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4 Download: 0

조선시대 산수화의 行旅像 연구

Title
조선시대 산수화의 行旅像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Image of the Haeng Reyo (行旅像) in Joseon Dynasty
Authors
박민정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산수화의 시작과 함께 줄곧 등장하는 요소였으나 아직까지 구체적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行旅像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유형 분류와 이에 따른 주제의식의 변화 및 시대별 전개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行旅’는 일반적으로 ‘여행’ 또는 ‘나그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중국 문학에서는 南朝 梁의 昭明太子가 편찬한《文選》에서 행려시로 그 용어가 처음 등장하였고, 이는 ‘行’과 ‘旅’ 두 글자의 뜻으로부터 구성된 것으로 행렬을 짜서 길을 가는 무리들의 여행을 뜻하였다. 회화에서보다 행려 주제가 먼저 등장한 중국문학에서 ‘행려’는 위진남북조 이전에는 ‘行役’의 의미였고, 위진남북조 시대에는 관리의 여행, 그리고 명대 중엽 이후 여행이 일반화되면서 명승지를 찾아다니며 승경을 감상하고 즐기는 유람의 의미로 형상화되었다. 이와 같이 문학에서 ‘행려’는 시대별로 다양한 의미로 인식되었고, 행려 주제를 표현한 회화에서도 이러한 인식들이 반영된 것으로 생각된다. 회화에서 행려 주제는 北宋《宣和畵報》의 작품목록을 통해 唐代부터 이미 제작되었던 것으로 보이며, 중국 歷代 行旅類 題畵詩를 통해서는 送別 · 산천의 行旅 · 乘船 · 逢僧 · 歸莊의 주제가 행려도에 속함과 각 주제별 도상적 특징을 알 수 있었다. 제화시를 통한 행려도의 범주를 토대로 현전하는 중국과 조선시대 산수화에서의 행려상을 형식에 따라 騎驢 · 步行 · 乘船의 像으로 나누어 각각의 유형과 주제의식을 살펴보았다. 먼저 중국에서, 북송대 기려행려상은 어떤 특정한 故事와 결부되지 않은 실제 산천을 여행한 생활인의 모습으로 당시 여행자들은 과거를 통해 관직에 진출한 문인사대부들이었고 새로운 임지로의 부임이나 출장 등이 여행의 목적이었다. 광활한 산수 공간을 행려하는 그들의 모습은 시인의 이미지를 상징하던 기려상으로 표현되었고 기려상은 행려 주제를 상징하는 주요 모티브가 되었다. 남송 이후 산수화의 구도 변화와 함께 화면에서 행려상의 비중도 커지면서 기려행려상은 그것이 본래 상징하였던 옛 시인들의 故事와 관련된 探梅나 尋梅, 은거지로의 歸家 등의 의미가 부각되었다. 명대 중엽 이후 명승지 유람 풍조와 실경산수화의 성행 속에 실제 유람 경험을 가졌던 화가 자신이나 감상자의 모습이 기려행려상으로 표현되어 당시 여행 모습을 사실적으로 반영하기도 하였다. 보행행려상의 경우, 문인의 보행상은 行吟 · 訪友 및 명승유람의 주제에서 등장하고, 서민의 보행상은 구불하고 좁은 경사의 산길을 힘겹게 오르는 모습이나 비바람이 몰아치는 날씨 속에서 귀가하는 모습으로 주로 그려져 문인행려상과 대조되는 구도와 주제를 보여주는데, 이는 행려자의 신분에 따른 특징적 위치와 주제가 있음을 짐작케 한다. 승려행려상은 주로 송대 작품에 등장하며, 사찰과 관문이 주요 모티브이다. 승선의 행려는 주로 待渡와 送別의 주제로 전형화된 도상이 그려진다. 조선시대 산수화에서의 행려상 또한 중국에서와 마찬가지로 유형별로 다른 주제가 전개되었다. 조선 초기 고전적 이상경을 추구한 관념산수화에서 이상향에 이르고자하는 문사들의 내면이 행려상에 반영되었다. 중기에는 소경인물화가 성행하면서 산수보다는 산수 속 행려자가 의미하는 바가 더욱 부각되면서 나귀 탄 시인을 상징하던 기려상은 探梅나 尋梅의 맹호연 故事나 詩思와 관련한 정계의 고사가 주제화되었다. 이러한 기려상은 일반 산수화의 행려상으로도 차용되어 고사의 의미가 없는 평범한 산천의 행려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조선 후기 남종화풍의 정형산수에서 기려행려상은 『顧氏畵譜』와 『芥子園畵傳』과 같은 화보에서 산수구도와 인물상을 빌려와 더욱 풍부한 주제로 표현되었다. 한편, 명말청초의 명승지 유람풍조는 조선에도 전해져 산수유람이 성행하였고 이를 실경으로 그려내어 감상하고자 하였던 화가들은 기존의 기려행려상에 조선 선비 복장의 인물을 결합하여 실제 유람에 참가했던 선비들의 모습으로 그려내었다. 보행 행려상은 조선 전기 관념산수화에서 ‘귀거래’의 이상과 탈속으로의 지향을 반영하여 老人과 老僧의 像으로 나타났고 조선 후기에는 산행 또는 유람하는 조선 선비의 모습으로 표현되어 앞 시기의 행려상과는 다르게 전개되었다. 이처럼 산수화에서 행려상은 산수화의 시대적 흐름과 같은 맥락 속에서 유형별로 다양한 주제의식으로 표현되었다.;This thesis focuses on the image of the Haeng Reyo (行旅), or traveler, which tends to appear after the advent of landscape painting but never has been highlighted as a major subject for discussion. The whol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various types of the Haeng Reyo image, theme changes of paintings based on the type of image, and the historical developments. Generally, Haeng Reyo means 'travel' or 'traveler,' but sometimes it also denotes travel in which a group of people move together in queue. Haeng Reyo theme appeared in Chinese literature earlier than appearing in Chinese painting. In Chinese literature, the meaning of Haeng Reyo constantly changed. It meant 'traveling for drafted labor' before the Wei-Jin Southern and Northern period, but during the period it meant 'traveling government officials.' As traveling became generalized after the middle Ming Dynasty, it got to represent 'sightseeing'. We can assume that the Haeng Reyo theme had already been adopted from the T'ang Dynasty as in 《Xuanhe huapu,宣和畵報》. Chinese painting poetry about Haeng Reyo teaches us that Haeng Reyo Do includes a variety of themes such as farewell, traveling around mountains and streams, taking a boat, boarding a boat, meeting a monk, and returning to a villa, and each theme has its own characteristics. Based on theme types shown on the painting poetry, the image of Haeng Reyo in existing Chinese and Joseon Dynasty landscape paintings has been divided into three types - riding donkey(騎驢), walking(步行), and boarding ship(乘船) and then studied. First of all, during the Northern Sung period, the image of travelers riding donkeys represents government officials who travel for official purposes. They are depicted as lonely poets through the image even though they feared more than appreciated the natural environments surrounding them. After the Southern Sung period, the image of travelers riding donkeys was often used to emphasize the main themes of ancient stories such as searching for plum blossoms and returning home as more and more image of Haeng Reyo appeared in paintings. After Middle Ming Dynasty, as scenic place traveling and real scenery landscape painting were in trend, painters and appreciators themselves are depicted as the Haeng Reyo Image reflecting the real image of the time. Walking travelers appeared in two different images according to the status of travelers. If a walking traveler is of a high class, the image appears with the themes of touring scenic places, strolling and reciting poems, and visiting friends. On the other hand, the travelers in lower class are depicted as the image of struggling up narrow and steep mountains or returning home in nasty weather. The image of travelers boarding boats usually appears in the works painted during the Sung Dynasty, and the main motifs are temples and gateways. Like the Chinese landscape paintings, the landscape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also adopted various painting types to express different themes. In the Ideal Landscape Painting, which dominated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inner world of literary men pursuing to find a Utopia is reflected by the image of travelers. As the Figures Painting of Landscape became popular during the mid Joseon Dynasty, the meaning of the traveler's image in the landscape was emphasized more than landscape itself. Accordingly, the image of travelers riding donkeys was used to represent the old stories by Meng Haoran(孟浩然) (searching plum blossoms,探梅) and Zheng Qi(鄭綮) (thinking of poems,詩思). The image of travelers riding donkeys was sometimes adopted for landscape paintings to simply describe traveling around mountains and streams without any ancient story. In the Landscape Painting of fixed form of Southern School style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he image of travelers riding donkeys took more various themes by adopting landscape composition and human figure from 《Kushih Huapu 顧氏畵譜》 and 《The Mustard Seed Garden Manual of Painting,芥子園畵傳》. In the meantime, the trend of traveling around scenic places reached Joseon and became popular when the transition between the Ming Dynasty and the Ching Dynasty occured. In pursuit of the real scenery, painters tried to describe the scholars who actually participated in the sightseeing by combining the image of travelers riding donkeys and the figures in scholars' clothes. Walking travelers appear as the image of old men and monks reflecting the hopes of returning home and rising above the world in the ideological landscape painting of the early Joseon Dynasty, but are shown as the image of Joseon scholars traveling around in the paintings of the late Joseon Dynasty, which is quite different from the paintings of the previous period. As discussed above, the Images of Haeng Reyo appearing in landscape paintings were used for various themes that occurred whenever periods chang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