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4 Download: 0

말기 암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부담감, 우울, 대처유형 연구

Title
말기 암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부담감, 우울, 대처유형 연구
Other Titles
The Burden, Depression and Coping Types of Nurses Taking Care of the end Stage Cancer Patients
Authors
오혜란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research to explore the burden, depression and coping types of nurses taking care of the end stage cancer pati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3 nurses from two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ho were taking care of the end stage cancer patients.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a questionnaire from March 28 to April 16, 2007 and analyzed with description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t-test, ANOVA and Sheffe tests, using the SPSS WIN 12.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total burden of the subjects was 39.06±4.25. 2. The mean score of total depression of subjects was 10.47±6.76. 3. The total average score of the coping types showed 89.62±7.11 and 23.30±2.21 for the coping type that focused the problem, 19.4±2.63 for the search for social support, 14.87±2.17 for an unconcern, 13.50±1.77 for a wishful thinking respectively, 11.42±1.39 for an affirmative point of view, 7.10±1.32 for release from the stressful. Therefore, the most common coping types were the coping types focusing on problem and the affirmative point of view. 4. The degree of depress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job satisfaction(F=3.912, p=.022). 5. The coping typ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job satisfaction(F=3.394, p=.037). 6.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burden and depression (r=.304, p=.000). A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burden, depression and coping type, it is found that the less frequently subject use the coping type focusing on problem, the more level of burden(r=-.294, p=.001) and depression(r=-.383, p=.000) were perceived. Also found that the more frequently subject use the search for a wishful thinking, the more level of burden(r=.272, p=.002) were shown. Also found that the more frequently subject use the search for an unconcern, the more level of burden(r=.209, p=.016) were shown and the less frequently subject use affirmative point of view, the more level of burden(r=-.214, p=.013) and depression(r=-.249, p=.004) were shown.;본 연구는 말기 암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부담감, 우울, 대처유형을 파악하여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 2개의 대학병원에서 말기 암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 133명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7년 3월 28일부터 4월 16일까지 하였으며,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 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부담감 정도는 최저 23점에서 최고 38점의 범위로 평균 39.06±4.25점이었고 중간정도 이상으로 나타났다. 2. 우울정도는 최저 0점에서 최고 34점의 범위로 평균 10.47±6.76점이었고 정상 범위로 나타났다. 3. 대처유형은 최저 33점에서 최고 132점의 범위로 평균 89.62±7.11점으로 나타났으며, 영역별로는 문제중심 23.30±2.21점, 사회적 지지탐색 19.4±2.63점, 무관심 14.87±2.17점, 희망적 관점 13.50±1.77점, 긍정적 관점 11.42±1.39점, 긴장해소 7.10±1.32점으로 나타났다. 4. 기혼보다 미혼인 대상자(F=2.105, p=.037)가 우울정도가 높았으며, 간호직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F=3.912, p=.022) 우울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5. 간호직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F=3.394, p=.037) 대처유형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 부담감이 높을수록 우울이 높게 나타났다(r=.304, p=.000). 문제중심대처를 적게 사용할수록 부담감(r=-.294, p=.001)과 우울정도(r=-.383, p=.000)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희망적 대처를 많이 사용할수록 부담감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272, p=.002). 무관심 정도가 높을수록 부담감이 높게 나타났으며(r=.209, p=.016) 긍정적 관점을 적게 사용할수록 부담감(r=-.214, p=.013)과 우울(r=-.249, p=.004)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말기 암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는 중간정도 이상의 부담감을 경험하였고 우울의 정도는 정상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대처유형에 따라서 부담감과 우울정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처유형을 활용하여 부담감과 우울을 조절해 갈 수 있는 전략이 요구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