l) paid heed, while the higher the cohesiveness mark is the greater is the adolescents self-esteem level. 3) As the adaptability increases to higher levels, so too does the self-esteem increase as a result. Statistically, though the mothers understanding level is higher than the fathers level (M=52.21), it was discovered that the father had a greater impact on the adolescents self-esteem. Also, depending on the pattern of understanding between the parents and adolescent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elf-esteem level. If a adolescents is to his parents quite affirmative and open-minded, then the self-esteem was recorded to be greater than if the adolescents was close-minded. In this, there was a disparity of 0.001. 4) Therefore, one can see that the cohesiveness factor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self-esteem, following by the fathers understanding level, adaptability, and then finally the mothers understanding level, In conclusion, the adolescents self -esteem strengthens the family members psychological bond with one another and as the family systems ability to change rises so too does the adolescents self-esteem. Although the results do no coincide with Olsons conclusion that the extreme cohesiveness and adaptable family is non-functional, what springs forth is a model truly worthy of following and developing. Should this family structure be recognized and accepted, then the issue of the family functional ability would not be a problem. In order to attain a higher self-esteem, the family members must adopt a mature compassion and trust in one another to raise the family functional level as well. Also, through a concerted effort on both parts, mutual understanding and discussion should be attempted. In particular, in the fathers case, in spite of the fathers influence on the adolescents self-esteem, in general because of the fathers scanty level of understanding, it is the responsibility of the two parents to be affirmative and open-minded in order to give their adolescents self-respect and for all involved to be supportive in order to achieve a healthy family. Furthermore, through self-help group participation and other such activities, depending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family functional ability and self-esteem, the burdens of being disabled along with the hindrances related to be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