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6 Download: 0

거문고 중주곡 고구려의 여운의 분석적 硏究

Title
거문고 중주곡 고구려의 여운의 분석적 硏究
Other Titles
(The) Duet of Kumungo 「Lingering tone of Kogurye」Analysis
Authors
김민아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Keywords
거문고중주곡고구려의 여운음악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정대석 작곡 '여섯 줄을 위한 두 번째 대화' <고구려의 여운>의 음악구조를 분석하고 그 작품 속에 내재된 작곡기법을 파악함으로써 연주 및 감상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目的을 둔다. 이 곡은 '여섯줄을 위한 두 번째 대화' 라는 副題처럼 거문고 Ⅰ, Ⅱ의 두 악기로 연주되는 중주곡이며 고구려의 기상과 용맹성을 표현하고 있다. 연구방법은 각 악장을 선율형태 및 구조, 리듬, 구성형식, 음계로 구분하여 考察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結論을 얻었다. 먼저, 1악장은 3/4박자의 총 36마디로 템포는♩=52, ♩=72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템포와 선을 진행방식에 따라 크게 A단락과 B단락으로 나눌 수 있다. 선율형태 및 구조에 있어서는 거문고 Ⅰ과 거문고Ⅱ에서 각각 동형진행과 반복법, 반진행 등을 사용하였고 거문고 Ⅰ, Ⅱ의 관계에 있어서는 canon형의 구조, 대위법적인 구조, unison 및 화성적인 형태를 보이고 있다. 리듬은 네 마디를 단위로 보면 12/4박자의 중모리 '3분박(♩♩♩)×4'의 형태이고 음계는 依(F)-姑(G)-중(Ab )-남(Bb)-남(C)-黃(eb)의 6음 음계로 구성되어 있다. 2악장은 템포 1 =45∼50, 6/8박자의 총 52마디이며 음형구조와 선율진행을 참고로 하여 보면 크게 A, B, C, D, B'단락으로 나눌 수 있다. 시작은 단순한 선율로 되어 있지만 차츰 canon형식과 되돌이표, 괘의 변화와 함께 리듬이 다양하게 변화되었으며 coda의 형태로 끝을 맺는다. 선율 형태 및 구조에 있어서는 거문고 Ⅰ, Ⅱ에서 각각 동형진행과 동음진행 그리고 반복법 및 반진행 등이 사용되었으며 거문고 Ⅰ, Ⅱ의 관계는 unison 및 화성적인 형태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리듬은 두 마디를 단위로 볼 때 12/8박자의 중중모리 '3분박(♪♪♪)×4' 구성의 리듬형이 자유롭게 변화되어 나타나고 있으며 음계는 태(F)-고(G)-중(Ab )-남(Bb)-남(C)-무(Db)-黃(eb)의 7음 음계로 구성되어 있다. 3악장은 템포 ♩ =108, 12/8박자의 총 65마디로 다양한 패의 변화와 리듬의 변화를 발견할 수 있으며 이를 참고로 하여 A, 연결구, B, A', 연결구, coda의 여섯 단락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선을 형태 및 구조에 있어서는 역시 거문고 Ⅰ과 거문고Ⅱ에서 각각 동형진행과 동음진행 그리고 반복법 및 반진행 등이 사용되었고 거문고 Ⅰ, Ⅱ의 관계에서는 unison 및 화성적인 형태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리듬은 12/8박자의 전형적인 자진모리 기본 4박( ♩-♩-♩-♩) 구성이 잘 표현된 리듬형이 나타나고 후반부로 갈수록 한마디 안에서 리듬의 축소와 확대를 이용해 조여주고 맺어주는 리듬형으로 다양하게 변화되었으며 음계는 태(F)-고(G)-중(Ab )-남(Bb)-남(C)-무(Db)-黃(eb )의 7음 음계로 구성되어 있다. 4악장은 템포 ♩=126, 4/4박자의 총 66마디로, 3악장과 같이 다양한 리듬과 괘의 변화를 발견할 수 있다. 이를 참고로 하여 보면 크게 A, B, 연결구, coda의 네 단락으로 나눌 수 있으며 선율 형태 및 구조에 있어서는 거문고 Ⅰ, Ⅱ에서는 각각 앞의 악장들과 마찬가지로 각각 동형진행과 동음 진행 그리고 반복법 및 반진행 등을 사용하고 있다. 거문고 Ⅰ, Ⅱ의 관계에 있어서는 주로 화성적인 형태가 많이 나타나고 unison의 형태도 이루어졌다. 리듬은 4/4박자, 2분박(♪♪)×4' 박의 단모리 장단에 바탕을 두고 다양하게 변화되어 행진곡의 느낌으로 극적 긴장감을 고조시키고 있으며, 음계는 남(C)-황(Eb)-태(F)-고(G)-중(Ab)-남(Bb)의 6음 음계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고구려의 여운>은 두 대의 거문고가 전통적인 국악에서 볼 수 없는 화성적인 형태와 canon, 대위법의 형태를 도입하여 현대적인 기법으로 거문고 중주곡의 지평을 확대시켰을 뿐 아니라 전통 국악 장단에 바탕을 둔 다양한 리듬 형태로 국악 본연의 멋을 강조하여 거문고 창작곡의 표현력을 한 단계 높여 준 곡이라 할 수 있다.;This essay explains the musical structure of Lingering tone of Kogurye, which is composed by Jung Dae-suk. The purpose of analyzing this composition is to discover the composer's typical composition ways from Jung Dae-suk's music which is divided by the melody types and structure, the composed form, and the musical scale and rhythm. This music is the double counterpoint which is played by Kumungo I and II. The first movement's rhythm is 3/4. The tempo has two parts which are ♩=52 and ♩=72, also it has total 36 words in this music. The second movement's tempo is ♩=45~50. The music's rhythm is 6/8, and it has total 52 measures. The third movement's tempo is ♩=108, and it's rhythm is 12/8. It also has 65 measures in this music. The last forth movement's tempo is ♩=126. It's rhythm is 4/4, and it has 66 measures. As the progress of music's tempo and melody structure, the first movement can be two parts which are divided into paragraph A and B. As you see the melody shapes and structure, playing the Kumungo I and II uses to show the same form of progress, repetition, and opposite-progress. The relationship with Kumungo I and II shows the Canon type or Contrapuntal structure, and Unison including the natural minor scale. The musical scale composed by 6 tones which are 依(F)-姑 (G)-중(Ab)-남(Bb)-남(C)-黃(eb). Based on music's type structure and melody progress, the second movement can separate into 4 parts which are A, B, C, D, and B'. It starts from simple melody; however, it gradually changes Canon's form repeat mark and Kwae; also, rhythm changes variously. Finally it finishes Coda's form. As you see the melody shapes and structure, same a s the first movement, Kumungo I and I1 shows the melody to progress same form and tone progress, repetition, and opposite-progress. The relationship with Kumungo I and I1 appears the Contrapuntal shapes. The musical scale composed by 7 tones which are 태(F)-姑(G)-중(Ab)-남(B b)-남(C)-무(Db)-黃(eb). As you see the third movement, we can find out the various Kwae and rhythm's changes, Like this, referred to the Kwae and rhythm's changes, it classified to 6 paragraphs which are A, connection phrase, B, A', connection phrase, and Coda. Kumungo I and II show the melody to progress same form and tone progress, repetition, and opposite-progress; also, the relationship with Kmungo I and II shows the Contrapuntal structure, and Unison including the natural minor scale. The musical scale composed by 7 tones which are 태(F)-姑(G)-중(Ab)-남(B b)-남(C)-무(Db)-黃(eb). As you see the fourth movement, it also can find out the various rhythm and Kwae's changes same a s the third movement. Based on the fourth movement, it classified to 4 paragraphs which are A, B, connection phrase, and Coda. Before- mentioned of the movements, playing the Kumungo I and II play the melody to progress same form and tone progress, repetition, and opposite-progress; also, the relationship with Kumungo I and II shows the Contrapuntal structure, and Unison types. The musical scale composed by 6 tones which are 남(C)-황(Eb)-태(F)-고(G)-중(Ab)-남(Bb) As I represented this report, Lingering tone of Kogurye could be a special music by playing the Kumungo I and I1 which is upgraded to create the expression by using unique melody shapes and rhythm to manifest the independent spirit and fearless courage through Kumungo.;본 논문은 정대석 작곡 '여섯 줄을 위한 두 번째 대화' <고구려의 여운>의 음악구조를 분석하고 그 작품 속에 내재된 작곡기법을 파악함으로써 연주 및 감상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目的을 둔다. 이 곡은 '여섯줄을 위한 두 번째 대화' 라는 副題처럼 거문고 Ⅰ, Ⅱ의 두 악기로 연주되는 중주곡이며 고구려의 기상과 용맹성을 표현하고 있다. 연구방법은 각 악장을 선율형태 및 구조, 리듬, 구성형식, 음계로 구분하여 考察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結論을 얻었다. 먼저, 1악장은 3/4박자의 총 36마디로 템포는♩=52, ♩=72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템포와 선을 진행방식에 따라 크게 A단락과 B단락으로 나눌 수 있다. 선율형태 및 구조에 있어서는 거문고 Ⅰ과 거문고Ⅱ에서 각각 동형진행과 반복법, 반진행 등을 사용하였고 거문고 Ⅰ, Ⅱ의 관계에 있어서는 canon형의 구조, 대위법적인 구조, unison 및 화성적인 형태를 보이고 있다. 리듬은 네 마디를 단위로 보면 12/4박자의 중모리 '3분박(♩♩♩)×4'의 형태이고 음계는 依(F)-고(G)-중(Ab )-남(Bb)-남(C)-黃(eb )의 6음 음계로 구성되어 있다. 2악장은 템포 1 =45∼50, 6/8박자의 총 52마디이며 음형구조와 선율진행을 참고로 하여 보면 크게 A, B, C, D, B'단락으로 나눌 수 있다. 시작은 단순한 선율로 되어 있지만 차츰 canon형식과 되돌이표, 괘의 변화와 함께 리듬이 다양하게 변화되었으며 coda의 형태로 끝을 맺는다. 선율 형태 및 구조에 있어서는 거문고 Ⅰ, Ⅱ에서 각각 동형진행과 동음진행 그리고 반복법 및 반진행 등이 사용되었으며 거문고 Ⅰ, Ⅱ의 관계는 unison 및 화성적인 형태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리듬은 두 마디를 단위로 볼 때 12/8박자의 중중모리 '3분박(♪♪♪)×4' 구성의 리듬형이 자유롭게 변화되어 나타나고 있으며 음계는 태(F)-고(G)-중(Ab )-남(Bb )-남(C)-무(DD )-黃(eb )의 7음 음계로 구성되어 있다. 3악장은 템포 ♩ =108, 12/8박자의 총 65마디로 다양한 패의 변화와 리듬의 변화를 발견할 수 있으며 이를 참고로 하여 A, 연결구, B, A', 연결구, coda의 여섯 단락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선을 형태 및 구조에 있어서는 역시 거문고 Ⅰ과 거문고Ⅱ에서 각각 동형진행과 동음진행 그리고 반복법 및 반진행 등이 사용되었고 거문고 Ⅰ, Ⅱ의 관계에서는 unison 및 화성적인 형태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리듬은 12/8박자의 전형적인 자진모리 기본 4박( ♩-♩-♩-♩) 구성이 잘 표현된 리듬형이 나타나고 후반부로 갈수록 한마디 안에서 리듬의 축소와 확대를 이용해 조여주고 맺어주는 리듬형으로 다양하게 변화되었으며 음계는 태(F)-고(G)-중(Ab )-남(Bb)-남(C)-무(Db)-黃(eb )의 7음 음계로 구성되어 있다. 4악장은 템포 ♩=126, 4/4박자의 총 66마디로, 3악장과 같이 다양한 리듬과 괘의 변화를 발견할 수 있다. 이를 참고로 하여 보면 크게 A, B, 연결구, coda의 네 단락으로 나눌 수 있으며 선율 형태 및 구조에 있어서는 거문고 Ⅰ, Ⅱ에서는 각각 앞의 악장들과 마찬가지로 각각 동형진행과 동음 진행 그리고 반복법 및 반진행 등을 사용하고 있다. 거문고 Ⅰ, Ⅱ의 관계에 있어서는 주로 화성적인 형태가 많이 나타나고 unison의 형태도 이루어졌다. 리듬은 4/4박자, 2분박(♪♪)×4' 박의 단모리 장단에 바탕을 두고 다양하게 변화되어 행진곡의 느낌으로 극적 긴장감을 고조시키고 있으며, 음계는 남(c)-황(Eb )-태(F)-고(G)-중(Ab )-남(Bb )의 6음 음계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고구려의 여운>은 두 대의 거문고가 전통적인 국악에서 볼 수 없는 화성적인 형태와 canon, 대위법의 형태를 도입하여 현대적인 기법으로 거문고 중주곡의 지평을 확대시켰을 뿐 아니라 전통 국악 장단에 바탕을 둔 다양한 리듬 형태로 국악 본연의 멋을 강조하여 거문고 창작곡의 표현력을 한 단계 높여 준 곡이라 할 수 있다.;This essay explains the musical structure of Lingering tone of Kogurye, which is composed by Jung Dae-suk. The purpose of analyzing this composition is to discover the composer's typical composition ways from Jung Dae-suk's music which is divided by the melody types and structure, the composed form, and the musical scale and rhythm. This music is the double counterpoint which is played by Kumungo I and II. The first movement's rhythm is 3/4. The tempo has two parts which are ♩=52 and ♩=72, also it has total 36 words in this music. The second movement's tempo is ♩=45~50. The music's rhythm is 6/8, and it has total 52 measures. The third movement's tempo is ♩=108, and it's rhythm is 12/8. It also has 65 measures in this music. The last forth movement's tempo is ♩=126. It's rhythm is 4/4, and it has 66 measures. As the progress of music's tempo and melody structure, the first movement can be two parts which are divided into paragraph A and B. As you see the melody shapes and structure, playing the Kumungo I and II uses to show the same form of progress, repetition, and opposite-progress. The relationship with Kumungo I and II shows the Canon type or Contrapuntal structure, and Unison including the natural minor scale. The musical scale composed by 6 tones which are □(F)-姑 (G)-□(A b )-□(B b )-□(C)-黃(e b ). Based on music's type structure and melody progress, the second movement can separate into 4 parts which are A, B, C, D, and B'. It starts from simple melody; however, it gradually changes Canon's form repeat mark and Kwae; also, rhythm changes variously. Finally it finishes Coda's form. As you see the melody shapes and structure, same a s the first movement, Kumungo I and I1 shows the melody to progress same form and tone progress, repetition, and opposite-progress. The relationship with Kumungo I and I1 appears the Contrapuntal shapes. The musical scale composed by 7 tones which are □(F)-姑(G)-□(A b )-□(B b )-□(C)-□(D b )-黃(e b ). As you see the third movement, we can find out the various Kwae and rhythm's changes, Like this, referred to the Kwae and rhythm's changes, it classified to 6 paragraphs which are A, connection phrase, B, A', connection phrase, and Coda. Kumungo I and II show the melody to progress same form and tone progress, repetition, and opposite-progress; also, the relationship with Kmungo I and II shows the Contrapuntal structure, and Unison including the natural minor scale. The musical scale composed by 7 tones which are □(F)-姑(G)-□(A b )-□(B b )-□(C)-□(D b )-黃(e b ). As you see the fourth movement, it also can find out the various rhythm and Kwae's changes same a s the third movement. Based on the fourth movement, it classified to 4 paragraphs which are A, B, connection phrase, and Coda. Before- mentioned of the movements, playing the Kumungo I and II play the melody to progress same form and tone progress, repetition, and opposite-progress; also, the relationship with Kumungo I and II shows the Contrapuntal structure, and Unison types. The musical scale composed by 6 tones which are □(c)-□(E b )-□(F)-姑(G)-□(A b )-□(B b ) As I represented this report, Lingering tone of Kogurye could be a special music by playing the Kumungo I and I1 which is upgraded to create the expression by using unique melody shapes and rhythm to manifest the independent spirit and fearless courage through Kumungo.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