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4 Download: 0

역할극을 통한 문화지도가 초등학생의 영어 말하기 능력과 문화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역할극을 통한 문화지도가 초등학생의 영어 말하기 능력과 문화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Cultural Instruction Through Role Play on English Speaking Proficiency and Cultural Knowledge
Authors
홍진경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재 실시되는 영어교육의 중점적인 목표는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이다. 교육부에서 제시한 초등학교 영어 교육과정(교육부, 1998)에 의하면, 초등학생의 경우 ‘영어 교과가 새로운 학습 부담이 되거나 우리말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어서는 안 되며, 영어를 통한 경험으로 우리말과 문화의 소중함을 알게 해주고 우리말의 습득에 도움이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다시 말해 초등학교 영어교육의 성격은 의사소통 능력은 물론이고 영어를 통해서 인성교육, 나아가 세계 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태도를 길러 국제적인 안목을 가진 세계인으로 기르는 데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따라서 교육부는 1997학년도부터 초등 영어교육을 시작으로, 7차 교육과정에서는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게임, 노래, 챈트, 이야기 말하기, 역할극 등 여러 가지 활동 중심의 영어교육을 제시해왔다. 특히, 역할극을 통한 영어교육은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할 기회를 제공하여 말하기·듣기 중심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뿐만 아니라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는 자신감 형성에도 도움을 준다. 따라서 초등학교 영어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역할극에 대한 관심은 증대되어야 한다. 보통 언어와 문화가 우리와는 다른 외국인과의 의사소통 상황에서는 자칫 오해나 생기거나 편견을 일으킬 수 있다. 이는 서로간의 의사소통의 배경이 되는 사회·문화적 차이 때문에 벌어지는 일이다. 따라서 의사소통 능력의 함양을 위해서는, 가장 널리 쓰이는 공식적 언어인 영어권 문화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필요하다. 이에 7차 교육과정은 정확한 언어능력과 함께 의사소통에 필요한 영어권 나라의 생활양식과 문화적 배경까지도 바르게 이해해야 한다고 제시하고 있으며 이는 어투, 표정, 몸짓 같은 비언어적 요소까지 포함하고 있다. 문화지도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역할극을 통한 문화지도의 경우 말하기 지도까지 함께 할 수 있는 강점을 지닌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어 교육에서 학생들로 하여금 다양한 내용의 영어 역할극 대본을 써보고, 또 그것을 직접 실연해보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의 영어 말하기 능력과 문화 이해도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할극을 통한 문화지도가 초등학생의 영어 말하기 능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실험집단 학생 중 사후 말하기 평가 점수가 향상된 학생은 30명중 29명으로 가시적인 효과가 있었다. 반면, 일반적인 영어 수업의 경우에는 평균이 향상되긴 하였지만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말하기 시험의 척도는 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의 구두 언어능력 평가 척도 표를 참고하여 발음의 이해 정도, 어휘 구사력, 정확성, 의사소통 노력의 4가지 영역을 각 5단계로 나누어 채점하였다. 둘째, 역할극을 통한 문화지도가 초등학생의 문화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마찬가지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실험집단 학생 중 사후 문화 이해 평가에서 점수가 향상된 학생은 30명중 24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반적인 영어 수업이 진행된 통제집단의 경우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영어권 문화 내용이 포함된 역할극을 제작하여, 문화 및 말하기 교수·학습을 영어시간에 적용한 후 학생들이 직접 역할극을 창조해 나가는 활동이 문화 이해도와 말하기 능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교사가 관찰한 학습자들의 수업 태도 분석 결과에서는, 각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일부 상위권 학습자들의 영어 수업에 참여하는 태도에 있어서는 변화된 점이 있었다. 먼저 자신감이 향상되고, 적극적으로 외국 문화를 이해함으로써 우리 문화를 새롭게 인식하게 되었으며, 올바른 가치관이 바르게 형성되었다. 본 연구는 A지역의 초등학교 6학년 대상 두 개 반을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여 연구하였으므로 일반화하는데 제한점이 있으며 초등학교 학생 중 현재 영어를 배우고 있는 3, 4, 5, 6학년 전체를 대상으로 하지 않고 6학년만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학년별로 다른 양상을 나타낼 수 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사전·사후 평가지의 개발이 연구자에 의해서 실행되었고, 평가지 자체의 신뢰도 검증이 되지 못하여 평가지의 한계로 인한 평가상의 오류가 있을 수 있어 평가가 학습자의 영어 말하기 능력 및 문화 이해도 능력을 모두 표현한다고 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사전·사후 평가가 실험을 진행한 교사의 채점으로 이루어 졌기 때문에 교사의 선입견 등으로 평가가 객관적이지 못할 수 있는 소지가 있다. 그러나 선행 연구들의 결과와 일치점을 보이는 역할극을 통한 문화지도의 영어 교육적 효과를 다시 한 번 증명하였다. 따라서 이 글이 역할극을 통한 수업 전개를 촉진하여 언어와 문화의 통합 교육을 앞당겨 초등학생의 말하기 능력과 문화 이해도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교실에서 학생들 스스로 문화요소가 포함된 대본을 구성하여 실연해보는 창의적인 역할극 사용을 권장하도록 하고, 문화 내용을 충분히 반영하는 교재가 개발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사 연수를 통해 문화지도를 활성화하고 영어권 문화에 대한 교사의 자질을 높여 초등학생들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 및 동기를 유발 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이 개발되어야 한다.;The ultimate goal of English Education for elementary level in Korea is to understand spoken language and to express what they think in daily life.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aimed not only to make students be interested in English but also to stimulate their curiosity and sensibility by maximizing exposure to authentic situations. For these purposes, it suggests to adopt game, song, chant, storytelling, and role play to practice communication. Among these activities, role play is a good way to lead to real life situations as well as to gain communicative competence. However, it seems that learning language without having a cultural background is not satisfactory to achieve real communicative competence. Therefore, in order to communicate naturally and properly, the cultural instruction must be accompanied for commun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Korean EFL students' English speaking proficiency, cultural knowledge, and the learning behaviors while cultural instruction through the role play is taking place. For this purpos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ten weeks with sixty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comparing the scores of pre-test, they were proved to be homogeneous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the detailed cultural instruction and practiced the role play in three classes. In the fourth class, they generated their own script and performed it in class. However, the control group was taught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a textbook and steps which include cultural instruction in the fourth class only that are presented in Teacher's Guide. Students' English speaking proficiency was scored by two English teachers through the observations of the role play whereas the cultural knowledge was tested by twenty T/F items. In addition, their learning behaviors were observed by a teacher. The main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as follow: first, the cultural instruction through role play made significant increase on English speaking proficiency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only significant improvement. Second,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also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cultural knowledge test. However,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increases although they showed slight improvements of the score. Finally,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did not show the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learning behavior. However, the observations indicated that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trengthened their self-confidence and formed the proper values on different culture. As a result,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cultural instruction through role play has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English speaking proficiency and the cultural knowledge. On this basis, suggestions are added: First, English teachers are suggested to use dialogues or role plays for teaching culture. The hands-on experiences such as the role play help young learners to absorb the cultural differences more effectively. Second, even though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is putting an emphasis on cultural instruction, the contents are not presented enough. Textbooks should provide more rich and suitable cultural input which would stimulate students' curiosity and interest. Finally, the cultural instruction should be emphasized to the English teachers and they should be trained to instruct effectively. Although many English teachers realize the importance of cultural instruction, they are lack of cultural knowledge. Gaining better understanding of American culture and developing various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will meet the students' needs of improving speaking skills and cultural understanding. Moreover, students will be able to participate actively in cla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