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1 Download: 0

학교교육 현장에서의 여학생의 규범에 대한 협상과 성적 경험에 관한 연구

Title
학교교육 현장에서의 여학생의 규범에 대한 협상과 성적 경험에 관한 연구
Authors
김애라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여학생들이 학교가 자신의 욕구와 충돌하는 곳이라고 생각하면서도, 따라서 학교 규범을 깨고 자신의 개인적 욕구와 일상을 실천하면서도 여전히 여학생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를 그만 둘 계획이 없는 여학생들의 성적 경험과 학교에 대한 이들의 입장과 대응에 주목하였다. 학교교육은 오랫동안 취업과 입시 등을 준비하여 사회에 진입하는데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는 제도로 존재해 왔다. 여학생들의 일상은 이미 성적 정숙함이나 여성다움 등의 ‘여’학생 규범으로부터 이탈하고 있지만 자신의 입시나 진로, 취업 등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학교 규범을 무시할 수 없는 위치에 있다. 이 때 여학생들은 학교를 통한 자원이나 학교 안의 ‘여’학생이라는 위치를 두고 학교와 협상하는데, 학교 안과 밖을 분리한 이중플레이를 구사하며 최대한 학교의 자원을 잃지 않는 방식으로 학교가 요구하는 ‘여’학생다움을 전략적으로 연행한다. 본 연구의 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교교육 안에서 학생은 관리와 통제가 필요한 학생으로만 인식되는데, 특히 여학생은 학생일 뿐 아니라 여성으로 인식되며, 이 두 정체성에 기반한 교육을 받는다. 여학생은 입시와 취업을 준비해야 하며 동시에 성적으로 정숙하고 여성다움을 갖춘 ‘여’학생으로서, 미래에 가부장제적 성규범에 적합한 여성을 준비해야 한다. 따라서 여학생은 학업성적 뿐 아니라 ‘여’학생으로서의 자질을 통해 평가받는다. 학생의 본분이 학업으로 의미화 되어 있고, 학업이 최종적으로 사회적인 성공과 연결된다고 믿기 때문에 학생들은 이러한 학업성취에 따라 각각 다른 가치평가를 받게 되는데, 여학생의 경우에는 여기에 ‘여’학생다움, 즉 여성다운 성적 존재라는 뜻이 부가된다. 학교는 학업성적과 성적 정숙함, 학교 부적응과 성적 일탈을 등치시켜 이해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성적이 우수한 여학생은 ‘여’학생다움도 충족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2) 소비자본주의와 대중문화, 사이버 공간의 출현 등으로 다양해진 10대들의 일상공간은 훈육과 규제의 공간인 학교로부터 분리되고 있다. 여학생들에게 학교의 규제는 학교 안에서만 금지되는 것일 뿐 학교 밖 일상에서는 별로 중요하지 않은 것이 된다. 특히 여학생들의 성적 실천과 성적 실천에 대한 생각은 이를 잘 나타낸다. 여학생들 사이에서 성적 실천은 순결과 연결되거나 날라리들의 일탈로 여겨지기보다 연애를 하는 주변의 평범한 친구들의 경험으로 의미화 되고 있다. 10대 연애의 보편화와 함께 여학생들의 성적 실천 경험이 증가하면서 성적 실천에 대한 의미부여 자체가 달라진 것이다. 이 같은 여학생들의 문화는 ‘여’학생다움을 강요하는 학교나 사회의 가치와 분리되는 지점을 마련한다. 그러나 학교 안에서 이러한 여학생들의 문화는 수용될 수 없으며 학생 정체성을 박탈당할 수도 있는 사건이 된다. 이에 여학생들은 이중플레이를 통해 학교 안과 밖을 구분하여 학교의 규범을 피해 자신들의 일상과 문화를 유지한다. 이 때, 여학생들의 이중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가장 확실한 자원은 학업 성적이다. 학교에서는 학업성적이 성의 통제를 상쇄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를 알고 있는 여학생들은 학교의 지배가치인 학업성적을 유지하여 학교 안에서는 자신의 위치를 공고히 하고 학교 밖의 사적인 공간을 따로, 손쉽게 구축해 나간다. 3) 학교교육이 제도화되어 있는 사회에서 학교의 졸업장은 사회 진출에 최소한의 자격증과 같은 역할을 한다. 이를 아는 여학생들은 학교교육의 불합리함을 알고, 학교의 규범에 동의하지 않더라도 졸업장을 획득하기 위해 학교에 다녀야 하는 시간을 견딘다. 또한 졸업장 뿐 아니라 학업성적과 입시, 취업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여학생들에게 학교는 꿈을 이루기 위한 하나의 발판이기도 하다. 이에 여학생들은 학교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학교 안에서만큼은 학교의 지배 가치에 따른다. 여학생들이 학교의 지배가치에 동의하는 것은 학교를 존중해서나 배움을 위해서가 아니라 자신들의 이해를 실현시키기 위한 형식적 동의이다. 이 같은 여학생들 스스로의 의지로부터 학교는 결코 변하지 않고도 계속해서 유지되며, 제도 안에서 살아남고자 하는 여학생들을 위한 도구로 작용한다. 여학생에게 학교가 자원획득을 위한 일종의 도구로만 이해되면서 학교가 여학생들에게 부과하고자 하는 '여'학생 규범은 힘을 잃는다. 여학생들이 학교에 기대하는 졸업장, 취업의 기회, 좋은 대학에 입학할 수 있는 우수한 성적 등의 자원을 기대하며 ‘여’학생을 연행하는 것은 이미 여성다움, ‘여’학생다움이라는 것이 연기하고 만들어낼 수 있는 것임을 간파하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여학생들의 이중플레이는 학교를 도구화하고 ‘여’학생 규범의 경계를 넘고 여성다움을 생물학적 여성으로부터 조금씩 탈각시켜가고 있지만, 여전히 학교를 자원화함으로써 학교교육이 유지되는 데 공모한다. 여학생의 성적 실천은 학급붕괴와 10대 ‘문제’를 이야기하는 담론 속에서 ‘일탈’이나 ‘위험’으로 위치 지워져 왔다. 본 연구는 이를 적극적으로 문제화하고 학교 안의 여학생들의 성적 경험을 통해 여학생들이 어리고 미성숙한 10대 여성이자 학교 안의 ‘여’학생으로서 부과 받는 규범에 도전하고 학교로부터 기대하는 자원을 획득하기 위해 학교와 협상하고 있음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여학생에게 학교가 자원획득을 위한 일종의 도구로만 이해되면서 학교가 여학생들에게 부과하고자 하는 '여'학생 규범이 더 이상 여학생들에게 유의미하지 않으며 이것이 오히려 여학생들 '여'학생다움/여성다움을 여성인 자신으로부터 분리하는 장을 마련하고 있음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This research has its background of recognizing the following problem. Female students do not think that school is important. It is a place with clash of interest. Additionally, they break the norm, work to achieve their desire and daily task while being able to maintain their female student identity. In light of this circumstance, the research puts a particular emphasis on those female students who have no plan to quit the school. It is a great interest to find out female students' sexual practice, the school's position, and a counter plan. It is commonly-held belief that mission of the education provided by school is to develop and disseminate knowledge that promotes leadership and better employee for the society through educational programs. Typically, female students are digressing from the femininity and sexual maturity virtue, however. Female students can not neglect the importance of school's norm since; it has a direct influence on their exam, career and employment in near future. In this case, female students show double play. Meaning, they work toward their advantage. For instance, they strategically position themselves to negotiate on issue like school's resource. They try not to lose any school's resource both internal and external one. The summary and outcome of this research can be stated as follow: 1) Students are commonly perceived as people who needs constant supervision and kept under control within school. At the same time, female students are both view as student and also women. With this ambivalent nature in mind, female students receive an education. Specifically, female students are expected to prepare well for future employment. At the same time, they are also expected to strive toward feminine-like maturity to fit the patriarchal societal system. In this case, female students are judged by their school grade as well as feminine qualities. Student's main responsibilities lie in a great academic performance and their academic performance is strongly correlated with success in society. For this reason, female students receive different evaluation depending on their academic performance.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women-like feature is included in the concept. In other words, it encompasses the meaning of sexual maturity. In school, students are lined up according to their governing value. Students with superior academic performance are understood as satisfying women-like attribute. For this reason, schools treat academically superb students as someone with sexual maturity. On the other hands, students with poor academic performance as someone who fail to adopt well to the school. 2) With emergence of capitalism that promotes spending, popular culture and cyber space, young kinds are getting far away from the structured and disciplined nature of school. For this reason, school's tight control toward female students is prohibited within the school; however, it does not seem to strictly apply outside of school boundary. Specifically, female student's direct sexual experience is no longer viewed as negatively among students. Meaning, active sexual pursuit is no longer tied to trouble maker concept. They are rather viewed as normal human being engage in ordinary activity. One of the contributing reasons for this phenomenon is the widespread dating experience among youth. Thus, the concept has shifted to a different scale. This kind of culture among female students set a separation point for school which emphasis women-like attribute. However, this kind of behavior is not allowed inside of school boundary and can possibly break the true female identity. In light of this circumstance, female students adopt double play where they tried to maintain their unique cultural aspect while avoiding the school's norm. What makes female students to maintain their double play status is a good academic performance in school. Students are well aware of this fact. In school, grade serve as counterbalance factor for any possible prohibition or restriction. So, female students strive to maintain good grade and thereby solidify their status in school. At the same time, they strive to build private space outside of school boundary. 3) School's diploma serves as a stepping stone for advancing one's career in society. Female students are well aware of this fact. They put forth efforts to endure any inconvience in order to obtain that diploma. Inconvince may include awareness of school's irrationality. Grade, diploma and employments are paramount important to female students and school serves as a ground for achieving their future dream. For this reason, female students ought to obey the governing rule inside of school if they wish to obtain what they want. Female students obey school's governing rule not because they want to learn and respect the school. But they do that in order to achieve self-actualization point. It is a superficial way of obeying. So, schools serve as a tool for women who want to survive. Among female students, schools are perceived as mere tool for obtaining resources. For this reason, schools lose control and purpose in emphasizing femininity quality. Female students pretend to obey the school's norm and played the role of women-like feature signals that what school hopes to achieve can be easily duplicated. Female students use the school as a mere tool by engaging in double play and often step outside the boundary of women-like desirable status. However, they contribute to school by maintaining their academic role inside of school. Female student's sexual practice meant digress danger among the issues surrounding breakdown of school and youth problem In this research, we strive to clearly explain this problem statement. Inside of school, they constantly challenge the norm posed by the school. At the same time, they negotiate with school to obtain the resources they need. Since, schools are exclusively viewed as a place to obtain resources, school's desire to exert certain norm is meaningless. Even worse, school serves as a place for female students to separate from women like fea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