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은영-
dc.creator김은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44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44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11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7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118-
dc.description.abstract최근 기업을 둘러싼 내·외부적인 환경이 급변함에 따라, 기업은 경쟁 환경에서 살아남고 나아가 그러한 경쟁변화를 역으로 이용하기 위한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새로운 생산 및 정보 기술을 기반으로 극도로 다양해진 고객의 욕구를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충족시키기 위해 기업은 자칫 소모전이 될 수 있는 수직적 통합보다는 수평적 통합을 통해 자사의 핵심역량 파악을 통한 가치사슬내의 적합한 위치를 점하고, 파악된 핵심역량에 집중함으로써 기업의 경쟁우위를 높이고자 노력한다. 즉, 고객의 요구에 보다 충실히 대응하기 위해 기업의 핵심역량만을 남겨 둔 채 그 밖에 생산에 필요한 또 다른 역량들은 그것을 핵심역량으로 하는 기업에 이양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품이나 관련 서비스의 우수성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공급업체나 유통업체의 유동성이나 리드타임관리 등 전반적인 운영은 결코 남의 일이 될 수 없으며, 이러한 필요로부터 공급자로부터 최종고객에 이르는 가치창출 파이프라인 전반의 물질 정보의 흐름을 개선하고, 상호협동관계를 구축하기 위한 확장된 기업(extended enterprise)의 관리방법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경영환경 및 경쟁양상의 급속한 전환은 기업의 성과 측정에 있어서도 큰 변화를 초래하게 되었다. 다시 말해 경영환경이 복잡해지면서 기업의 성과측정과 관리에 있어 전통적으로 이용되어 온 재무적 관점에 치우친 성과지표들만으로는 더 이상 충분하지 않다. 이에 새로운 변화에 부응하는 성과측정시스템이 필요하며 이 성과측정시스템에는 이윤, 수익성, 주주가치 등 재무 성과뿐만 아니라 고객과의 관계, 공급자와의 제휴, 내부 프로세스의 개선, 기업의 학습 및 성장 능력 등 비재무적인 성과도 포함되어야 한다. 즉, 미래의 성과를 예측하고 모니터하며, 기업의 가치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기 위해서 기업의 성과측정은 기업이 추구하는 전략과 맞물려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통제수단으로서의 성과평가가 그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궁극적인 목표나 전략수행과 적합(congruence)이 있어야 하고 동시에 일관성이 유지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일관성은 더 이상 별개로 취급되어 질 수 없는 확장된 기업의 관리, 공급사슬관리에 있어서도 마땅히 유지되어야 한다. 최근 국내에서도 대기업을 중심으로 경쟁우위의 향상을 위하여 네트워크로 이어져 있는 개별기업 역량의 통한과 연결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공급사슬관리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높아 가는 관심에 비해 국내 기업의 구체적인 공급사슬관리 상황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별로 없는 것이 사실이다. 또 기존의 연구는 정보시스템과 구조 등 기술적인 부분에 많이 편중되어 있다. 이에 공급사슬관리에 관한 보다 근본적이고 구체적인 관리의 표준이나 기준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이에 기업의 관리 및 통제 수단인 성과측정의 객관성을 위한 사업전략과 확장된 기업이라 할 수 있는 공급사슬유형간의 적합관계에 관한 연구는 의의를 가질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제조기업에 있어서 사업전략과 공급사슬유형, 기업성과 측정으로 이어지는 이러한 이론적 연관관계가 형성되어 있는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즉, 원가우위와 차별화라는 상이한 사업전략에 따라 공급 사슬관리에 있어서도 기존의 연구에서 정의된 효율적이거나 반응적인 공급사슬의 두 유형을 달리하여 취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둘째로 이러한 사업전략과 공급사슬유형의 적합관계에 따라 기업의 성과측정에 있어서도 재무적 혹은 비재무적 성과측정치의 사용 비중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사업전략과 공급사슬유형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원가우위 사업 전략과 효율적인 공급사슬, 그리고 차별화 사업전략과 반응적인 공급사슬과의 영향관계를 검증해 본 결과, 두 가지 경우 모두 유의한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차별화 사업전략과 반응적인 공급사슬과의 관계는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유의하지 않음이 검증되었던 바 있다. 둘째, 기업의 성과 측정에 대한 사업전략과 공급사슬유형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재무적 성과측정에 대한 원가우위 사업전략과 효율적인 공급사슬의 영향과 비재무적 성과측정에 대한 차별화 사업전략과 반응적인 공급 사슬의 영향관계를 검증해 본 결과, 원가우위와 효율적인 공급사슬은 기업의 재무적인 성과측정에 설명력이 있다고 볼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차별화 사업전략과 반응적인 공급사슬은 기업의 비재무적인 성과측정에 대한 설명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차별화 전략과 반응적인 공급사슬 각각으로서도 비재무적 성과측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되었다. 또 추가분석에서 기업의 성과측정을 재무 관점 성과측정과 비재무적 성과측정을 세분하여 고객 관점, 내부 프로세스 관점, 학습과 혁신 관점으로 보고 분석해본 결과, 원가우위 사업전략과 효율적인 공급사슬은 각각 부분적으로 재무 관점 성과측정과 내부 프로세스 관점 성과 측정에 대해서 유의할 뿐, 해당 성과측정이나 그 밖의 관점에 따른 성과측정에 대해 설명력을 갖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차별화 사업전략과 반응적인 공급사슬은 고객 관점과 학습과 성장 관점의 성과 측정에 대해 모두 높은 유의수준에서 설명력을 갖으며, 특히 차별화 사업전략은 재무 관점, 고객 관점, 내부프로세스 관점, 학습과 성장 관점 성과 측정에 대해 모두 유의한 영항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유의하지 않다고 검증되었던 바 있던 사업전략과 공급사슬유형과의 관계를 재검증하여 유의한 결과를 증명하였다. 둘째, 성과 측정의 객관성 확보를 위한 사업전략 및 공급사슬유형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입증하였다. 즉, 경영통제의 핵심인 성과측정 및 평가가 사업전략과 그 실행 도구인 공급사슬관리에 있어서 이론적으로 어떻게 연계되어야 하는가를 실증적으로 검증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즉, 대다수 기업에 있어서의 높은 재무적 측정치의 사용은 기업운영의 기본적 목표로서의 원가절감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원가우위 사업전략과 효율적인 공급사슬을 취하는 경우 보다 차별화 사업전략과 반응적인 공급사슬유형을 취하는 사업부의 성과측정이 보다 균형적일 것이라는 가정을 실증적으로 확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기업 성과측정을 균형성과표와 연계하여 재무적 측정치 외에도 고객 관점, 내부 프로세스 관점, 학습과 성장 관점 등 네 가지 관점에 따른 성과측정치로 추가분석함으로써, 사업전략에 따른 관리를 위한 공급사슬유형과 전반적인 기업성과평가간의 일관성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성과측정을 설명하는 변수로 사업전략과 공급사슬유형만을 고려하였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연구 결과의 설명력이 낮은 편이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기업의 성과측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들을 추가하여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성과측정에 대한 사업전략 및 공급사슬유형의 적합성의 유용성은 밝혔지만, 기업 관리의 도구로서의 성과측정에 대한 사업전략 및 공급사슬 유형의 적합성이 실질적인 기업성과와 갖는 관계에 대한 연구가 제외되었다. 기업성과와 사업전략 및 공급사슬유형의 적합성에 관한 유의성이 뒷받침된다면 관리도구로서의 성과측정 연구의 유용성은 더욱 커질 것이다. 셋째, 확장된 기업으로서의 공급사슬관리에 관한 연구는 공급사슬내의 한 기업이 아닌 전체 공급사슬을 대상으로 연구되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공급사슬 내 특정 기업의 사업전략과 공급사슬유형, 성과측정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지만 향후에는 공급사슬의 공급사슬전략과 유형, 성과측정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모든 변수의 측정에 있어 응답자의 주관에 의존하는 설문만을 사용하였기에 객관성이 떨어질 수 있다. 특히 공급사슬관리의 유형을 측정함에 있어 개발한 문항들은 선행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제조기업의 공급사슬유형을 완전하게 설명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우리나라 공급사슬유형의 측정에 대한 연구와 함께 공시자료를 이용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cently, companies simultaneously face opportunities and threats in a new environment. A multitude of factors including increased customer segmentation, global competition, excess capacity, and rapid technological evolution, receive attention as causal factors for intensified competition. To meet customer's demand, survive, and prosper in the end, a company has various relations with many other companies and, necessarily, the relationships and management tools which organically integrate all of functions and parts should maximiz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among them. In other words, there is a arising need to corporate and to be managed as "an extended enterprise". As the environment has been rapidly changed, the firm performance measuring system should be changed as well. The limitation of conventional performance measure is that it only emphasizes on financial perspective of performance. However, financial measurements are not sufficient in monitoring firm's operation, controlling occurring problems, and predicting possible changes and chances in the future. Thus, firm performance measure should be in accordance with firm's business strategy, and that conformity should be consistent with a newly embossed managerial and competitive unit, supply chain.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paper are as follows: First,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business strategy and supply chain type, an empirical investigation on how the very different strategy, such as cost-leadership and differentiation, influences the choice of supply chain type, namely effective or responsive supply chain, within the context of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Second, to investigate how the theoretical congruence between business strategy and supply chain type influences the use of firm's performance measurements. The hypotheses of this dissertation are as follows: Refer to the association between business strategy and supply chain type, Hypothesis 1-1. Firms, which persue cost-leadership as their business strategy, will have effective supply chain. Hypothesis 1-2. Firms, which persue differentiation as their business strategy, will have responsive supply chain. Refer to the association between business strategy, supply chain type, and firm performance measuremerits, Hypothesis 2-1. Firms, which have cost-leadership as their business strategy, and effective supply chain will use financial measurements more. Hypothesis 2-2. Firms, which have differentiation as their business strategy, and responsive supply chain will use non-financial measurements m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usiness strategy practically effects the firm's supply chain type. Second, while there is no evidence that the firms which adopt cost-leadership strategy and effective supply chain use financial measurements more, the use of non-financial measurements in the firms having differentiation strategy and responsive supply chain is greater than financial measurements. Third, when non-financial measurernents were divided into customer perspective, internal business process; perspective, and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 measurements, cost-leadership strategy or effective supply chain has a little effects on some financial and internal business process perspective measurements in part. However, differentiation strategy and responsive supply chain have great influence on most customer and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 measurements. Especially, differentiation strategy has strong association between financial and all non-financial perspective measuremen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gruence of business strategy and supply chain type could be empirically verified. Second, provides an empirical investigation on how the relations between business strategy and supply chain effects the choice and the use of various performance measurements as a managerial tool. Third, linking firm performance measurements to key performance indicators on balanced scorecard, expands the investigation far beyond any existing research.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prospect of futur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is study only incorporated factors that influence decision making in choosing performance measurements, the overall R^(2)'s of this study are relatively low. Thus, in order to increase R^(2)'s, future research should include more diverse variables that affect firm's performance appreciating process. Second, this study demonstrated the practicability and usefulness of business strategy and supply chain in choosing performance measure, but the interaction between this consistency and firms' better performance has not been considered. Future studies should strive to include firms eventual bottom line that can support usefulness of this connection. Third, this research is focused on a specific company in a supply chain but, actually, research on supply chain management is desirable to be dealt with as a whole.;최근 기업을 둘러싼 내·외부적인 환경이 급변함에 따라, 기업은 경쟁 환경에서 살아남고 나아가 그러한 경쟁변화를 역으로 이용하기 위한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새로운 생산 및 정보 기술을 기반으로 극도로 다양해진 고객의 욕구를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충족시키기 위해 기업은 자칫 소모전이 될 수 있는 수직적 통합보다는 수평적 통합을 통해 자사의 핵심역량 파악을 통한 가치사슬내의 적합한 위치를 점하고, 파악된 핵심역량에 집중함으로써 기업의 경쟁우위를 높이고자 노력한다. 즉, 고객의 요구에 보다 충실히 대응하기 위해 기업의 핵심역량만을 남겨 둔 채 그 밖에 생산에 필요한 또 다른 역량들은 그것을 핵심역량으로 하는 기업에 이양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품이나 관련 서비스의 우수성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공급업체나 유통업체의 유동성이나 리드타임관리 등 전반적인 운영은 결코 남의 일이 될 수 없으며, 이러한 필요로부터 공급자로부터 최종고객에 이르는 가치창출 파이프라인 전반의 물질 정보의 흐름을 개선하고, 상호협동관계를 구축하기 위한 확장된 기업(extended enterprise)의 관리방법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경영환경 및 경쟁양상의 급속한 전환은 기업의 성과 측정에 있어서도 큰 변화를 초래하게 되었다. 다시 말해 경영환경이 복잡해지면서 기업의 성과측정과 관리에 있어 전통적으로 이용되어 온 재무적 관점에 치우친 성과지표들만으로는 더 이상 충분하지 않다. 이에 새로운 변화에 부응하는 성과측정시스템이 필요하며 이 성과측정시스템에는 이윤, 수익성, 주주가치 등 재무 성과뿐만 아니라 고객과의 관계, 공급자와의 제휴, 내부 프로세스의 개선, 기업의 학습 및 성장 능력 등 비재무적인 성과도 포함되어야 한다. 즉, 미래의 성과를 예측하고 모니터하며, 기업의 가치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기 위해서 기업의 성과측정은 기업이 추구하는 전략과 맞물려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통제수단으로서의 성과평가가 그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궁극적인 목표나 전략수행과 적합(congruence)이 있어야 하고 동시에 일관성이 유지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일관성은 더 이상 별개로 취급되어 질 수 없는 확장된 기업의 관리, 공급사슬관리에 있어서도 마땅히 유지되어야 한다. 최근 국내에서도 대기업을 중심으로 경쟁우위의 향상을 위하여 네트워크로 이어져 있는 개별기업 역량의 통한과 연결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공급사슬관리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높아 가는 관심에 비해 국내 기업의 구체적인 공급사슬관리 상황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별로 없는 것이 사실이다. 또 기존의 연구는 정보시스템과 구조 등 기술적인 부분에 많이 편중되어 있다. 이에 공급사슬관리에 관한 보다 근본적이고 구체적인 관리의 표준이나 기준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이에 기업의 관리 및 통제 수단인 성과측정의 객관성을 위한 사업전략과 확장된 기업이라 할 수 있는 공급사슬유형간의 적합관계에 관한 연구는 의의를 가질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제조기업에 있어서 사업전략과 공급사슬유형, 기업성과 측정으로 이어지는 이러한 이론적 연관관계가 형성되어 있는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즉, 원가우위와 차별화라는 상이한 사업전략에 따라 공급 사슬관리에 있어서도 기존의 연구에서 정의된 효율적이거나 반응적인 공급사슬의 두 유형을 달리하여 취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둘째로 이러한 사업전략과 공급사슬유형의 적합관계에 따라 기업의 성과측정에 있어서도 재무적 혹은 비재무적 성과측정치의 사용 비중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사업전략과 공급사슬유형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원가우위 사업 전략과 효율적인 공급사슬, 그리고 차별화 사업전략과 반응적인 공급사슬과의 영향관계를 검증해 본 결과, 두 가지 경우 모두 유의한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차별화 사업전략과 반응적인 공급사슬과의 관계는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유의하지 않음이 검증되었던 바 있다. 둘째, 기업의 성과 측정에 대한 사업전략과 공급사슬유형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재무적 성과측정에 대한 원가우위 사업전략과 효율적인 공급사슬의 영향과 비재무적 성과측정에 대한 차별화 사업전략과 반응적인 공급 사슬의 영향관계를 검증해 본 결과, 원가우위와 효율적인 공급사슬은 기업의 재무적인 성과측정에 설명력이 있다고 볼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차별화 사업전략과 반응적인 공급사슬은 기업의 비재무적인 성과측정에 대한 설명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차별화 전략과 반응적인 공급사슬 각각으로서도 비재무적 성과측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되었다. 또 추가분석에서 기업의 성과측정을 재무 관점 성과측정과 비재무적 성과측정을 세분하여 고객 관점, 내부 프로세스 관점, 학습과 혁신 관점으로 보고 분석해본 결과, 원가우위 사업전략과 효율적인 공급사슬은 각각 부분적으로 재무 관점 성과측정과 내부 프로세스 관점 성과 측정에 대해서 유의할 뿐, 해당 성과측정이나 그 밖의 관점에 따른 성과측정에 대해 설명력을 갖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차별화 사업전략과 반응적인 공급사슬은 고객 관점과 학습과 성장 관점의 성과 측정에 대해 모두 높은 유의수준에서 설명력을 갖으며, 특히 차별화 사업전략은 재무 관점, 고객 관점, 내부프로세스 관점, 학습과 성장 관점 성과 측정에 대해 모두 유의한 영항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유의하지 않다고 검증되었던 바 있던 사업전략과 공급사슬유형과의 관계를 재검증하여 유의한 결과를 증명하였다. 둘째, 성과 측정의 객관성 확보를 위한 사업전략 및 공급사슬유형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입증하였다. 즉, 경영통제의 핵심인 성과측정 및 평가가 사업전략과 그 실행 도구인 공급사슬관리에 있어서 이론적으로 어떻게 연계되어야 하는가를 실증적으로 검증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즉, 대다수 기업에 있어서의 높은 재무적 측정치의 사용은 기업운영의 기본적 목표로서의 원가절감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원가우위 사업전략과 효율적인 공급사슬을 취하는 경우 보다 차별화 사업전략과 반응적인 공급사슬유형을 취하는 사업부의 성과측정이 보다 균형적일 것이라는 가정을 실증적으로 확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기업 성과측정을 균형성과표와 연계하여 재무적 측정치 외에도 고객 관점, 내부 프로세스 관점, 학습과 성장 관점 등 네 가지 관점에 따른 성과측정치로 추가분석함으로써, 사업전략에 따른 관리를 위한 공급사슬유형과 전반적인 기업성과평가간의 일관성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성과측정을 설명하는 변수로 사업전략과 공급사슬유형만을 고려하였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연구 결과의 설명력이 낮은 편이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기업의 성과측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들을 추가하여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성과측정에 대한 사업전략 및 공급사슬유형의 적합성의 유용성은 밝혔지만, 기업 관리의 도구로서의 성과측정에 대한 사업전략 및 공급사슬 유형의 적합성이 실질적인 기업성과와 갖는 관계에 대한 연구가 제외되었다. 기업성과와 사업전략 및 공급사슬유형의 적합성에 관한 유의성이 뒷받침된다면 관리도구로서의 성과측정 연구의 유용성은 더욱 커질 것이다. 셋째, 확장된 기업으로서의 공급사슬관리에 관한 연구는 공급사슬내의 한 기업이 아닌 전체 공급사슬을 대상으로 연구되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공급사슬 내 특정 기업의 사업전략과 공급사슬유형, 성과측정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지만 향후에는 공급사슬의 공급사슬전략과 유형, 성과측정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모든 변수의 측정에 있어 응답자의 주관에 의존하는 설문만을 사용하였기에 객관성이 떨어질 수 있다. 특히 공급사슬관리의 유형을 측정함에 있어 개발한 문항들은 선행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제조기업의 공급사슬유형을 완전하게 설명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우리나라 공급사슬유형의 측정에 대한 연구와 함께 공시자료를 이용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cently, companies simultaneously face opportunities and threats in a new environment. A multitude of factors including increased customer segmentation, global competition, excess capacity, and rapid technological evolution, receive attention as causal factors for intensified competition. To meet customer's demand, survive, and prosper in the end, a company has various relations with many other companies and, necessarily, the relationships and management tools which organically integrate all of functions and parts should maximiz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among them. In other words, there is a arising need to corporate and to be managed as "an extended enterprise". As the environment has been rapidly changed, the firm performance measuring system should be changed as well. The limitation of conventional performance measure is that it only emphasizes on financial perspective of performance. However, financial measurements are not sufficient in monitoring firm's operation, controlling occurring problems, and predicting possible changes and chances in the future. Thus, firm performance measure should be in accordance with firm's business strategy, and that conformity should be consistent with a newly embossed managerial and competitive unit, supply chain.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paper are as follows: First,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business strategy and supply chain type, an empirical investigation on how the very different strategy, such as cost-leadership and differentiation, influences the choice of supply chain type, namely effective or responsive supply chain, within the context of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Second, to investigate how the theoretical congruence between business strategy and supply chain type influences the use of firm's performance measurements. The hypotheses of this dissertation are as follows: Refer to the association between business strategy and supply chain type, Hypothesis 1-1. Firms, which persue cost-leadership as their business strategy, will have effective supply chain. Hypothesis 1-2. Firms, which persue differentiation as their business strategy, will have responsive supply chain. Refer to the association between business strategy, supply chain type, and firm performance measuremerits, Hypothesis 2-1. Firms, which have cost-leadership as their business strategy, and effective supply chain will use financial measurements more. Hypothesis 2-2. Firms, which have differentiation as their business strategy, and responsive supply chain will use non-financial measurements m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usiness strategy practically effects the firm's supply chain type. Second, while there is no evidence that the firms which adopt cost-leadership strategy and effective supply chain use financial measurements more, the use of non-financial measurements in the firms having differentiation strategy and responsive supply chain is greater than financial measurements. Third, when non-financial measurernents were divided into customer perspective, internal business process; perspective, and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 measurements, cost-leadership strategy or effective supply chain has a little effects on some financial and internal business process perspective measurements in part. However, differentiation strategy and responsive supply chain have great influence on most customer and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 measurements. Especially, differentiation strategy has strong association between financial and all non-financial perspective measuremen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gruence of business strategy and supply chain type could be empirically verified. Second, provides an empirical investigation on how the relations between business strategy and supply chain effects the choice and the use of various performance measurements as a managerial tool. Third, linking firm performance measurements to key performance indicators on balanced scorecard, expands the investigation far beyond any existing research.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prospect of futur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is study only incorporated factors that influence decision making in choosing performance measurements, the overall R^(2)'s of this study are relatively low. Thus, in order to increase R^(2)'s, future research should include more diverse variables that affect firm's performance appreciating process. Second, this study demonstrated the practicability and usefulness of business strategy and supply chain in choosing performance measure, but the interaction between this consistency and firms' better performance has not been considered. Future studies should strive to include firms eventual bottom line that can support usefulness of this connection. Third, this research is focused on a specific company in a supply chain but, actually, research on supply chain management is desirable to be dealt with as a whol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7 C. 논문의 구성 = 8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 9 A. 사업전략 = 9 1. 경영전략의 개념 = 9 2. 사업전략 = 11 B. 공급사슬관리(SCM) = 12 1. 공급사슬관리의 등장 = 12 2. 공급사슬관리의 개념-기업 가치사슬의 확장, 가치 씨스템으로서의 공급사슬 = 14 3. 공급사슬관리의 정의 = 18 4. 공급사슬의 유형 = 22 C. 균형성과표 (Balanced Scorecard) = 30 1. 균형성과표의 등장 = 30 2. 균형성과표의 개념 = 33 3. 균형성과표의 성과지표 = 38 Ⅲ. 연구가설 및 모형 = 41 A. 연구가설 = 41 1. 사업부의 사업전략과 공급사슬유형에 관한 가설 = 41 2. 사업전략, 공급사슬유형과 기업성과측정에 관한 가설 = 43 B. 연구모형 = 46 Ⅳ.연구조사방법 = 47 A. 변수의 정의 및 측정 방법 = 47 1. 사업 전략 변수 = 47 2. 공급사슬유형 변수 = 48 3. 기업성과측정 변수 = 49 B. 설문지의 구성 = 53 C. 표본의 선정 및 자료의 수집 = 54 D. 자료분석 방법 = 55 Ⅴ. 연구결과 = 56 A. 자료의 특성 = 56 B. 기초통계분석 = 58 1. 신뢰도 분석 = 58 2. 타당도 분석 = 60 3. 상관관계 분석 = 65 C. 가설검증 = 67 1. 가설 1의 검증 = 67 2. 가설 2의 검증 = 69 D. 추가분석 = 75 1. 추가분석을 위한 기초통계분석 = 75 2. 가설 2의 추가분석 = 78 Ⅵ. 결론 = 84 A. 연구결과 및 의의 = 84 B.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과제 = 87 참고문헌 = 88 부록: 설문지 = 92 Abstract = 98;목차 = ⅰ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7 C. 논문의 구성 = 8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 9 A. 사업전략 = 9 1. 경영전략의 개념 = 9 2. 사업전략 = 11 B. 공급사슬관리(SCM) = 12 1. 공급사슬관리의 등장 = 12 2. 공급사슬관리의 개념-기업 가치사슬의 확장, 가치 씨스템으로서의 공급사슬 = 14 3. 공급사슬관리의 정의 = 18 4. 공급사슬의 유형 = 22 C. 균형성과표 (Balanced Scorecard) = 30 1. 균형성과표의 등장 = 30 2. 균형성과표의 개념 = 33 3. 균형성과표의 성과지표 = 38 Ⅲ. 연구가설 및 모형 = 41 A. 연구가설 = 41 1. 사업부의 사업전략과 공급사슬유형에 관한 가설 = 41 2. 사업전략, 공급사슬유형과 기업성과측정에 관한 가설 = 43 B. 연구모형 = 46 Ⅳ.연구조사방법 = 47 A. 변수의 정의 및 측정 방법 = 47 1. 사업 전략 변수 = 47 2. 공급사슬유형 변수 = 48 3. 기업성과측정 변수 = 49 B. 설문지의 구성 = 53 C. 표본의 선정 및 자료의 수집 = 54 D. 자료분석 방법 = 55 Ⅴ. 연구결과 = 56 A. 자료의 특성 = 56 B. 기초통계분석 = 58 1. 신뢰도 분석 = 58 2. 타당도 분석 = 60 3. 상관관계 분석 = 65 C. 가설검증 = 67 1. 가설 1의 검증 = 67 2. 가설 2의 검증 = 69 D. 추가분석 = 75 1. 추가분석을 위한 기초통계분석 = 75 2. 가설 2의 추가분석 = 78 Ⅵ. 결론 = 84 A. 연구결과 및 의의 = 84 B.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과제 = 87 참고문헌 = 88 부록: 설문지 = 92 Abstract = 9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553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사업전략-
dc.subject공급사슬유형-
dc.subject기업성-
dc.title사업전략과 공급사슬유형이 기업성과측정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BSC 성과측정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influence of business strategy and supply chains in measuring firm performance-
dc.format.pagexi, 10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경영학과-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