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7 Download: 0

저소득 여성의 한부모 노릇(single par enting)에 관한 여성주의적 연구

Title
저소득 여성의 한부모 노릇(single par enting)에 관한 여성주의적 연구
Other Titles
(A) Feminist Study on Single Parenting of Low Income Women
Authors
조혜련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Keywords
저소득 여성여성주의부모역할여성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성별에 따라 다른 역할을 부여하는 가족 문화 및 사회에서 자녀양육과 생계를 책임지는 저소득 여성 한부모가 놓인 사회 경제적 조건은 어떠하며, 그 속에서 한부모 노릇을 어떻게 경험하는가 살펴봄으로써 저소득 여성 한부모들이 가족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만들어내는 가족 생활 전략들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한국 사회는 이혼과 재혼의 증가로 인해 가족 형태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한부모 가족은 꾸준히 늘어가고 있다. 그러나 양(兩)부모 가족이 정상이라는 사회적 통념은 한부모 가족의 생활을 부정적으로 낙인찍으며 여성 한부모 가족은 대부분 경제적인 문제에서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더욱 문제적인 집단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이들이 경험하는 경제적인 어려움은 가족 체계가 변화하고 생계부양자인 남성이 없어서가 아니라 굳어진 성별 역할 때문이다. 기혼 여성들은 노동시장에서 취약하고 불안정한 지위에 놓이며 일을 한다고 해도 생계유지와 자녀양육을 동시에 충족하기는 어렵다. 특히 저소득 여성들은 자녀양육과 생계유지를 위해서 일은 필수적이지만, 다른 계층의 여성에 비해 부족한 사회 경제적 자원은 가족의 '생존'을 위해 일과 양육 사이에서 타협하거나 전략적 판단을 할 수밖에 없다. 저소득 여성의 한부모들은 '노동자'이면서 동시에 '어머니' 생계부양이라는 것이 꼭 '노동자'로서의 정체성을 갖게 하기보다는 생계유지자로서 가족생활을 위해 필요한 자원을 끌어들이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자녀양육자'라는 역할에 준하여 생계부양을 고민한다. 여성들은 가족 안에서 여성에게 부여되는 어머니 역할을 깊이 내면화하고 있으며 일과 양육을 양립하기 어려운 현실적 조건은 경제 활동에 중심을 두기보다 가족, 즉 자녀양육에 더 강한 의미를 두게 하며 가족 생활에서 안정감을 추구하도록 한다. 저소득 여성 한부모 가족은 그 구성원이 변하면서 가족생활의 변화를 경험하는 데 일반적인 사회적 통념은 '아버지 부재'를 동시에 부모노릇의 결핍으로 인식하게 한다. 저소득 여성 한부모는 스스로 이러한 사회적 통념을 내면화하여 자녀양육에서 더욱 엄하고 훈육적인 태도를 갖기도 하지만, 오히려 가족에서 권위적인 가장이 사라짐으로 인해서 한부모 가족 생활에서 자녀와의 교류적이고 수평적인 관계를 가능하게 한다. '아버지 부재'로 인해 변화되는 가족관계는 양부모 가족에서 권위적이고 수직적인 관계보다 긍정적으로 나타나며, 가족 안에서 책임의 나눔과 기본적인 실천들을 통해서 독립심과 책임감을 가진 독립적인 인격체로 성장하게 한다. 뿐만 아니라 한부모 노릇을 저소득 여성에게 경제적 어려움의 상황에 놓이게 하지만 혼자서 가족을 부양하고 자녀양육을 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자존심이 높아지고 성취감을 획득한다. 일과 양육의 책임이 분리되어있는 성별화된 사회에서 여성이 두 역할을 모두 수행한다는 것은 갈등적일 수밖에 없다. 특히 가족에게 모든 복지 책임을 지우는 국가와 여성을 이차적인 노동력으로 취급하는 노동시장은 저소득 여성 한부모의 갈등을 더욱 가중시킨다. 때문에 저소득 여성은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가족의 생존과 자녀 양육을 위해 일과 양육 속에서 자발적이기보다는 전략적인 선택들을 시도하게 한다. 이는 일과 양육 속에서 구성되는 저소득 여성의 일상생활을 다르게 만들며 저소득 여성에게 일과 양육에서의 선택들을 개별적인 판단과 조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부모 노릇의 성별적인 책임부여와 노동시장에서 차별적 지위하는 현실에 의해 조건지어지는 것이다. 한부모 가족이라는 것을 드러낼 것인가 말 것인가 갈등 속에서 생활하며 상황에 따라 전략적 판단을 하고 있음이 나타난다. 그 판단의 기준은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이었는데, 한부모 가족 생활에서 어머니는 자녀를 중심으로 생활하며 이들에게 자녀가 잘 자란다는 것은 일탈하지 않는 아이로 자라는 것으로 '아버지 부재'에 대한 결핍의 시선은 자녀교육에 있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저소득 여성들은 가족생활의 전략을 구사할 때 일차적으로 자녀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며, 경제적 자원을 획득하기 위해서 전략을 이용한다. 본 연구는 일과 양육을 양립하는 저소득 여성에게 한부모 노릇이 구성되는 방식과 그 의미를 보임으로서 여성이 한부모로서 '생존'해나가기 위해서 마련하는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또한 저소득 여성 한부모들이 보이는 복지 의존이 발생하는 근원적인 이유가 가족에게 여성에게 부여하는 모성역할과 주변화된 노동시장에서의 지위임을 밝힘으로서 저소득 여성 한부모와 그 가족에 대한 개별적인 편견을 불식시키는데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imed to research socio-economic conditions of the low income single mothers who are responsible to the bringing up children and to the making a living when they live in the different family-culture and society which used to assign the different roles according to gender As the result of that we investigate how they experience their role of single parenting, It is additionally possible to Look into the life-strategy which is made to maintain livelyhood by them. Korean society is steadily increasing single parents in accordance with expansion of the rate of divorce and remarriage and various family forms, however, single parents are concerned with the abnormal situation and is experienced to have low income because of the socio-myth in that two-parent family is better I assert myself the reason of the economical difficulty not because of absence of a man as a breadwinner, but because of soles of gender. A married woman is placed on the unstable labor market and she cannot bring up children and make a living very successfully in the same time, even though she works very hard Even though a stable occupation is very important to a low income woman, she cannot but compromise and decide the strategy which is a alternative choice between work an child care. If she is compared to a woman of a higher stratum, who has more plentiful socio-economical resource Low income single mothers have to carry out a worker and a mother in the same time And they anguish the child-care giver rather than the identity of a worker class as for they are worry about saving the resource for holding livelyhood. Women are deeply inclined to be a mother role, intend strongly to care children, and want to do the security of living in the family if they decide one thing between work and card. Low income single mothers are aware to the change of a family life in proportion to the change of a family member and also regard fatherless as lack of a parenting Low income single mothers take this social myth, and do strict instruction to children at one side, however interchange the horizontal relation in their life at the other side because a patriarch isn't. The family change caused by fatherless is positively appeared from authoritarian relations to democratic relations which can make members of family to have the spirit of independence and responsibility Additionally the role of low income single mothers helps to feel the pride and the accomplishment in spite of economical difficulty. Woman, living in the gendered society which is divided to work and care, is supposed to conflict between two-roles Low income single mothers' conflict is amplified in the low-grade welfare institution and in the unequal-gender labor market. Then, low income single mothers try to do strategic decision for livelyhood and child-care in the economical difficulty. These experiences make low income single mothers's life very different, and the alternative decision between work and child-care is made from conditions which is caused from the responsiblity by the originalized gender and the inequality of the labor market. They live in conflicts whether they are opening single mothers to the public and decide what is the better choice. The standard of the choice is based on what is better to their children' education, and single mothers endeavor that the social myth of fatherless doesn't make their children be a problem child. Low income single mothers think children' education the essential standard when they decide a family stateg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