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2 Download: 0

국어 관용구의 은유·환유 연구

Title
국어 관용구의 은유·환유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etaphor and metonymy of Korean idioms : a cognitive semantic point of view
Authors
최지훈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고는 전통적 관점의 관용구 연구에서 관용구를 사은유로 보는 것과 시각을 달리하여 인지의미론적 관점에서 관용구에 나타나는 은유와 환유를 연구한 것이다. 이러한 시각에서 보면 관용구는 사은유가 아니라 여전히 생산적인 은유와 환유가 작용하고 있는 표현이며, 관용구 중에는 글자 그대로의 의미와 관용구의 의미가 서로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는 입장을 가지게 된다. 인지의미론적 관점에서는 관용구 의미의 상당 부분이 사람들이 소유하는 은유적 지식에 의해 동기 부여된다고 제안하고 있으므로 본고는 이러한 기본 시각을 가지고 현대 국어 관용구에 나타나는 개념적 은유와 환유를 살피고 그 특성을 밝히려 하였다. 논의의 전개는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본고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인지의미론의 주요 관심사인 은유와 환유에 대한 여러 학설들을 검토하였다. Ⅲ장에서는 국어 관용구에 나타나는 은유에 대해 분석하였는데, 관용구에 작용하는 은유를 크게 영상도식 은유와 존재의 대연쇄 은유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영상도식에 근거하여 의미를 가지게 되는 국어 관용구는 그릇 은유, 이동 은유, 방향 은유, 연결 은유를 통하여 동기 부여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존재의 대연쇄 은유가 작용하는 관용구는 주로 사물, 동물을 통하여 더 추상적인 개념을 이해하는 방식으로 나타나며, 의인화를 통하여 개념화하는 경우는 소수만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Ⅳ장에서는 국어 관용구에 나타나는 환유에 대해 살펴보았다. 관용구에 나타나는 환유는 지시적인 기능이 아닌 서술적인 기능을 한다. 관용구가 특정 대상물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상황이나 상태를 더욱 선명하게 나타내주기 위해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특정한 사건이나 상황을 드러내는데 사용되는 관용구는 주로 시작 행위, 종결 행위, 특징적인 부각 행위로 그 전체 ICM을 대신하거나 ICM의 일부분으로 다른 부분을 대신한다. 또한 사람의 심리 상태를 나타내는데 사용하는 관용구는 거의 생리적인 반응을 통하여 드러난다. 추상적인 심리 상태가 신체적인 변화를 통해 개념화되는 생리적 환유는 관용구에서 상당히 큰 비중을 차지한다. Ⅴ장에서는 Ⅲ장과 Ⅳ장을 통하여 살펴본 국어 관용구에 나타나는 은유와 환유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국어 관용구에 나타나는 은유의 특징은 체계적으로 사상되는 구조적 은유는 많이 나타나지 않으며, 영상도식 은유 중에서는 그릇 은유와 이동 은유, 방향 은유에 의한 관용구의 형성이 많다는 점이다. 존재의 대연쇄 은유는 주로 특징적인 부분만이 사상되는 일대일 은유로 나타나는데 사물이나 동물로 개념화되는 경우가 주를 이루고 의인화의 경우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다른 은유 표현과는 다르게 목표 영역이 은폐되어 있으나 언중들의 이해와 사용은 아주 자연스럽다는 점에서 관용구에 나타나는 은유는 생산적인 은유라 할 수 있다. 국어 관용구에는 반의 관계 표현들에서 빈자리가 많이 나타나는데, 이는 우리의 개념 체계 내에서 자연스러운 현상임을 제시하였다. 글자 그대로의 의미로 사용된 구에서 반의 관계 표현이 존재하더라도 우리의 개념 체계 내에서 개념적 은유에 의해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을 때에만 관용구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국어 관용구에 나타나는 환유의 특징은 축소 지칭 환유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 관용구에 나타나는 환유의 일차적 기능은 지시가 아니라 서술을 통한 이해의 기능이라는 점, 생리적인 반응으로 감정을 드러내는 환유가 많이 사용된다는 점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은유와 환유는 관용구의 의미에 동기를 부여하는 기제로 단독적으로 작용할 때도 있지만 여러 기제가 함께 상호 작용하는 경우도 있다. 국어 관용구에서는 주로 환유로부터 생겨난 은유 유형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관용구의 의미가 축자적 의미와의 관련성을 완전히 잃어버리는 것은 아니며, 관용구의 의미 형성에 관여하는 은유와 환유는 이미 기능을 잃은 사은유가 아니라 우리의 개념 체계 내에서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선명한 은유, 환유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는 국어 관용구 연구에 대하여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기존 관점의 사은유설에 대해 오히려 반대로 해석할 수 있음을 보이고, 구성요소와 관용구의 의미가 자의적인 연결이 아니라 개념적 은유와 환유에 의해 그 의미에 동기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밝혔다. 다른 한편으로는 인지의미론의 관점에서 기존 연구들에서는 논의되지 않았던 국어 관용구 전반을 대상으로 하여 은유와 환유를 다룬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개별 단어 중심의 연구는 있었지만 인지적 관점에서 국어 관용구 전반을 다룬 본격적인 논의는 없었기에 본고는 새로운 연구 대상에 대한 시도로서 의의를 가질 것이다.;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metaphor and metonymy expressed in idioms from the cognitive semantic point of view, which differs from the traditional point of view of regarding idioms as dead metaphors. From the cognitive semantic point of view, a considerable portion of the meaning in idioms is motivated by the metaphoric knowledge possessed by language users. This thesis attempts to look into several examples of conceptual metaphors and metonymy expressed in modern Korean idioms and reveal their characteristics. In Chapter 2, various theories on the metaphors and metonymy are reviewed. Both concepts are the main topic of cognitive semantic theory,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thesis. In Chapter 3, the metaphors in the idioms are analyzed separately into two approaches based on a working mechanism: Image-schematic metaphors and the great chain of being metaphors. This analysis shows that Korean idioms which obtain meaning based on image schema are motivated by the container metaphor, the movement metaphor, the orientational metaphor and the link metaphor. This analysis also shows that idioms based on the great chain of being metaphor understand more abstract concepts mainly through motivation from things and animals while the examples of conceptualization through personification in this case are rare. In Chapter 4, metonymy in the idioms is analyzed. Metonymy expressed in idioms has a predicative function, not indicative. In many cases, these idioms are used to depict certain circumstances or conditions more clearly, rather than to indicate certain objects. These idioms either replace the entire ICM mainly with a beginning action, a closing action and a distinctive highlighting action, or function as a part of ICM to replace other parts. Idioms to depict the psychological state of a person are mostly used through physiological reaction. This physiological metonymy, which is the outcome of conceptualization from an abstract psychological state to a physical change, accounts for the relative majority among the idioms. In Chapter 5, the characteristics of metaphors and metonymy from the idioms analyzed in chapter 3 and 4, are comprehensively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metaphors are as follows: first, structural metaphors which are mapped systematically (in order) are rarely found second, formations of idioms by the container metaphor, the movement metaphor and the orientational metaphor are prevalent among image-schema metaphors; third, idioms based on the great chain of being metaphor appear mainly as a one to one metaphor in the cases of the conceptualization of things and animals, while they seldom appear in the cases of personification. The metaphors in idioms can be considered as productive metaphors because of spontaneous understanding and usage by language users in spite of the hidden target area, which is different from other metaphors. It is suggested that many empty spots from the expression of antonymic relations in idioms are spontaneous in this context because this is only the point when the connection in our conceptual system can be easily set up by conceptual metaphor. The expressions of antonymic metaphors are used as idioms, even if they are present in the phrase that depicts literal meaning. There are three characteristics of metonymy in idioms: first, metonymy indicating curtailment does not exist second, the primary function of idiomatic metonymy is not indication, but understanding through predicative and third, metonymy that depicts feeling as a physiological reaction is often used. Metaphors and metonymy can work independently as motivational objects to the meaning of idioms, but there are cases where many of them work together as an interactive motivational object. The metaphoric forms created, mainly out of metonymy, can be found in Korean idioms.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meaning of idioms does not lose relevancy to the literal meaning and the metaphors and metonymy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meaning in idioms are not dead-metaphors which have no function, but are clearly and spontaneously connected with literal meaning in our conceptual syst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