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5 Download: 0

화병(火病) 대상자의 정신건강 향상을 위한 일 간호중재의 효과

Title
화병(火病) 대상자의 정신건강 향상을 위한 일 간호중재의 효과
Other Titles
Effectiveness of the Psychiatric Nursing Program for Mental Health Improvement of Hwabyung Clients
Authors
최윤정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학과
Keywords
화병대상자정신건강간호중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Hwabyung is a unique health problem observed only in Korean culture and is a common folk concept from many years past. Hwabyung is a culture-bound syndrom literally translated into English as "anger syndrom" and attributed to the suppression of anger. Care for Hwabyung still relies mainly on sorcerous folk faith. This method of treatment has caused economic and/or mental stress to some people by its reverse action, or in other words, folk treatments have actually made the Hwabyung worse. Individuals, of whom many are barely managing to maintain there already economically strained positions in society, have suffered a decrease in the quality of life they experience as a result of insufficient treatments. Current mental health nursing programs don't meet the needs of these people. Clients suffering with Hwabyung are often reluctant to seek help because of the stigma associated with psychiatric diseases in Korean culture. Therefore, symptoms may go untreated for some time before clients will ask for help because services provided by psychiatric nursing are designed mainly to deal with psychosis. Therefore, the researcher developed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based on transcultural theoretical frameworks in which Hwabyung clients received several therapies including group therapy, music therapy, and role play.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specially designed to reduce clients fears of being designated as psychotic or in need of psychiatric help. A nonequivalent, non-synchronized, control group design was applied to control for contamination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the research design.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March 12 to May 2, 1997 (total of 52 days). Subjects were selected by snowball-sampling among employees in the food-supply and general affairs department in S-Hospital. Subjects were included based on self reports of current or past suffering from Hwabyung. None of the clients included in the study had received professional care for their symptoms. Initially, 26 women met the inclusion criteria. Six women were dropped as a result of job rotation, travel, and family problems. An even number of women (10) were assigned to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research intervention was composed of 10 sessions that included structured group activities developed from Leinenger's transcultural nursing theory. In the data analysis, Fisher's exact test and the Chi-Square test were used to verify the homogeneity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COVA was used to evaluate the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mental health condition scores as well as compare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dditionally, the computation of mean, SD, and paired t-tests were used to evaluate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mental health condition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experimental group scores were significantly lower (p<.001)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mental health condition scores; and (2) analysis showed that the nursing program had even effects in each of the mental health condition test items. It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001) in 'feeling tense or keyed up', 'soreness of muscles', 'numbness or tingling in part of body', 'temper outbursts that cannot control', 'heavy feelings in arms or legs', and 'the idea that something serious is wrong with own body' The nursing program for Hwabyung clients was generally effective in 9 sub categories of the mental health condition test, particularly in the categories of somatization, depression and psychoticism, Mental health nursing programs may have some positive effect on the mental health of Hwabyung clients. The data indicates that the mental health of Hwabyung clients could be improved by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based on Leinenger's theory of transcultural nursing. Long-term follow-up is required to more thoroughly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the improvement of Hwabyung clients' mental health.;화병(火病)은 우리 문화에서만 볼 수 있는 하나의 독특한 건강문제로서 오래 전부터 민간에서 흔히 사용되어오는 개념이다. 그러나 그 치료는 아직도 주로 주술적인 민간신앙에 의존해오고 있으며, 때로는 오히려 역작용을 일으켜 경제적 정신적 손실을 입히기도 하고, 그러한 기회마저 여의치 않은 대상자들은 낮은 수준의 삶의 질 속에서 생활해 나가고 있는 형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정신간호는 이러한 대상자들의 요구를 만족시켜주지 못한 채, 주로 정신증 대상자들 중심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어 현실감을 갖고 있는 화병대상자들이 안심하고 만족스런 도움을 요청하기에는 시간과 결단이 필요한 실정에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화병대상자들이 거부감을 느끼지 않는 동시에 효과적인 간호를 받을 수 있게 하는 일 정신간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설계는 대조군과 실험군의 접촉효과를 통제하기 위하여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설계를 적용하였고 연구기간은 1997년 3월12일부터 5월2일까지 (총 52일)였다. 연구대상은 S병원 급식과 및 서무과 직원들 중 '스스로 화병이 있다고 호소하는', 눈덩이 표출(snowball sampling)방법에 의해 선정한 26명이었고, 이들 중 중간 탈락 및 외생변수가 개입된 6명을 제외한 실험군 10명, 대조군 10명, 총 20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절차는, 실험효과의 접촉을 막기 위하여 급식과 직원을 대조군에, 서무과 직원은 실험군에 임의 배정하여, 대조군에게 사전조사를 하고 4주후에 사후조사를 실시한 다음 실험군에게 사전조사를 하고 4주 동안 주 2-3회의 집단상담, 음악요법, 역할극 등을 중심으로 제작한 총 10회에 걸친 정신간호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사후조사하였다. 연구도구는 Derogatis(1973)등이 개발하고, 김광일(1976),원호택(1978)이 표준화한 간이정신 진단검사(Symptom Checklist-90-Revision)의 90문항을 이훈구(1986)가 47개의 문항으로 요인분석하여 제작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측정한 이 도구의 신뢰도는 a= .97이었다. 자료의 분석은 SPSS/PC^(+)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동질성 검증을 위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대하여 Fisher's exact test와 χ^(2)-test를 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사전 사후 정신건강상태 점수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공변량분석(ANCOVA)을 하였으며, 실험군의 정신건강상태 점수의 사전 사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paired t-test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신간호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정신건강상태 점수가 유의하게(p< .001) 낮아졌다. 즉 화병대상자의 정신건강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실험군의 전·후 정신건강상태를 각 문항별로 분석한 결과 정신간호 프로그램은 전체적인 효과를 보였는데, 특히 '신경이 예민하고 불안하다', '신경통 또는 근육통이 온다', '몸의 일부가 저린다', '울화가 치밀어서 내 자신을 걷잡을 수 없다', '팔다리가 묵직하다', '내 몸 어딘가가 병든 것 같다'의 문항에서 유의한 차이(p< .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화병대상자에 대한 간호프로그램은 정신건강상태의 9가지 하위영역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신체화, 우울증, 정신증 하위영역의 효과가 컸다(p< .001). 종합해보면, 화병대상자에게 문화적 간호이론을 근거로 개발된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그들의 정신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으며, 화병대상자의 정신건강 향상을 위한 본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더 큰 표본에 대하여 장기간 추적 관찰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