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차은주-
dc.creator차은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11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11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07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43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075-
dc.description.abstractChildbearing couples today are expressing greater interest in preparing for parenthood and a shared experience in the child birth process. Human experience in early infants have great effects on their physical, interllectual, and psychological development, especially, experiences in paternal-infant relationship founding on their mutual contact during an early postpartum period are very significant. The immediately postpartum period had proved as the most sensitive period for forming paternal-infant attachment. The disorder of paternal-infant relationship, and further, negative growing age resulted from the deprivation of opportunity for founding paternal-infant attachment. With these increasing awareness, many researches on sound formation of paternal-infant relationship had recently conducted. This study was intended to know the effects of husband's presence at delivery on paternal-infant attachment, to encourage husbands to participate in the childbirth process, and further, to help implement prenatal education program for married coup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paternal-infant attachment between two fathers groups whose wives were hospitalized for their first delivery; one was fathers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childbirth process after having education on the normal delivery process and infant car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was fathers group who have not attended at the parent class nor presented at deliver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0 fathers (30 for experimental group, 30 for control group) whose wives had their first normal delivery at 3 midwifery clinics in Seoul area from the period of 15 September to 10 October 1985. Data were collected through direct observation with translating the paternal behavior observation sheet designed by Bowen into Korean.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use of statistical methods such as percent distribution, t-test, ANOVA.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resenting at delivery with being educated on the delivery process and infant care shows higher paternal attachment behavior (P=0.000) than the control group which was not attending at the parent class nor presenting at delivery. 2. The earlier the paternal-infant contact was, the higher the paternal attachment behavior was. (P=0.000) These results showed that paternal attachment behavior increases according to the early contact between father and infant, and the presence at delivery with being educated on the delivery process and infant care.;오늘날 분만하는 부부들은 부모역할을 위한 준비에 더욱 큰 관심을 표현하고 분만과정의 경험을 나누기를 원하고 있다. 인간에게 있어서 초기 경험은 그들의 신체. 지능. 성격의 발달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특히 분만 후 아버지와 신생아간의 조기접촉에 의한 상호작용의 경험은 매우 중요하고, 산욕기 초기는 아버지가 신생아와의 애착을 형성하는 중요한 시기로 확인되어 왔다. 이 시기에 애착이 형성되지 않으면 부아유대관계에 어려움을 갖게 되어 성장기에 부정적인 결과가 초래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건전한 부아관계 형성을 위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분만시 아버지 참여가. 아버지-신생아의 애착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분만과정에의 참여를 권장하며 냐아가서 부부를 위한 산전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목적은 분만을 위해 입원한 초산부의 남편으로 분만의 정상경과 및 신생아 간호에 관한 교육을 받고 분만에 참여한 아버지(실험군)와 교육을 받지 않고 참여하지도 않은 아버지 (대조군)사이의 부아애착행위 paternal - attachment behavior) 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은 1985년 9철 15일 부터 10월 10일 사이에 서울지역의 3개 조산소에서 정상분만한 초산부 60명의 남편을 대상으로 실험군 30명, 대조군 30명으로 나누어 Bowen(1980)이 사용한 아버지의 애착행위 관찰지를 사용하여 직접관찰법으로 자료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백분을, t-검정, ANOVA등의 통계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분만과정 및 신생아 간호에 관한 교육을 받고 분만시 참여한 아버지(실험군)가 교육을 받지 않고 분만시 참여하지 않은 아버지(대조군)보다 부아애착행위를 더 많이 나타내었다(p = .000). 이것은 교육 및 분만시 남편의 참여가 출산후 아버지와 신생아의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것으로 사려된다. 그러므로 임산부 및 아버지에 대한 지속적인 간호중재를 통해 부아의 관계형성 및 애착행위를 촉진하도록 도와야겠다. 2. 신생아와의 첫접촉시간이 빠를수록 부아의 애착행위가 더 많이 나타났다(p = 0.000). 따라서 부아의 애착행위는 조기접촉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부모와 신생아가 되도록 빨리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하며 또한 부모로 하여금 신생아에 대한 애착적인 감정이 유발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해 주어야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B. 연구의 목적 = 4 C. 가설 = 5 D. 용어의 정의 = 5 E. 연구의 한계 = 6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 8 A. 아버지의 역할 = 8 B. 애착행위 (Attachment-behavior) = 12 Ⅲ. 연구대상 및 방법 = 18 A. 연구설계 = 18 B. 연구대상 = 18 C. 연구도구 = 19 D. 자료수집 및 처리방법 = 21 Ⅳ. 연구결과 = 22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2 B. 실험군과 대조군의 부아애착행위 비교 = 23 C. 아버지와 신생아의 첫접촉시간과 부아애착 행위와의 관계 = 25 D.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이 부아애착행위에 미치는 영향 = 27 Ⅴ. 고찰 = 29 A. 분만과정과 신생아 간호에 관한 교육 및 아버지의 분만시 참여와 아버지-신생아 애착행위와의 관계에 대한 논의 = 29 B. 신생아와의 첫접촉시간에 따른 아버지-신생아 애착행위와의 관계에 관한 논의 = 31 C.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아버지-신생아의 애착행위와의 관계에 대한 논의 = 32 Ⅳ. 결론 및 제언 = 34 참고문헌 = 36 출산 및 아기를 위하여 = 42 ABSTRACT =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104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아버지-
dc.subject사전교육-
dc.subject신생아-
dc.subject애착행위-
dc.title아버지의 사전교육이 신생아의 애착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s of Presence at Delivery on the Paternal Attachment Behavior-
dc.format.page7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학과-
dc.date.awarded198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