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3 Download: 0

한나 윌키(Hannah Wilke)의 신체미술

Title
한나 윌키(Hannah Wilke)의 신체미술
Other Titles
Body art of Hannah Wilke : Narcissism reintepreted from the angle of women subject
Authors
이수빈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thesis focuses on new interpretations of the narcissistic characteristics ofHannah Wilke's(1940-1993) body art by looking it in a female subject-centeredpoint of view. Female artists' nude have been degraded to female narcissismwhich was regarded as inferior features of 'the others' by male-dominated society.Wilke has primarily used her own body as major medium. Her works have beenalso misjudged as show-off or exhibitionism. This thesis is intended to revalueWilke's body art in women-subjective angle. In female body art, Narcissistic properties have been used as a strategic tool tostand against the male gaze. They can also be a new method of crying out theothers' voice including women. It is because the history of patriarchal societyhave made women to express themselves for the satisfaction of male desire. Inmale-centered psychology, feminine character were thought as the others who arein need and suffer from loss of penis. Wilke strategically presents narcissism tofight over patriarchal system. Narcissism helps both male and female body artists find their identity, however,the way it helps and the comments are quite different. Male body artists try to step up all the limits of the world and explore the extreme of human ability. Sothey go masochistic or macho. On the other hand, female body artists concentrateon their subjective identity due to the history of humiliation they have had to bowdown under patriarchy. Especially the female frequently undergo narcissisticsituations in their social life, and feminist body artists struggle to resist male gazeby expressing narcissism subjectively. Showing feminism through her body art, Wilke studies women's identities andcriticizes male gaze to turn upside down patriarchal values. In the process ofreturning into her inner part narcissistically, she finds female sex organ that hasbeen concealed and hided because it was degraded under the existing custom.Wilke shows the female genitalia to the public territory repeatedly. In this context,Cunt sculptures mean the sign of women and existence of women, and for Wilkeas a jewish and woman they imply social, historical, mental wounds. Shepresented women as subjective being-who can express their own eroticism- notas object. Also, Wilke newly made women images by imitating after womenmodels' poses of popular culture or paroding the way of showing women bodiesin art history. In Wilke's performalist self-portrait she creates narcissistic womenposes in a women-subjective point of view. Implying sexism inside the method ofshowing women's bodies -that satisfy male's passions- in settled custom, thecreation also made the system possible to be overturned. In the later part of her works, based on mature narcissism, Wilke describes lifefull of conflicts because it is mixed with contrary concepts like life and death,delight and grief, and disease and eroticism. In this point, narcissism begins to gobeyond self-loving to the point that it includ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thers"as death and disease. In a word, by narcissism, Wilke suggests the coexisting aesthetic that embracesthe little world of the others. Looking Wilke's body art in a women-subjectivepoint of view makes us possible to understand feminism body art variously and also to find some potentialities of female language which have been neglected inart history.;본 논문은 한나 윌키(Hannah Wilke, 1940-1993)의 신체미술에 내포된 나르시시즘의 특징을 여성 주체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것을 통해 그것이 새롭게 해석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한다. 여성 미술가들이 자신의 신체를 노출하는 경우, 그것은 남성 중심주의적인 잣대에 의해 열등한 타자적 속성으로 치부되는 여성적 나르시시즘으로 평가받았다. 자신의 신체를 미술의 주요 매체로 사용하는 윌키의 작업 역시 자기 과시나 노출증 등으로 오인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본 논문은 여성 주체 의식으로 바라본 나르시시즘을 통해 윌키의 신체미술을 재해석하고자 한다. 여성 신체미술에서 나르시시즘의 특징은 남성 시선에 저항하기 위한 전략적인 수단이었으며, 미술사에서 여성을 비롯한 타자들의 목소리를 내는 새로운 언어가 될 수 있다. 그것은 여성의 재현방식이 남성 욕망의 충족을 목적으로 하는 가부장적 지배 구조에 맞게 조작되어왔다는 데서 연유한다. 남성 중심적인 심리학에서 여성은 남근의 부재로 인해 상실감을 경험하는 결핍된 존재로 정의되어 왔으며 여성적 특징 역시 타자적 특성으로 범주화된다. 윌키는 이러한 지배 체제를 반영하면서 이를 비판하기 위해 나르시시즘을 전략적으로 표출한다. 남·녀 신체미술가들에게 나르시시즘은 자아로의 회귀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동일하게 연관되지만 그것이 구현되는 방식과 그에 대한 평가는 상이하게 달랐다. 남성 신체미술가들은 인간 한계의 극단을 실험하고 사회적 금기에 저항하기 위해 마조히즘, 마초적 남성상 등의 변형된 자아상을 재현해낸다. 한편 여성 신체미술가들은 가부장제 사회에서 타자로서 위치해 온 여성의 역사 때문에 여성 정체성의 문제에 집중한다. 특히 여성들이 경험하는 사회적 상황은 나르시시즘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페미니스트 신체미술가들은 사회가 여성 이미지에 부여한 나르시시즘을 주체적으로 보여주는 것을 통해 남성 시선에 저항하는 저항의 목소리를 냈다. 윌키의 신체미술은 페미니즘 원리를 실천한 예로서, 그녀는 여성 정체성을 탐구하고 남성 시선의 비판을 통해 가부장제 가치관을 전복하고자 한다. 그녀는 자신의 내부로 나르시시즘적으로 회귀하는 과정에서 기존 문화에서 가치폄하 되었기 때문에 은폐되고 가려진 여성 성기를 발견한다. 윌키는 공공의 영역에 여성 성기를 반복된 형태로 가시화한다. 여기서 컨트(여성 성기) 조각들은 여성성의 표시이자 여성의 현존을 암시하는 동시에, 여성이자 유대인 태생의 윌키에게 있어서 여성을 비롯한 타자들이 경험하는 사회적, 역사적, 정신적 상처들을 의미한다. 그녀는 컨트 조각들을 나르시시즘적으로 재현하면서 여성을 대상이 아니라 스스로의 에로티시즘을 주장할 수 있는 주체적 존재로서 제시하였다. 또한 윌키는 퍼포멀리스트 자화상 사진을 통해서 대중문화에 편재하는 여성의 포즈를 모방하거나, 미술사 속의 여성 신체의 재현 방식을 패러디하면서 여성 신체 이미지를 새롭게 설정한다. 그녀는 여성 주체의 시각으로 나르시시즘적인 여성 포즈를 재현한다. 이것은 기존 문화에서 남성 욕망의 충족을 전제로 하는 여성 신체의 재현방식에 내재한 성차별적인 태도를 반영하면서, 역으로 그 구조를 전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질병과 죽음을 주제로 다룬 후반부의 작업들에서 윌키는 성숙한 나르시시즘적 태도를 바탕으로 질병과 에로티시즘, 고통과 기쁨, 생명과 죽음이라는 대립적 요소들이 공존하는 삶의 양면성을 구현해낸다. 여기서 나르시시즘은 단순히 자기애적 측면을 넘어서서 질병, 죽음 등과 같은 타자적인 요소들을 포용하는 확장된 의미로서 사용한다. 요컨대, 윌키는 나르시시즘을 통해 타자의 세계를 포용하는 공존의 미학을 제시하고 있다. 윌키의 신체미술을 여성 주체의식을 바탕으로 한 여성 심리를 중심으로 다시 바라보는 것은 페미니즘 신체미술의 나르시시즘에 대한 다각도의 이해를 가능하게 하면서, 기존 미술사에서 배제된 여성의 언어가 지닌 가능성을 발견하는 과정이 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